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읽어주는 남자] 김윤경숙의 ‘항상 존재하는 섬’

5년 전 딱 이맘 때.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에서 진행한 김윤경숙 작가의 ‘The Isle of Jaehang_Ubiquity’라는 전시를 보러 갔었죠. 작가는 주 전시실에 ‘항상 존재하는 섬’을 설치해 놓았던군요. 어떤 사건의 체험과 생체권력의 이미지가 사회화의 언어로 구조화 된 것이 아마도 그의 전시공간 연출이 아니었을까 싶어요. ‘섬’의 구조는 18세기 영국의 제레미 벤담이 제안했던 학교, 공장, 병원, 감옥의 구조를 닮았었거든요. 소수 권력에 의한 감시체계로서의 판옵티콘(Panoption)이죠. 푸코는 컴퓨터의 통신망과 데이터베이스를 그것에 비유했고, 실제로 우리는 정보기술로 구축된 감시체계의 세계에 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잖아요. 빨간 테이프로 전시공간을 위아래 구분한 뒤 그 가운데에 아시바 구조의 전망대를 둔 공간연출을 보세요. 그는 관람객으로 하여금 아시바 위에 올라가 망원경으로 벽에 붙인 오브제 작품을 읽거나 보도록 했어요. 테이프의 위 경계지를 따라 쓰거나 붙여놓은 글과 그림들이 있었죠. 사실 이 구조는 판옵티콘의 감시체계를 닮긴 했으나 감시자의 시선을 관람객에게 둠으로써 권력의 구조를 뒤바꿔놓는 아이러니가 있어요. 이 작품에서 감시자는 권력자가 아니라 시민이거든요. 직접 벽에 쓰거나 혹은 붙여놓은 글과 그림들은 그가 보았고 읽었고 알았던 생체권력의 파편들이었어요. 역설적이게도 그는 권력의 파편들을 박제하듯 붙여 놓고 시민을 전망대 위에 세워 놓았어요. 그런데도 저는 이 미묘한 권력의 재편이 어떤 부자연스러움과 불편함과 공포를 불러일으키더군요. 전망대는 전면화 된 빨간 테이프의 표면위에 부유하듯 떠 있어서 그 아래를 살필 수 없었어요. 살필 수 없어서 ‘시민’은 철저히 홀로 주체로 남지요. 그렇다면 전망대 아래의 붉은 방의 의미는 무엇일까? 작가는 ‘항상 존재하는 섬’이라 했어요. 그의 작품의 구조를 의미 짓기 하면, 아래가 생체권력이 작동하는 통제사회이고 위가 비가시적 존재로 살아가는 권력일 거예요. 섬은 둘을 균형 잡기 하거나 균형이 불균형으로 변질될 때 작동하는 시민 권력일 수 있어요. 그러나 그 모든 사회화의 언어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업은 지극히 ‘개인화’ 될 수밖에 없는 듯이 보여요. 이때 개인화는 이 작품에 참여한 모든 ‘나’를 말하죠. 시민 그리고 나.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브이 포 벤데타’에서 V는 “신념은 총알로 뚫지 못하지!”라고 외치고, 여주인공 이비는 V를 “에드먼드 단테였죠. 그리고 내 아버지고 내 어머니며, 내 오빠 내 친구였죠. 그는 당신이었고 저이기도 해요. 그는 우리 모두였어요.”라고 절규했죠. 그래서였을까요? 저는 ‘시민과 나’의 의미가 이비의 절규와 겹치더군요.김종길 경기문화재단 문화재생팀장

수원문화재단, 다음달 13일 수원SK아트리움서 국립현대무용단 안애순 예술감독의 대표작 ‘공일차원’ 공연

수원문화재단이 국립현대무용단 안애순 예술감독의 대표작 공일차원을 다음달 13일 수원SK아트리움 대공연장에서 선보인다. 공일차원은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초연 당시 많은 현대무용 애호가들을 공연장으로 불러 모았던 작품이다. 제목 그대로, 0과 1이라는 디지털 세계의 이진법적 부호를 차용해 전쟁과 폭력, 성적 욕망과 병적인 노동윤리 등 개인의 욕망과 억압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마치 컴퓨터 속 게임 같이 꾸며진 무대 위에서 주인공들은 오로지 누군가의 조작에 의해 움직인다. 현실과 가상, 위기와 구원이 혼돈된 무대를 통해 일상을 살고 있는 우리들도 기계화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미술작가이자 영화 만신의 감독 박찬경이 작품 전반의 시각연출을, 영화ㆍ무용ㆍ국악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특한 음악세계를 펼치고 있는 어어부프로젝트, 비빙의 장영규가 음악을 맡았다. 여기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본의 멀티미디어 퍼포먼스그룹 덤 타입(Dumb Type)의 창립멤버이자 조명디자이너인 후지모토 다카유키(Fujimoto Takayuki)가 참여해 차별화된 무대를 준비했다. 공연과 함께 국립현대무용단 클래스지도자 박명훈과 부지도자 한류리가 현대무용의 정의, 공일차원의 안무를 배우는 공연프리뷰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의 국립예술단체 우수공연프로그램 지원사업인 ‘2016 방방곡곡 문화공감’을 통해 문화소외계층에게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재단 관계자는 “우리는 기술이 고도로 발전된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기본적인 삶의 방식을 잊어가고 있다”며 “작품은 대중의 세태를 조명하고, 진정한 삶의 방식에 대해 묻는다”고 말했다. 예매는 수원SK아트리움 홈페이지(www.suwonskartrium.or.kr), 인터파크(1544-1555, ticket.interpark.com)를 통해 가능하며, 자세한 공연 문의는 재단 홈페이지(www.swcf.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31)250-5325

용인정신병원, 정신질환자를 위한 자유로운 창작, 전시 공간 ‘리빙뮤지엄 코리아’ 다음달 3일 개관

45년 역사를 지닌 용인정신병원이 환자들을 위한 자유로운 창작 공간인 리빙뮤지엄을 연다. 용인정신병원은 다음달 3일 원내에 작품 창작, 전시 공간인 리빙뮤지엄을 설치ㆍ 운영한다고 밝혔다. 미국과 네덜란드, 스위스에 이어 아시아 최초의 리빙뮤지엄이다. 미국의 크리드무어 정신병원에서 시작된 리빙뮤지엄은 정신과 환자가 자유롭게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공간이다. 현재까지 수 천명의 환자들이 미술활동을 통해 임상적 회복 결과를 보였다. 또 그들의 미술작품들은 한 장르를 형성, 제도권 교육과 장르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경향을 보이며 ‘아웃사이더 아트’라 불린다. 리빙뮤지엄 코리아 개관식에는 뮤지엄 투어 뿐만 아니라 리빙뮤지엄의 취지를 설명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된다. 이미 리빙뮤지엄을 운영하고 있는 해외 3개국의 리빙뮤지엄 디렉터들이 참석해 학술 세미나를 연다. 아울러 리빙뮤지엄 다큐멘터리 상영과 합창단과 밴드의 축하공연 등 다양한 문화 이벤트가 준비된다. 김성수 정신과 전문의는 “정신질환은 인간에게 고통을 주지만 무의식 속 직관과 창조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라며 “문화계의 저변 확대와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은 물론이고, 소외돼 온 정신과 환자들에겐 회복 기회와 희망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용인정신병원은 지난해부터 아웃사이더 아트 전문 미술관인 벗이미술관을 운영 중이며 벗이미술관에서는 오는 29일부터 해외 3개국 리빙뮤지엄 대표작들로 구성된 리빙뮤지엄 초청전을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