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물 위원회, 오는 14, 15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다

아시아 최대 물 관련 국제협의체인 아시아 물 위원회 제3차 총회 및 이사회가 14일부터 15일까지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 다이아몬드 호텔에서 열린다. 아시아 물 위원회는 아시아지역의 물 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주도해 2016년에 발족했으며, 이학수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회장을 맡고 있다. 회원기관으로는 세계은행(World Bank), 유엔식량농업기구(UNFAO),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국제기구와 태국과 중국, 인도네시아 등 26개국 133개 기관이 활동하고 있다. 이번 총회에서는 올해부터 3년간 아시아 물 위원회 활동을 이끌어갈 새로운 집행부를 구성하기 위해 신임 이사기관과 회장을 선출한다. 또한, 중장기전략 의결과 아시아 각 국의 물 문제 해결을 위한 물 계획(워터 프로젝트) 등 주요 사업을 논의한다. 워터 프로젝트는 아시아 각국이 겪고 있는 식수 부족과 수질 문제, 수자원 기반시설 노후화 등 당면한 물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현재까지 4개 사업을 완료하고 3개 사업을 진행 중이다. 대표적 사업은 ▲국내 중소기업과 연계한 베트남 맞춤형 물관리 기술 보급 사업을 완료했으며 ▲인도네시아의 관광지인 발리섬 덴파사 지역의 물 부족 해소와 누수 감소를 위한 지능형(스마트) 물관리 시범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학수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대한민국 물 기술의 우수성과 한국수자원공사의 반세기 물관리 경험을 활용해 아시아 물 위원회가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 물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도록 협력을 지속하겠다.라고 밝혔다. 과천=김형표 기자 사진 설명 2018년 9월 대전에서 개최된 아시아물위원회 이사회 기념사진

8조 원 늘었던 가계대출, 올해 9천억 원만 증가

최근 가계대출 규모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많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5%대에서 잡겠다고 전했다. 13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1조 3천억 원으로 전년 동월(+3조 3천억 원) 대비 △2조 원 축소됐고, 전월(△4천억 원)대비 +1조 7천억 원 확대됐다. 은행권 증가규모(+2조 5천억 원)는 전년 동월(+2조 5천억 원)과 같고, 전월(+1조 1천억 원) 대비 +1조 4천억 원 증가했다. 제2금융권 증가규모(△1조 2천억 원)는 전년 동월(+8천억 원) 대비 △2조 원 축소됐다. 전월(△1조 5천억 원)과 비교하면 +3천억 원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은 전년 동월 대비 △1조 원 감소했다. 이는 은행권에서 정책상품의 은행재원 취급분(+5천억 원) 등의 영향으로 대출이 확대(+6천억 원)됐음에도, 제2금융권이 크게 감소(△1조 6천억 원)한 것에 기인한다. 기타대출의 경우 DSR 관리지표 도입 및 시범운영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가 둔화했다. 지난 1~2월 중 증가규모는 9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8조 3천억 원) 대비 △7조 4천억 원 축소됐다. 금감원은 가계대출의 안정적 관리를 통해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5%대로 억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민현배기자

