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보건소, 임산부 영유아 교육 프로그램 운영

광주시보건소는 임신ㆍ출산ㆍ육아와 관련한 종합정보를 제공하고자 오는 3월부터 11월까지 임산부ㆍ영유아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임산부ㆍ영유아 프로그램에는 497명의 임산부와 영유아가 교육에 참여, 80% 이상의 높은 프로그램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보건소는 올해에도 출산준비 및 요가교실, 토요 부부 수유교실, 전통놀이 육아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튼튼맘 출산준비교실은 순산법과 분만 리허설, 모유 수유, 신생아 돌보기, 임산부와 신생아의 영양에 관한 교육을 제공하며 임산부 요가교실도 함께 신청 가능하다. 토요 부부 수유교실은 매월 첫째 주 토요일에 운영되며 모유 수유의 장점과 수유 자세 및 방법 등을 실습을 통해 배울 수 있다. 단동십훈 육아교실은 생후 712개월된 아기와 엄마를 위한 놀이교실로 영유아의 발달 및 부모와의 애착 형성에 도움이 되는 전통놀이 동작들을 배우고 익힐 수 있다. 또한, 올해부터 육아맘 밴드를 개설, 보건소_육아맘간의 적극적인 의사소통 창구를 마련해 회원간의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보건소관계자는 지역주민의 출산 전ㆍ후 건강관리서비스 확대 요구에 발맞춰 임신출산지원 확대에 적극 노력하고 엄마가 행복한 육아환경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자세한 사항은 광주시보건소 모자보건팀 문의하면 안내 받을 수 있다. 광주=한상훈기자

국민70%, 개성공단 재개 '찬성'

국민 10명 중 7명은 대북 경제제재가 완화되면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는 데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8개월 사이 개성공단 재개를 찬성하는 국민 여론이 약 20%p 증가한 것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502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해 28일 발표한 결과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찬성한다는 응답이 68.9%로 집계됐다. 반대한다는 의견(26.5%)의 두 배를 넘어선 수치다. 모름?무응답 응답은 4.6%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2017년 6월 실시한 개성공단 재가동에 대한 국민여론 조사(찬성 49.4%, 반대 39.9%)와 비교해 찬성 여론이 19.5%p 증가한 것이다. 지역과 연령, 이념성향, 정당지지 등과 관계없이 대체로 찬성 여론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당 지지층과 보수층에서만 반대 의견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찬성 82.6% vs 반대 15.1%)와 대전세종충청(81.4% vs 18.6%), 부산울산경남(72.6% vs 26.5%), 경기인천(68.1% vs 26.8%), 서울(64.8% vs 29.2%), 대구경북(50.2% vs 39.5%)에서도 찬성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40대(찬성 75.8% vs 반대 20.0%), 30대(73.4% vs 22.9%), 50대(70.9% vs 23.5%) 등 3050세대에서 찬성 여론이 70% 이상이었다. 20대(65.7% vs 32.0%)와 60대 이상(61.3% vs 32.4%)에서도 찬성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찬성 89.5% vs 반대 7.5%)이 압도적인 찬성률을 보였으며 중도층(67.4% vs 30.6%) 역시 대다수가 찬성했다. 반면 보수층(44.0% vs 52.2%)에서는 반대 여론이 우세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더불어민주당(찬성 97.1% vs 반대 2.9%)과 정의당(88.3% vs 11.7%), 바른미래당(56.8% vs 25.3%), 무당층(49.6% vs 40.7%) 등 순으로 찬성 의견이 많았다.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층(찬성 33.7% vs 반대 59.7%)에서는 반대가 많았다. 이번 조사는 tbs 의뢰로 진행됐으며 27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9천61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502명이 응답한 결과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강해인기자

