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아랍어 메모 협박범…2심서 징역 8월→1년

인천국제공항 화장실에 아랍어로 된 협박성 메모와 함께 폭발물 의심 물체를 설치한 혐의로 기소된 30대 남성이 항소심에서 1심 보다 높은 형을 선고받았다. 인천지법 형사항소4부(김현미 부장판사)는 항공보안법 위반 및 특수협박 등의 혐의로 기소된 A(35)씨에 대해 징역 8월의 1심 판결을 파기하고 징역 1년을 선고했다고 27일 밝혔다. 항소심 재판부는 범행 당시 심신미약 상태였다는 A씨의 주장을 기각하고 1심 양형이 지나치게 낮다는 검찰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 A씨는 1월 29일 오후 3시 38분께 인천국제공항 1층 남자화장실 첫 번째 좌변기 칸에 폭발물 의심 물체와 함께 아랍어로 된 협박성 메모지를 남긴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당시 범행으로 C입국장 주변이 2시간 동안 전면 폐쇄되고 도착 예정인 항공기 17편이 우회 착륙해 승객 3천여명의 입국 수속이 지연됐다. 범행 후 2분 만에 공항을 빠져나가 자택이 있는 서울로 도주했다가 닷새 만에 검거된 그는 "범행 후 실시간 속보가 이어지고 온 나라가 테러공포에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면서 막힌 속이 뻥 뚫리는 것과 같은 자극적인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대학원을 나온 비올라 전공자로 무직인 A씨는 당시 "취업이 안 돼 돈이 궁했고 짜증이나 평소 사회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고 범행 동기를 밝혔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우울증 등을 앓고 있긴 하지만 범행 경위와 범행 전후 행동 등을 종합해 보면 (당시) 사물을 변별할 능력이나 의사결정 능력이 미약한 상태였다고 보이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이어 "외형상 폭발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물건을 아랍어로 된 경고문과 함께 공항에 설치했다"며 "범행 수단과 방법을 보면 죄질이 매우 좋지 않고 수천 명의 입국 수속이 지연되는 등 물적 피해의 결과도 중하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양형 조건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면 원심의 형은 너무 가벼워서 부당하며 검사의 주장은 이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재판부는 검찰이 기소한 A씨의 폭발성물건파열예비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한 1심 판결을 유지했다.앞서 A씨는 범행 당시 조현병, 양극성 정동장애, 우울증 등으로 인해 심신미약 상태에 있었다는 점을 들어 항소했고, 검찰은 그가 제작한 폭발물은 폭발이 가능한 물건으로 폭발성물건파열예비죄를 무죄로 판단한 원심은 법리를 오해했다며 항소했다. 연합뉴스

전국 흐리고 ‘가을비’…서울·경기 예상강수량 10∼50㎜

화요일인 27일 전국에 가을비가 내리면서 늦더위가 물러날 전망이다. 전국이 흐리고 비(강수확률 60∼80%)가 오겠고, 경기 남부와 충청도는 28일 새벽까지 비가 내리는 곳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상강수량은 제주도·경남 해안이 30∼80㎜, 서울·경기도·충남·전남 등이 10∼50㎜, 전북·경북 등이 5∼20㎜다. 아침까지 내륙을 중심으로 안개가 짙게 끼는 곳이 있고, 낮 동안에도 옅은 안개가 남아있는 곳이 있어 교통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이날 오전 5시 현재 전국 주요 지역의 수은주는 서울 22.1도, 인천 23.2도, 수원 21.5도, 춘천 18.3도, 강릉 17.5도, 청주 21.7도, 대전 21.8도, 전주 21.5도, 광주 21.8도, 제주 24.4도, 대구 21.2도, 부산 23.2도, 울산 20.9도, 창원 22.3도 등을 가리키고 있다. 낮 최고 기온은 23도에서 30도로 중부지방은 전날보다 낮고, 남부지방은 전날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은 전날 29도까지 올라갔던 낮 최고 기온이 24도로 떨어질 것으로 예보됐다. 바다의 물결은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서 2∼4m로 매우 높게 일고, 그 밖의 해상에서는 0.5∼3m로 일 것으로 예상된다. 당분간 모든 해상에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치는 곳이 있고,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는 물결이 높게 일겠으니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유의해야 한다. 제주도와 일부 남해안에는 너울에 의한 파도가 방파제·해안도로를 넘을 수 있어 피해가 없도록 조심해야 한다. 연합뉴스

동해서 해군 링스 작전헬기 1대 추락…3명 탑승

우리 해군의 링스 작전헬기 1대가 26일 동해에서 한미 연합훈련 중 추락했다. 해군은 "오늘 오후 9시 5분께 동해상에서 연합훈련 중이던 링스 해상작전헬기 1대가 추락해 탐색 중"이라고 밝혔다. 추락한 헬기에는 조종사 A 대위를 포함한 3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이 헬기는 이날 오후 8시 57분께 이지스구축함에서 이함했고 8분 만인 9시 5분께 구조 신호를 보낸 다음, 통신이 두절되고 레이더에서 사라진 것으로 파악됐다. 헬기가 추락한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는 강원도 강릉과 속초 앞 해상으로, 육지와는 상당히 떨어진 지점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은 구조 신호를 접수한 즉시 훈련 중이던 함정과 항공기 등을 현장에 급파해 주변 해역을 수색 중이지만, 야간이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추락한 링스 작전헬기는 이날 북한 동해안과 가까운 해상에서 미 해군과 적 지상 목표물을 정밀타격하는 훈련에 참가 중이었다. 이번 훈련에는 링스 헬기 외에도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을 비롯한 수상함 3척과 잠수함 1척, P-3 해상초계기 1대가 참가했고, 미 해군의 알레이버크급 유도미사일 구축함인 9천500t급 스프루언스함과 P-3 해상초계기가 참가했다. 링스 작전헬기가 추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0년 4월 15일에도 해군 3함대 소속 링스 헬기 1대가 전남 진도 앞바다에서 추락해 탑승자 4명이 사망한 바 있다. 영국 웨스트랜드사가 개발한 링스 작전헬기는 해상초계, 대잠·대함 작전을 주임무로 하며 대함용인 공대함유도탄 '시스쿠아' 4발과 어뢰, 기뢰 등을 탑재해 현장에서 단독 작전을 할 수 있다. 군 관계자는 "오늘 밤새 수색작업을 할 예정"이라며 "내일 오전에 수색 결과를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