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장애인 인권, 종사자만의 책임인가?

인권(人權)이란 ‘인간으로서 마땅히 누릴 권리’의 뜻으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어떠한 이유에도 차별받지 않고 행복을 누릴 자유와 권리를 가진다. 더불어 장애인 인권이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대우를 받기 위한 인권의 확장된 개념이다. 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을 지니고 있고 기본적인 권리를 주장하고 대우받을 수 있어야 한다. (장애인복지법 제4조) 하지만, 최근까지도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여러 차례 발생한 이용장애인 폭행 사건, 장애인 강제노역 및 가혹행위 사건 등이 언론에 보도되며 장애인 인권침해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인지능력이 낮은 지적장애인이 스스로 인권문제를 제기하기 어려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정부는 ‘장애인 거주시설 인권보호 강화대책’을 통해 장애인 거주시설 내 공동공간 CCTV 설치, 종사자의 인권교육 의무화, 피해쉼터 설치 등을 추진하고, 장애인 인권침해 사례를 신고할 수 있도록 해당 문제 지역의 실태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 사회복지사는 모든 일에 있어서 만능인 ‘신의 한수’가 아니다. 복지사 또한 전문 직업 분야 중 하나일 뿐이고 언론에 비춰진 비윤리적인 종사자는 일부 개인적 문제이거나 상황 전반을 파악하지 못한 채 오보되는 경우도 있다.대다수의 많은 종사자와 기관은 인권강화와 윤리경영을 위해 부단히 노력 중이다. 더불어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국가·지자체 외에도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대학교 등 교육기관과 모든 형태의 공공기관까지 장애인식개선교육 의무기관으로 지정되어 인권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장애인들은 올바른 장애인 인권의식 함양을 도모할 수 있고, 종사자들은 자질 향상 및 전문성 강화와 함께 인권의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사회적 약자의 인권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보호와 옹호 활동을 지원할 종사자의 인권 또한 중요한 측면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해 종사자와 이용자 서로 간의 이해를 높여 인권 침해 발생 사례를 예방하고 인권과 권익을 높여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회적 약자가 공감하는 인권정책 개발과 실질적인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인권의식이 선행되어 장애인을 바라보는 인식과 행동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은 장애인들이 인권침해 없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하루빨리 만들어야 할 사회 모두의 책임이 아닌가? 이흥로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장

[기고] 2% 부족한 삶에 대한 깨달음

‘人生 百年에 苦樂이 相半’이라는 말이 있다. 인생살이에 괴로움과 즐거움이 반반이란 뜻이다. 그러나 요즈음에 와서는 인생을 살면서 잘 나갈 때는 20%, 나머지 80%의 위기에 늘 대비하며 살아야 한다고 한다. 실감나는 말이다. 공식적인 사회생활에서 은퇴 후 홀로 여행을 하면서 지난 삶을 돌이켜볼 기회가 있었다. 그때 제일 먼저 아내를 떠올리며 정말 미안하다는 생각에 눈물을 훔쳤던 기억이 새롭다. 그동안의 삶을 곰곰 생각해보면 항상 부족했다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가 없다. 뭔가 2% 부족함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그동안 내가 거쳤던 자리마다 많은 일을 이루기도 했고, 많은 사람들을 접할 수 있었던 기회를 가졌던 것은 나의 인생에서 큰 행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내가 접했던 사람들에게 잘못은 없었는가? 하는 생각에 개운치 못한 것은 그 2%의 부족함 때문일 것이다. 결국 2% 부족한 인생을 살았다는 말이다. 그동안 살아온 나날을 회상하면서 세 가지 깨달음을 갖게 된 것은, 어쩌면 앞으로 30년 이상을 더 살아가야 하는 삶에 대한 나침반 역할을 하리라는 믿음으로 곱씹어 보기로 하자. 먼저 세상 사람들은 나에게 내가 생각하고 있는 만큼 그렇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만 해도 바쁜 세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의 눈을 너무 의식하며 살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지레 자격지심에서 위축될 필요가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또, 나를 아는 모든 사람들이 나를 좋아해주길 바라지 말아야 한다. 나 자신이 그들을 다 좋아하지 않는데 어떻게 모든 사람들이 나를 좋아해 줄 수 있겠는가? 괜한 오해로 미움을 쌓거나 우울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끝으로 다른 사람들을 위한다고 하는 행위들은 사실은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다. 나보다 부족한 사람을 짓밟고 올라서려 하지 말고, 나보다 잘난 사람을 시기하여 질투하지 말고, 그냥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하며 살아감이 옳지 않을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즐겁게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2% 부족했던 삶을 그나마 채울 수 있는 마지막 길일 것이다. 내가 먼저 행복해야 세상이 행복한 것이고 그래야 또 내가 세상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나머지 인생을 살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국 2% 부족한 지나간 인생이라도 생각 여하에 따라 그것을 채울 수 있는 길이 있음을 깨달아야 하겠다. 최무영 ㈔천사운동본부중앙회 본부장·이학박사

제71주년 광복절 경축행사

제71주년 광복절 기념하며 만세행진

8.15 광복절 기념 한복모델 선발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