파주시, 88억원 규모 축산사업 본격 추진

파주시는 FTA 등 축산물 수입개방에 대응, 경쟁력 있는 축산업 육성을 위해 88억 원 규모의 축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농정 등 심의를 통해 올해 축산분야 사업대상 선정을 완료했는데 쾌적한 축산기반 구축, 친환경 축산업육성, 안전한 동물방역 등 3개 분야 74개 사업이다. 총 사업비는 전년 대비 10억 원이 증액된 약 88억 원 규모다. 이중 시 축산업 역점 추진과제로 냄새없는 청정축산 실현을 위해 축산환경 개선사업, 가축분뇨 정화개보수사업, 다용도 축분처리장비 지원사업 등 총 9개 사업에 15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또 축산물 시장개방과 함께 폭염한파 등 환경의 다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신규사업으로 폐사가축 처리장비 지원 등 총 7개 사업에 4억여 원의 사업비를 추가 편성했다. 축종별 환경개선을 위한 자동화 시설 및 장비 지원사업, 안정적인 국내산 조사료 생산확대를 위한 조사료 종자기계장비품질관리 지원사업, 축산재해 대비를 위한 가축 재해보험 가입 지원사업 등도 추진한다. 이외에도 축사 환경제어사료급이경영관리출하선별 등 축산업의 전자동화시스템을 지원하는 ICT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하고자 22억 원의 사업비를 신청했으며 향후 농림축산식품부 사업대상 확정시 파주시 역점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최종환 시장은 이상기후 등 다각적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첨단 축산기술의 도입 및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을 통한 미래지향적 축산업 발전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파주= 김요섭기자

광주시, 2019년 전기자동차 민간보급 사업 공고

광주시는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8억4천만원의 예산을 투입, 2019년도 전기자동차 민간보급 사업을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전기차 보급대수는 60대이며 전기승용차 1대당 최대 1천400만원의 보조금 및 초소형전기차 1대당 67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보조금은 배터리 용량, 주행거리 등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신청자격은 공고일 현재 광주시에 주소를 둔 시민 또는 광주시 소재 기업, 법인, 사업자, 단체 등이다. 차량을 구매하려는 자는 제조ㆍ판매 대리점을 통해 신청서 및 구매계약서를 작성하고 제조ㆍ판매 대리점은 신청서, 주민등록등본 또는 사업자등록증을 전기자동차 구매지원 시스템(www.ev.or.kr/ps)에서 광주시 담당자에게 접수하면 된다. 구매 공모접수는 오는 3월 5일 오전 9시부터이다. 보급대상은 환경부 전기자동차 종합포털(www.ev.or.kr)에 게재된 차종으로 현대 아이오닉(18), 코나 EV, 기아 니로(HP, PTC), 기아 쏘울 EV, GM 볼트 EV, 테슬라 모델 S 75D 외 3종, BMW i3 94ah(18), 르노삼성 SM3 Z.E, TWIZY, 대창모터스 DANIGO, 쎄미시스코 D2 등이다. 자세한 지원방법과 신청서류는 광주시청 홈페이지 고시ㆍ공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기차 완속충전기 설치 보조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선정한 충전사업자를 통해 설치 지원되며 구체적인 절차와 지원내용은 환경부 전기차 통합포탈(www.ev.or.kr) 및 전기차 통합콜센터(1661-0970)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광주=한상훈기자

단일기업 대출·투자, 은행 자본 25%로 이내로

거래 상대방에게 대출이나 주식투자, 보증 등 손실 위험에 노출된 금액(익스포저)이 은행 자본의 25%로 제한된다. 금융위원회는 바젤위원회 권고 조치에 따라 3월 31일부터 국내 은행권에 거액 익스포져 한도 규제를 도입한다고 28일 밝혔다. 바젤위원회는 2014년 단일 거래 상대방에 대한 익스포저가 국제결제은행(BIS) 기본자본 기준 10% 이상이면 거액 익스포져로 보고 은행이 감독기관에 보고하도록 규정했다. 거래 상대방은 개별기업과 의결권 50% 초과 보유 등 지배력을 행사하는 기업집단 등이다. 금융위는 행정지도를 통해 내달 31일부터 시범 실시하기로 했다. 대상은 외국은행 지점과 인터넷 전문은행, 산업수출입 은행을 제외한 모든 국내 은행이다. 금융회사의 자발적 협력을 전제로 한 행정지도여서 비율이 위반될 경우라도 별다른 제재는 부과되지 않는다. 은행들은 분기별로 현황 자료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해야 한다. 익스포저를 계산할 때 보증기관이 주택 관련 대출 등 서민 생활 안정을 위해 제공한 보증액과 국책은행이 정부 현물출자로 취득한 주식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서민 생활 안정에 미치는 영향과 해외사례 등을 고려해 일부 익스포져는 한도산입에서 제외된다. 주택 관련 대출 등 서민 생활 안정과 밀접한 관련한 개인대출에 대해 보증기관이 제공한 보증 익스포져나 국책은행이 정부의 현물출자에 의해 취득한 주식 익스포져가 그 대상이다. 정식 규제 도입 시기는 국제동향 및 시범실시 결과 등을 고려해 추후 결정한다. 서울=민현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