우리는 편집된 기억속에 살아간다… 7년만에 돌아온 은희경 신작 ‘빛의 과거’

작가 은희경이 7년 만에 신작을 들고 돌아왔다. 기억의 왜곡과 편집을 소재로 한 빛의 과거(문학과지성사 刊) 다. 지난 2012년 태연한 인생 이후 긴 공백을 깨고 펴낸 장편소설이다. 오랜 시간 구상과 퇴고를 거쳤다. 빛의 과거는 1977년과 2017년을 교차했다. 갓 성년이 된 여성들이 기숙사라는 낯선 공간에서 마주친다. 이들의 다름과 섞임의 세계를 면밀히 그려냈다. 2017년 화자인 나는, 작가이자 오랜 친구인 김희진의 소설을 읽으면서 1977년 여자대학 기숙사에서의 한때를 떠올린다. 같은 시간을 공유했지만 서로 기억하는 그때의 질감은 너무나 다르다. 누구도 과거의 자신을 폐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편집하거나 유기할 권리 정도는 있지 않을까?라고 한 작가의 말처럼 말이다. 은희경은 기숙사 룸메이트들을 통해 다양하며 입체적인 여성 인물들을 제시했다. 신입생 기숙사 이야기인 만큼 다양한 인간 군상들이 등장한다. 타인의 허물은 잘 지적하면서도 자신 역시 똑같은 허물을 반복하는 자, 무리에 끼지 않고 자기 방식과 고집에 충실한 자, 남의 시선을 신경 쓰는 주인공과 정반대로 욕망에 충실한 자, 생각과 행동의 괴리가 큰 자 등 다양한 성격이 어울리고 부딪친다. 사람 사이의 상투적 관계와 그에 따른 소통의 단절을 드러내는 은희경 특유의 냉정한 시선은 여전히 살아있다. 책 속 김유경의 편집된 과거를 들추는 김희진 소설은 액자식으로 소설 중앙을 차지한다. 이를 통해 기억의 왜곡, 위장된 욕망, 자기방어의 허위, 의무의 회피 등을 촘촘하게 드러낸다. 섬세한 1970년대의 문화와 시대상은 역시 은희경이라는 찬사가 나오게 한다. 경양식집 세실, 대학 가요제, 맛동산, 티나 크래커, 밀감으로 채운 입사 환영식, 음악 감상실 등 1970년대 문화 코드를 눈앞에서 보듯 그려냈다. 날카롭게 인간의 본성을 그려내면서도 유머러스한 글은 여전하다. 작가는 누구나 자신의 기억은 사실이라고 생각하지만, 자신의 상황에 맞게 편집된 기억 속에 살고 있다는 점을 일깨운다. 그러면서 회피를 무기 삼아 살아온 한 개인이 어제의 기억과 오늘을 넘나들면서 자신의 민낯을 직시해 담담하게 토로하는 문장은, 인간이 삶을 살아가며 가진 보편적인 고민을 드러내며, 독자 자신을 바라보게 한다. 책 속 화자의 그때 그 시절의 이야기는 은희경의 손길을 거쳐 오늘의 나, 우리의 이야기가 된다. 값 1만 4천 원. 정자연기자

GQ Men Of The Year Awards 2019 in London

‘생방송오늘아침’ 반값 과일 매장 어디?

생방송 오늘아침에 반값 과일 매장이 소개돼 화제다. 4일 MBC 생방송 오늘아침에서는 추석을 앞두고 반값의 속사정 코너를 통해 한가위 저격! 반값 선물세트 & 과일을 소개했다. 서울 강서구 화곡동의 한 매장에서는 추석 선물세트들을 최대 80%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명절 선물로 인기 만점! 아로니아즙 등 건강기능식품은 물론이고 빠지지 않는 단골 메뉴 햄, 식용유 같은 식품 세트들도 반값에 판매하고 있었다. 이렇게 저렴한 이유는 바로 비수기에 미리 상품을 도매가로 대량 구매해 창고에 보관해두었다가 성수기에 박리다매로 판매하기 때문이다.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에 위치한 한 과일 매장에서는 추석 제사상에 올릴 특A급 과일들을 저렴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어디에서나 볼 수 없는 질 좋고 다양한 과일들을 시중보다 20%에서 최대 60%까지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어 찾아오는 손님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현재 배는 7.5kg 기준 1만8천원으로 시중가 대비 약 40% 저렴하고, 토마토는 5kg 기준 7천900원, 거봉은 3kg 기준 1만4천900원, 사과 10kg 기준 9천9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매일 산지에서 직접 배송되는 과일과 임대료가 적은 창고형 매장으로 가격을 낮춰,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2022 카타르 FIFA 월드컵 엠블럼 공개

2022년 열리는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의 공식 엠블럼이 공개됐다. FIFA는 4일(한국시간) 카타르 수도 도하를 비롯한 세계 주요 도시에 월드컵 공식 엠블럼을 선보였다. 현지시간으로는 2022년을 상징하는 3일 오후 8시 22분 도하 타워를 비롯한 명소와 내무부 등 주요 건물의 표면을 화면 삼아 로고가 등장했다. FIFA는 엠블럼 디자인은 전 세계를 연결하고 사로잡는 대회의 비전을 담았고, 아랍 문화의 특징적인 부분과 축구도 형상화했다고 밝혔다. 엠블럼은 카타르의 상징색을 바탕으로 무한대 기호를 세로로 세운 모습으로, 모든 것이 이어지는 대회의 본질을 담았다는 게 FIFA의 설명이다. 이는 숫자 8로 보이기도 하는데, 대회가 열리는 8개 경기장을 의미한다. 윗부분이 더 길어 트로피도 표현했다. 아울러 엠블럼의 전반적 모양은 아랍의 전통적인 모직 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FIFA는 전했다. 날씨가 추울 때 사용하는 숄을 통해 겨울에 열리는 대회의 특성을 표현한 것이다. 2022년 11월 21일부터 한 달 가까이 이어지는 카타르 대회는 극심한 더위를 피하고자 사상 첫 겨울 월드컵으로 치뤄진다. 이밖에 오른쪽 아래 숄 위를 수 놓은 듯한 패턴, 왼쪽 위의 기하학적인 공 모양과 두 개의 점, 명칭 중 카타르 부분의 캘리그래피 등 아랍의 전통문화 요소가 엠블럼 곳곳에 포함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