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두산위브 주민들 중동 중흥초로 자녀들 보내

부천약대두산위브트레지움 2단지 주민들이 약대초등학교(약대초)의 통학로를 개선해 달라는 집단민원을 제기(본보 20일자 10면)한 가운데 이 아파트 입주민들이 안전한 통학로가 없다는 이유 등으로 자녀들을 인근 중동신도시 내 초등학교로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2일 부천교육지원청에 따르면 약대두산위브트레지움은 1~3단지로 구성됐으며 세대수는 1단지 620세대, 2단지 1천13세대, 3단지 210세대 등 1천843세대 규모다. 학생들의 통학구역은 초등학교는 약대초이고 중학교는 중흥중이다.주민센터가 파악한 자료에 따르면 이 아파트 단지의 약대초 학령 아동수는 1단지가 98명, 2단지가 141명, 3단지가 20명 등 모두 259명이다.그러나 약대초가 파악한 자료에는 두산위브트레지움 1단지 46명, 2단지 38명, 3단지 9명 등 모두 93명만이 현재 약대초에 다니는 등 1단지 47%, 2단지 27%, 3단지 45% 등만 약대초로 다니고 나머지 학생들은 인근 중동신도시 중원초와 중흥초 등으로 보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 2단지 약대초 학령 아동수가 141명이지만 100명이 중흥초에 다니고 약대초에는 38명만 다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이는 입주민들이 자녀들을 기존 구도심에 있는 약대초보다는 신도시에 있는 중흥초와 중원초 등을 선호하고 있고, 2단지 학생들이 약대초로 통학하는 데에 거리도 멀고 인도가 없는 등 안전한 통학로가 확보되지 않아 꺼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1단지에서 약대초까지 거리는 647m이며 중원초는 450m이다. 2단지는 약대초까지 525m이지만 중흥초는 420m에 불과하다.특히 입주민들은 불법인줄 알면서도 인근에 위장 전입 후 통학로가 안전한 중흥초에 입학 또는 전학을 시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중흥초는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거주지를 실제 옮기지 않고 주민등록법상 주소만 바꾸는 위장 전입하면 주민등록법에 의거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미만의 벌금을 물릴 수 있다며 위장전입을 통한 전학 금지를 당부했다.그러나 부천교육지원청과 부천시는 2단지 입주민들이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안전한 통학로 확보와 통학구역 변경을 요구해왔는데도 약대초의 소규모화 및 중흥초의 과밀학급 발생 등 역 민원을 우려, 뾰족한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부천교육지원청 관계자는 “2단지 통학구역 변경 시 1단지와 3단지 입주민들도 중원초 및 중흥초 등으로 통학구역 변경을 요청할 수 있고 현재 통학로를 이용하고 있는 단독이나 기존 아파트 학생들도 통학구역 조정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어 통학구역 변경은 어렵다”고 말했다.부천=오세광기자

GB 레미콘 업종변경 승인 신청 불가처분 관련 소송 패소

개발제한구역에서 레미콘공장으로 업종을 변경하려던 업체의 승인을 불허한 고양시가 해당 업체와의 소송에서 패소한 것과 관련, 항소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대자동에 위치한 원피가공 및 가죽제조 업체인 H사가 레미콘공장으로 공장 업종 변경을 요청한 데 대해 불가처분 처리함에 따라 해당 업체와 ‘공장업종변경승인 불가처분에 따른 불가처분취소소송’을 벌인 결과 최근 패소했다. 재판부는 “해당 건의 처분은 개발제한구역법에 따른 건축물의 건축 또는 용도변경 허가신청에 대한 것이 아니라 산업집적법에 따른 공장업종변경 승인신청에 대한 것이고, 개발제한구역법이 산업집적법의 특별법이라고 볼 수도 없다”며 업체 측의 승소 이유를 밝혔다. 재판부는 “고양시가 산업집적법 시행령에 따라 레미콘 제조업이 기존의 업종보다 공해의 정도가 낮은 업종에 해당하는지 검토하지 않고 공장업종변경승인 불가처분해 위법하다”고 덧붙였다. 화남피혁은 올해 초부터 수차례에 걸쳐 시에 레미콘 제조업으로 공장업종 변경하기 위한 승인신청을 해왔다. 하지만 시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적용해 개발제한구역 내에 이미 설치된 공장을 도시형 공장으로 업종 변경이 불가능하다며 승인을 내주지 않았고, H사는 시를 상대로 올해 4월 행정소송을 제기, 원심에서 승소했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과 소통하고, 관련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항소심에서 꼭 승소하겠다”고 말했다. 고양=김상현기자

안산, 새천년종합건설㈜ 시공 덕인초 인근 초고층 아파트 449세대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로 분양 시장이 실수요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우수한 교육 여건을 갖춘 단지들이 실수요자들에게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최근 등하굣길 어린이와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한 각종 범죄와 사고가 이슈화되면서 자녀를 둔 수요자들에게는 ‘안심통학’이 내 집 마련의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바로 이런 특성을 지난 곳이 바로 새천년종합건설㈜ 시공으로 안산덕인초 인근(단원구 와동 762)에 들어서는 ‘안산 천년가 리더스카이’다. 와동 최초의 초고층 아파트로 지하 3층에 지상 22~33층 등 4개 동으로 총 449세대 규모다. 타입은 △59㎡A 21세대 △59㎡B 21세대 △59㎡C 90세대 △65㎡A 69세대 △74㎡A 124세대 △84㎡A 124세대 등 6가지로 구성됐고 현재 잔여세대를 선착순 분양하고 있다. 단지와 연결된 뒷산 산책로는 아이들에는 생태학습장으로 인근에 있는 광덕산은 중년층들에게 등산로를 제공하고 와동체육공원 및 꽃빛공원 등은 쾌적한 주거 환경을 가능케 할 전망과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분양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8ㆍ2 대책의 여파로 투기과열지구,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시장 분위기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에 따라 규제를 비켜간 안산 천년가 리더스카이의 반사이익이 기대되고 있다”고 전했다. 모델하우스는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24-1에 있다. 안산

제5회 강화인삼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