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해 인수ㆍ합병(M&A)을 촉진하고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9일 중소기업연구원이 발표한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벤처기업에 대한 기대감은 크지만, 투자자금과 전문인력 부족, 규제 부담감 등으로 대응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2016년 기준 4차 산업혁명 벤처기업 비중은 사물인터넷 340개(39.4%), 로봇 194개(22.5%), 가상ㆍ증강현실 60개(6.9%)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은 2015년 매출과 고용규모가 각각 40억 원과 13. 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매출 69억 원과 고용 23.3명인 일반 벤처기업보다 소규모며, 창업 3년 이하 신생 기업 비중이 높으면서 수도권에 몰렸다. 다만, 특허 등록 건수는 적었으나 출원 중인 특허 수는 많아 잠재성은 높았다. 이에 대해 중소기업연구원은 정부 지원 시 적절한 규모와 속도에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며, 기업 평가 시 인적 자원의 잠재력 평가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투자 중심 지원과 전문가 영입 등을 통한 M&A 촉진, 인센티브제도 도입 등 제도 개선, 지역 차원의 대응력 제고, 젊은 세대의 아이디어와 기술개발 참여 유도 등도 과제로 꼽았다. 최현호기자
경제일반
최현호 기자
2018-07-29 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