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섭 “수도권 규제완화,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새누리당 정유섭 의원(인천 부평갑)은 13일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발전을 취지로 지난 1982년 제정돼 35년째 유지되고 있는 ‘수도권정비계획법’(이하 수정법)과 관련, “수도권과 지방의 균열이나 갈등적 차원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수정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할 계획인 정 의원은 “수도권 이외 일부 지역언론에서 우려섞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이 문제를 굳이 지역간 대립적 시각으로 바라볼 것은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지역균형발전’이라고 하는 중요한 가치를 보전하면서도 국가의 전반적인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대기업이나 해외로 진출한 국내 기업들이 다시 국내로 투자처를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수정법을 당장 폐기하자는 것이 아니라 일정기간 적용을 유예해 국가발전의 원동력인 수도권 경쟁력을 강화시킴으로써 기업 투자를 확대하고 새로운 먹거리 성장동력을 창출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수도권 규제는 경제활성화나 일자리 창출 등 당면 현안을 해결한 이후에 다시 논의해도 늦지 않다”면서 “수정법이 이같은 상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것을 뻔히 알고 있으면서도 애써 이를 모른척하는 것은 국회의원으로서 직무유기”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수도권 지역내 공장이나 대학 신설 등을 제한하고 있는 현행법의 적용을 3년간 유예하고, 농어촌 지역 등을 수도권규제 대상에서 제외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수정법 개정안’을 조만간 제출할 예정이다. 김재민기자

인천지역 상습 체불 사업주 명단 공개… 3년동안 4천만~5천만 원 상당 임금 떼먹어

인천지역 3곳의 사업체가 최근 3년 동안 수천만원의 근로자 임금 등을 떼먹은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상습 체불사업주 명단’을 살펴보면, 인천에서는 3곳의 사업체가 4천만원~5천만원의 근로자 임금 등을 체불했다. 서구 원창로 주식회사윈앤윈써키트는 근로자 20명으로부터 4천465만7천332원, 부평구 경인로의 세계환경관리주식회사는 69명으로부터 5천475만4천290원, 남구 주안로의 유림축산은 2명으로부터 4천613만3천630원을 체불한 것으로 밝혀졌다. 고용부는 기준일 이전 3년 이내에 임금 체불로 2회 이상 유죄 확정된 사업주 중 기준일 이전 1년 이내 체불총액이 3천만원 이상이면 명단 공개, 2천만원 이상인 체불사업주는 신용제재 조치를 하고 있다. 명단 공개 대상자는 개인정보 및 사업장 이름·주소와 3년간 임금 등 체불액을 관보·와 노동부 홈페이지, 지방고용노동관서 게시판 등에 3년간 공개한다. 한편, 이번에 공개된 전국의 상습 체불사업주는 116명, 3년간 평균 체불금액은 6천633만원으로 집계됐다. 정지원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관은 “임금 체불에 대한 엄중한 사법조치와 사업장 감독을 강화할 것”이라며 “상습 체불과 관련한 제도 개선도 병행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금감원 인천지원, 지역 금융기관협의회 꾸려 현안 공동 대응

금융감독원 인천지원이 ‘인천지역 금융기관협의회’를 꾸려 지역 금융 현안 공동 대응에 나선다. 금감원 인천지원은 지역 주요 금융기관 70곳과 금융기관협의회를 꾸려 ‘킥오프’ 회의를 가졌다고 13일 밝혔다. 인천 금융기관협의회는 금감원 인천지원장을 비롯한 지역 금융회사 본부장 등 5개 업권 70명으로 구성됐다. 금감원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8일까지 생명보험, 손해보험, 비은행, 증권, 은행·카드사 들과 릴레이 회의를 갖고 지역 내 민원 감축, 금융교육 강화, 금융범죄 예방 등 역점 추진사항을 설명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금융 애로 해소를 위해 ‘중소기업 금융지원 협의회’를 꾸리고, 중소기업-금융기관-유관기관이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구축해 맞춤형 금융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키로 했다. 금감원은 향후 금융기관협의회 뿐만 아니라 검찰,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불건전 영헙행위와 사기성 민원 악용행위 등을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황인하 금감원 인천지원장은 “금융기관협의회가 인천 각종 금융 현안 해결의 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각종 협의체와 연계해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