증시악화 불구, 자산운용업계 1천조 원 굴려

지난해 자산운용사들이 눈부신 양적 성장세를 나타냈다. 기업 수가 늘면서 임직원이 증가했고, 운용자산은 1천조 원을 돌파한 것이다. 하지만, 전문사모운용사의 적자비율이 여전히 높고, 일부 자산운용사는 고유재산을 운용하면서 불확실한 시장 악화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발표한 2018년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자산운용사는 총 243개사(종합 74, 전문사모 169)로 전년 215개사 대비 28개사가 증가(+13.0%)했다. 임직원수는 8천223명으로 2015년 진입 규제완화 이후 약 3천118명(+61.1%)이 증가했다. 작년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은 1천18조 7천억 원으로 전년 949조 6천억 원 대비 69조 1천억 원 증가(+7.3%)했다. 주로 사모펀드에서 증가세(+47조 2천억 원)가 두드러졌다. 자산 종류별로는 부동산펀드와 특별자산펀드가 많이 증가(각 15조 4천억 원 및 13조 5천억 원)했다. 펀드수탁고는 551조 원으로 전년 대비 53조 8천억 원 증가(+10.8%)했으며, 투자일임계약고는 467조 7천억 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15조 3천억 원 증가(+3.4%)했다. 지난해 자산운용사의 영업수익은 2조 8천43억 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2조 3천971억 원 대비 4천72억 원 증가(+17.0%)했으며 순이익은 6천60억 원으로 전년 6천147억 원 대비 87억 원 감소(1.4%)했다. 수수료수익은 2조 4천575억 원으로 펀드 수탁고 증가에 힘입어 전년 2조 1천515억 원 대비 3천59억 원 증가(+14.2%)했다. 펀드관련 수수료수익은 1조 9천407억 원으로 전년 대비 3천159억 원 증가(+19.4%)했다. 일임자문 수수료는 5천168억 원으로 전년보다 99억 원 감소(△1.9%)했다. 자산운용사가 고유재산을 운용해 얻은 증권투자손익(파생상품 포함)은 268억 원이었다. 지난해 4분기 주식시장의 급격한 악화에 따라 전년 932억 원 대비 664억 원 감소(△71.3%)했다. 전체 243개사 중 146사가 흑자(6천890억 원), 97사는 적자(△830억 원)를 기록했다. 적자회사 비율(39.9%)은 전년(35.5%) 대비 4.4%p 상승했다. 전문사모집합투자업자의 경우 169사 중 80사(47.3%)가 적자를 나타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산운용사들이 매년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하는 등 양호한 실적을 보이나 일부 자산운용사는 고유재산 운용시 예기치 못한 시장 악화에 취약한 측면이 있다라면서 자산운용사의 재무 및 손익현황을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서울=민현배기자

최송현, 100% 자체 제작 해양예능다큐 '혹등고래 투어' 공개

유튜버로 활동 중인 배우 최송현이 특별한 영상을 올려 화제다. 최송현은 지난 1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송현씨 필름(SONGHYUNC FILM)'에 약 25분 분량의 혹등고래 투어 영상을 올렸다. 타히티 모레아 섬에서 촬영한 이번 영상은 기획 단계에서부터 직접 자료 조사를 한 것은 물론 촬영, 편집, 내레이션까지 모두 최송현의 손을 거쳐 탄생했다. 단순한 여행 비디오가 아닌 정보를 전하는 내용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해양생물에 대한 메시지와 새끼를 위해 모든 것을 내어주는 엄마 혹등고래에 대한 단상을 감성적으로 전달했다. 최송현은 먼저 타히티 모레아 섬을 가는 여정, 모레아 섬 관광 정보, 먹방, 바다 속 풍경 등 다양한 정보와 아름다운 볼거리들을 영상에 담아냈다. 특히 최송현이 마지막 날 만난 엄마 혹등고래와 새끼 혹등고래, 이들을 돌보는 에스코트(새끼 고래의 아빠가 아닌 수컷고래가 엄마와 새끼 고래를 지키는 것)의 모습은 영상의 백미다. 길이 16미터, 몸무게 50톤에 이르는 거대한 혹등고래의 모습은 경이로움을 느끼게 한다. 최송현의 '혹등고래 투어' 영상에 네티즌들은 "눈물날 정도로 감동적인 해양다큐 영상이다", "보는 내내 가슴 벅차서 정말 좋았다", "영상으로나마 큰 감동을 받았다"고 밝혔다. 소속사 디에이와이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최송현이 드라마 촬영 등 바쁜 스케줄을 소화하고 있는 가운데 시간을 쪼개 유튜버로서도 열정을 불태우고 있다"며 "'송현씨필름'을 수중세계 전문 유튜브 채널로 성장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최송현에게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최송현은 매주 수, 목 오후 10시 방송되는 SBS 새 수목드라마 '빅이슈'에서 주인공 한석주(주진모)의 아내 배민정 역으로 출연 중이다. 장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