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 공공도서관 북카페 호응

가평군이 공공도서관에 설치 운영하고 있는 북카페(휴카페)가 지역주민 및 이용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11일 가평군에 따르면 지난해 4월 문을 연 한석봉 도서관을 비롯해 설악ㆍ청평ㆍ조종 등 4개 도서관에는 마음껏 독서하고 힐링하기 좋은 휴(休)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청소년은 물론 주민 모두가 사용하기 좋은 휴게공간으로 꾸며진 북(휴)카페는 다양한 장르의 신간도서를 비치하고 일반카페와 같은 분위기로 조성돼 이용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도서관별로 야외채광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와 청소년을 위한 스탠드 형 열람존, 테라스 담소장소 등이 마련됐다. 특히 지난 1월 개장한 조종도서관은 기존 지하 휴게공간 리모델링을 통해 노후하고 협소했던 지하휴게실을 확장,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안락함을 높였다. 또 다양한 장서를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도록 북월(Book Wall)형태로 도서를 비치해 동선과 공간의 조화로움을 표현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한편 독서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한석봉도서관 내에는 자연과 공간을 활용한 히든 정원 및 카페와 ㈜대교에서 프리미엄 키즈 아카데미 키즈잼(Kids JAM)가평센터를 오픈하는 등 기업이 함께하는 질 높은 도서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함께 도서관 내에는 책읽기 좋은 창가에 열람테이블을 마련해 지역주민들이 편안하게 독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으며, 무인도서대출반납기, 책바다서비스, 상호대차서비스 등 최첨단 정보화시스템이 구축됐다. 여기에 자체개발한 한석봉도서관 브랜드 디자인은 정부가 인정하는 국내 3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핀업 디자인 어워드 1위인 베스트 오브 베스트에 선정됐다. 이계숙 도서관 팀장은 휴카페 운영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로 카페를 활용한 다양한 도서관 프로그램을 개발해 군민들이 더욱 편안하게 휴식과 지식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가평=고창수기자

해외 장내파생상품, 개인투자자 손실 지속 어쩌나

해외 장내파생상품 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상황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투자손실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감독원은 해외 장내파생상품 거래현황 및 투자자 유의사항을 안내하고 이같이 밝혔다. 해외 장내파생상품이란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되거나 유사 해외파생상품으로 지정된 선물옵션거래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해외 거래소는 CME Group(미국), Eurex(유럽), HKEX(홍콩) 등이 있고 유사 해외파생상품은 귀금속(금은 등), FX마진 등이 있다. 해외 장내파생상품(FX마진 제외) 투자현황 분석 결과, 국내 투자자의 해외 장내파생상품 거래량은 2011년 1천100만 계약에서 2017년 4천500만 계약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2017년 국내 개인투자자의 해외 장내파생상품 거래량은 국내 장내파생상품 개인투자자 거래량의 4.4% 수준이다. 지난해 1분기 기준 국내 투자자의 해외 장내파생상품거래 투자자수는 4만3천612명이며, 이중 대부분(93.6%)이 개인투자자들이다. 1인당 거래대금은 3만5천766달러(2011년) 5만1천724달러(2013년) 4만3천872달러(2015년) 3만8천778달러(2017년)로 소폭 감소했다. 이들은 시장상황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투자손실을 봤다. 매년 손실계좌수가 이익계좌수보다 최소 2배 이상이었다. 손실계좌수/이익계좌수의 값은 3.0(2015년) 2.7(2016년) 2.5(2017년) 2.1(2018년 1분기)로 나타났다. 거래손익은 △1억1천200만 달러(2015년) △1억2천만 달러(2016년) △7천400만 달러(2017년) △8천700만 달러(2018년 1분기)이다. 2018년 말 기준 장내 파생상품 중개가능 증권사선물사는 50개사이나, 국내 투자자에게 해외 장내파생상품을 중개하는 국내 증권사선물사는 14개사다. 국내 증권사선물사와 해외 장내파생상품 중개계약을 체결한 FCM은 34개사이며, 이중 6개사가 65.0%를 중개했다. 한편, FX마진 시장 건전화조치(2011년 12월) 이후 국내 투자자의 FX마진 거래규모 및 1인당 거래금액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개인투자자는 해외 장내파생상품과 마찬가지로 투자손실이 지속했다. FX마진은 이종통화(예: EUR/USD)간 환율변동을 이용해 시세차익을 추구하는 외국환 거래의 일종이다. 금감원은 해외 장내파생상품(FX마진 포함) 거래시 인가를 받은 국내 투자중개업자(증권사선물사)를 통해 거래해야 하며, 유사무인가 중개업자를 통해 거래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개인투자자가 해외시장의 구조 및 특성, 투자위험 등을 숙지할 수 있도록 사전교육 등을 통해 투자자보호를 강화할 예정이다. 서울=민현배기자

