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테크노밸리 매출 77조 돌파 대한민국 경제 이끈다

판교테크노밸리(판교TV)가 조성 5년 만에 15배 이상의 폭발적인 성장을 거두면서 경기도를 넘어 대한민국 첨단산업의 중추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지속적인 성장세에 따라 입주기업 내에서는 제2의 도약을 위해 공간 확장 등 전략적 육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8일 경기도가 발표한 ‘2017년 판교TV 입주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판교TV 내 입주기업은 총 1천306개로 이들의 매출액은 약 77조 4천833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매출은 전국 광역 지자체 지역 내 총 생산(GRDP) 기준으로 7위 규모이며, 부산 (78조 원), 인천(76조 원)과 비교했을 때도 대등한 수준이다. 입주기업 수는 2015년 말 1천121개사 대비 185개사가 증가(16.5%↑)했고, 매출액은 70조 2천778억 원에서 약 7조 2천55억 원이 늘어났다. 입주기업 83개, 매출액 약 5조 수준이었던 2011년 판교TV 조성 당시와 비교해 보면 불과 5년 만에 15.5배가 증가하는 폭발적인 성장을 보인 것이다. 근로자 수도 2015년 말 7만 2천820명 대비 1천918명이 증가(2.63%↑) 한 7만 4천738명이며, 신규채용 인원도 1만 344명에 달했다. 이처럼 판교TV가 지속적인 성장을 보임에 따라 입주기업들은 양호한 입지와 우수인력 수급 등으로 기업의 성장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공간 확장과 비즈니스 인프라 및 주거공간 확보 등 전략적 육성에 대한 검토 필요성도 제기됐다. 강석균 안랩 전무는 지난달 31일 남경필 경기지사 주재로 진행된 간담회에서 “판교는 임대료와 높은 경쟁률로 신규 진입장벽이 높은 것이 현실”이라며 “도에서 벤처와 스타트업을 위한 공간을 많이 확보해 줘야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를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판교의 IT 대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제조 중소기업의 R&D센터 공간, 판교 방문기업인을 위한 호텔ㆍ모임 등 비즈니스를 위한 공간, 판교 내에서 임직원 또는 가족과 함께할 수 있는 문화 공간 등 판교의 확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남 지사는 “추가적인 수요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판교가 세계적인 혁신 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겠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도정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05년부터 조성된 판교TV(약 66만㎡)는 현재 44개 필지 중 42개 필지가 준공돼 95%의 완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3월부터 7월까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실시했다. 정일형기자

의왕경찰서, 사회약자보호 3대 치안정책 추진본부 회의 개최

의왕경찰서는 최근 사회적 약자 보호 3대 치안정책 추진본부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오문교 서장을 비롯해 전 기능 과ㆍ계(팀)장이 참석한 가운데 경찰서 회의실에서 개최된 이번 회의는 소관 국정과제인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해 마련된 3대 치안정책(젠더폭력 근절, 학대ㆍ실정 대책 강화, 청소년 보호)의 조기 정착과 현장에서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마련됐다. 회의는 사회적 약자보호 3대 치안정책의 개요와 기능별 추진과제 설명, 재개발 지역 여성 범죄안전 환경 조성 등 현안사항 발표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의왕시의 민생안전 확보와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해 기능 간 칸막이를 없애고 의왕경찰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을 다짐했으며 현재 추진 중인 여성폭력 근절 100일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몰카 등 성범죄ㆍ데이트 폭력 집중 단속’ 및 ‘청소년 성매매 근절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의왕경찰서는 오 서장을 추진본부장으로 격주로 회의를 개최해 사회적 약자 보호 3대 치안정책의 추진사항을 점검하고 주민이 정책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주요 성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오문교 서장은 “여성ㆍ아동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치안정책은 마땅히 해야 할 과업으로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시책을 추진하고 성과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안전망 확충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자”고 당부했다. 의왕=임진흥기자

석유관리원, 베트남에 석유관리 기술교육 실시

한국석유관리원은 베트남 석유분야 정부 및 공공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석유 품질관리 시스템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한다고 8일 밝혔다. 지난 7일부터 오는 10일까지 4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기술교육은 2006년 한국석유관리원과 베트남 품질기술원(STAMEQ, Directorate for Standards, Metrology and Quality) 간 체결한 기술협력 양해각서(MOU)의 후속조치로, 10회째 시행되고 있다. 이번 교육에는 베트남 품질기술원 공무원과 국영석유회사(Petrolimex) 직원 등 14명이 한국을 방문해 교육을 받는다. 그동안은 한국형 석유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교육하는 기초과정으로 진행됐으나, 올해는 시험실 설치부터 시험분석 숙련도 향상까지 석유제품 시험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화과정으로 진행된다. 주요 내용은 ▲시험분석 비교숙련도 프로그램 ▲석유제품 시험분석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기준 ▲분석장비 유지관리 ▲석유기술연구소 및 SK인천석유화학 시설견학 등으로 구성됐다. 신성철 이사장은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석유제품 시험분석 기술전수를 통해 베트남의 석유품질관리 체계 수준이 더욱 향상되기를 바란다”며 “이 같은 두 기관 간의 지속적인 교류가 양국의 우호협력관계 발전을 위한 가교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석유관리원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동북아플러스 정책에 적극 부응하기 위해 베트남, 태국 등 아세안(ASEAN) 및 몽골 등 중앙아시아 지역의 개발도상국가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기술교류 및 교육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성남=강현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