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 왕송호수 제방 안전시설 설치안돼 안전사고위험

의왕시 초평동 왕송호수 제방 일부 구간에 안전시설이 설치돼 있지 않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호수를 소유하고 관리하는 한국농어촌공사측은 설치 예산을 놓고 의왕시와 협의중으로 안전시설의 설치 시점은 확답할 수 없다고 밝혀 호수를 찾는 주민과 행락객들의 안전이 우려되고 있다. 26일 한국농어촌공사 화성수원지사와 의왕시, 주민 등에 따르면 최근 의왕시 초평동 왕송호수는 제방을 따라 호수를 순환하는 운동코스로 조깅을 하는 주민들이 늘어나고 있을 뿐 아니라 레일바이크 운행으로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와 행락객들의 산책코스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 제방 640m 중 호수 남쪽 수문에서 레일바이크가 다니는 레일이 설치된 구간에 이르는 50여m에는 호수와 제방사이에 안전시설이 전혀 설치되지 않은 채 방치돼 있어 산책을 하기 위해 이 구간을 지나는 주민과 행락객들이 추락 등 안전사고 위험을 안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반면 한국농어촌공사 소유인 의왕시 학의동 백운호수의 경우 호수제방 구간 250여m에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펜스가 설치돼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에 주민과 행락객들은 “레일바이크 설치 구간은 안전시설이 설치돼 있는데 수문쪽 제방구간은 전혀 설치돼 있지 않아 산책을 할 때 위험하고 특히 전기시설도 없어 밤에는 더욱 위험하다”며 “사고가 발생하기 전 백운호수에 설치된 안전펜스 같은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민원이 의왕시 홈페이지에 접수되자 시는 왕송호수를 소유한 한국농어촌공사로 민원을 이첩했다. 이에 대해 한국농어촌공사 화성수원지사 관계자는 “의왕시가 레일바이크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어 안전시설을 농어촌공사가 설치해야 하는 것인지, 의왕시가 설치해야 하는 것인지 애매하다”면서 “안전시설 설치에 필요한 예산문제로 의왕시와 협의중으로 긍정적으로 검토하겠지만 언제까지 설치할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

가천대 성과 공유, 확산 학부교육의 혁신모델 제시

가천대학교(총장 이길여)는 26일 대학 리버럴아츠홀에서 ACE사업(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학부교육선도대학 육성사업) 성과발표회를 열었다. ACE사업은 교육부가 2010년부터 학부교육의 선도모델을 발굴하여 확산하는 사업으로 가천대는 작년 경기, 인천지역 대학 중 유일하게 선정되어 7월부터 4년간 학부교육의 패러다임을 질적으로 전환하는 ‘G형 인재 양성을 위한 바람개비 교육혁신 모델’을 추진하고 있다. 가천대는 이날 그동안 추진해온 7대 핵심전략과 7개 영역, 30개 핵심 사업, 86개 세부 프로그램의 성과를 발표하고 공유했다. 7대 핵심전략은 ▲리버럴아츠칼리지 교양교육 강화 ▲창조 융합형 전공교육 심화 ▲인성기반 아카데믹 비교과교육 확산 ▲창조 융·복합 특성화 학사구조 창출 ▲생애주기형 학생케어 시스템 구축 △역량중심 티칭·러닝 프로그램 확대 ▲빅데이터 기반 교육과정 평가인증 관리이다. ACE사업 선정 이후 교양교육 전담기관으로 인성교육, 교양기초교육을 강화하고 기초학문을 통한 대학 교육경험의 질적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를 신설하고 ▲창조융합원 ▲생명과나눔센터 ▲교양교육연구센터 ▲기초과학연구원 ▲아너스(Honors)센터 ▲G-OKC(Open Knowledge Center) ▲교육과정평가인증원 ▲문사철교육위원회 ▲학부교육질관리위원회 등 10개의 학부교육 선도 조직을 만들었다. 기초학문중심의 교양교육 강화를 위해 교양 교육과정에 기초 학문 분야를 강화해 기초학문 지식 획득에 날개(Wing)를 단다는 의미를 담은 ‘기초학문 WinG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생명과 나눔 센터를 중심으로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인문학·사회과학·자연과학·공학·예술을 아우르는 문·이과 통합형 교양강좌인 ‘위대한 강좌 G-series’도 5강좌를 개설했다. 이 강좌는 강의 우수교원들이 역사적 사건과 인류사회 발전의 연결고리를 오늘날의 의미로 새롭게 재해석해 테드(TED) 강연방식으로 진행하는 강좌다. 그밖에도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인지과학’ 등 교양과 전공의 융·복합과정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문·이과의 학문적 장벽과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융·복합 교육을 강화해 본 전공 이외에 심화전공·복수전공·연계전공의 이수를 의무화하고, 비경계 융합과정을 확대해 전공교육의 전문가적 수월성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특히 전공교육과정 공통프레임워크 재정비를 통한 비경계 융합교육과정 확산과 현장 창의형 문제해결 프로젝트, 전공심화 교육 확대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비교과교육 전담조직 아너스 소사이어티(Honors Society)를 중심으로 △비교과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비전도전 프로그램 △융복합 창의 캠프 △가천문화 재창조 프로젝트 등을 운영하고 교수학습센터의 전문역량 강화를 통한 러닝 역량 배가, 무크(MOOC)기반 창의수업과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학습모델 확산 등 교수학습법도 혁신하고 있다. 가천대 조효숙 부총장(ACE사업추진위원장)은 “지난 1년 동안 ‘학부교육 선도모델 제도개혁과 기반 조성’에 주력하며 학부교육 혁신과 ACE 사업의 성공적 사업 추진을 위한 안정적 토대를 마련했다”며 “이 같은 성과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길러주며, 국가와 사회가 필요로 하는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대학 본연의 소임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평택항 대룡해운 한중카페리 휴항, 대체선 용선 못해 컨테이너 수송 물량 감소 전망