인천 강화군, 서울 강화장학관 입주생 공개 추첨

인천 강화군은 최근 강화문예회관 대공연장에서 올해 대학 신입생을 위한 2019년 강화장학관(서울) 신규 입주생 선발을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공개 추첨을 통해 신규 입주생 50명이 선발됐다. 군은 장학관 입사 투명성을 위해 학부모들의 공개 추첨을 통해 결정했다. 또 특례로 도서지역 대학원생과 일반대학생 등 구분 선발을 통해 저소득층이나 다자녀 가구, 도서지역 거주자에 대해 일정한 혜택을 부여했다. 탈락자도 예비입사 후보자로 등록, 중도 퇴사자가 있으면 입주할 수 있게 관리케 했다. 강화장학관은 1인 1실로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편리한 시설로 월 13만원의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입사자격은 수도권 소재 대학(원) 입학생 또는 재학생으로 지역 내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부 또는 모가 강화군에 2년 이상 계속해서 주민등록이 되어야 한다. 유천호 군수는 더 많은 학생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현재 영등포에 있는 장학관에 이어 강북권역에 제2장학관을 추진 중이라며 제2장학관이 개관하면 더 많은 학생의 안정적 학업과 학부모들의 경제적 부담 완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한의동기자

인천 강화군, 접경지역 발전위해 2030년까지 총 2조800억 투입된다

접경지역인 인천 강화군의 인프라 확충 및 종합적인 발전을 위해 2030년까지 총 2조 800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강화군은 지속가능한 군의 발전 청사진이 포함된 접경지역 발전 종합계획 변경안이 접경지역 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에서 확정됐다고 11일 밝혔다. 2011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되어 온 군 접경지역 발전 종합계획에 대한 변경안이 이번에 심의회를 통과하면서 군은 국비 1천303억원을 추가로 확보하게 됐다. 총 14개 사업에 사업비는 2030년까지 2조 803억원(국비 2천537억원, 지방비 1천350억원, 민자 1조 6천917억원)이 투입된다. 애초 계획 중 인천시에서 추진하는 강화 해안순환도로 연결사업, 서해 남북평화 연도교 구축사업과 군에서 추진하는 서도연도교 건설사업, 한겨레 얼 체험공원 조성사업, 교동 동서평화 도로 구축사업, 강화 갯벌생태 복원사업 등에서 국비 1천229억원을 추가 확보했다. 신규 사업으로는 양사면 산이포구 복원사업 98억원(국비 54억원, 지방비 44억원), 폐교시설 활용 문화재생사업 40억원(국비 20억원, 지방비 20억원) 등에서 국비 74억원을 확보했다. 계획 확정에 따라 군은 교통 인프라 확충 및 문화시설 조성 사업 등으로 접경지역의 주민 정주 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천호 군수는 이번 계획 확정에 따라 군은 교통 인프라 확충 및 문화시설 조성 사업 등으로 접경지역의 주민 정주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계획에 반영된 사업들이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부처와 협의 등 행정절차 및 예산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한의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