평택ㆍ당진항에서 중국 산둥성 영성시 용안항을 운항하는 대룡해운이 카페리 선박 휴항에 이어 대체선인 컨테이너선까지 영업을 중단, 평택항 수송 물동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대룡해운과 평택시에 따르면 대룡해운은 지난 2월6일 설 연휴를 맞아 중국 취항지인 룽옌항 조선소에 2만5천t급 카페리선 융사(YONG XIA)호 점검에 들어갔다가 가스가 폭발, 인명피해까지 발생하면서 휴항했다.회사 측은 곧바로 여객을 포기하고 대체선으로 RO-RO(화물차를 이용해 하역하는 방식) 화물선인 ‘스타링크원’을 용선해 컨테이너 화물만 운반해 왔다. 최근 대체선박의 용선 기간이 만료되자 대룡은 선박을 반환하고 지난 15일부터 영업을 중단했으며, 24일에는 평택지방해양수산청에 휴업ㆍ휴항 신청을 했다. 대룡해운측은 현재 연태훼리㈜에서 건조 중인 시블루웨일(1만9천t급)이 내년 4월께 건조완료되면 현재 연태훼리에서 운항중인 선박(Stena ageria)을 용선해 6월께 재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안전강화책으로 화물과 여객을 동시에 수송하는 화객선(카페리)은 선령 10년 미만 선박으로 선령을 제한하고 있고 연태훼리 임대 계획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이 때문에 평당항 5개 항로의 카페리 컨테이너 수출입화물 19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가운데 대룡해운이 처리하는 25% 4만7천여TEU 물량이 타 선사 및 인천항으로 분배될 것으로 예상된다. 카페리 선박의 컨테이너 화물은 화물선보다 운송 기간이 2∼3배 단축돼 시간을 다투는 반도체 등 전자ㆍ전기 화물과 소량혼재화물(LCL=Less than Container Load) 수송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정홍 대룡해운 대표이사는 “대체선박을 용선하지 못해 휴항하게 됐다”며 “용선을 하면 내년 6∼7월에, 신조선으로 할 경우 2년 뒤에 영업을 재개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평택시 관계자는 “카페리의 휴업으로 인해 대룡해운의 화물이 타 선사로 분배되기도 하지만 일부분은 인천항 등으로 이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평택항 전체적으로 보면 화물 물동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중 합작법인(한국측: 대아그룹, 중국측: 영성시 서하구그룹) 영성대룡해운㈜는 지난 2001년 5월30일 설립, 그해 10월17일 평택항 국제여객터미널 개장시 최초 카페리로 취항해 2015년 기준 취급 물동량 여객의 25%, 화물의 25%를 처리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