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예체능.
폭스바겐 리콜 계획 거부.
박해진 조심해라.
박정희 공원 재추진 논란.
HMC투자증권은 13일 제주항공에 대해 고성장 초기 단계에 진입했다며 단기 이익 모멘텀 부진을 매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5만9000원을 제시했다. 강동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제주항공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동기대비 25%, 5.1% 증가한 1695억원, 103억원을 기록해 컨센서스(시장 추정치)를 하회할 것”이라며 “지난해 11월 상장을 염두해 둔 비용 집행 이연 가능성과 상장과 관련된 일시적 비용 부담 증가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단기 이익 모멘텀 부재는 매수 기회라고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파리 테러 여파로 유럽노선 수요 성장세가 하락중인 가운데 터키 테러까지 발발한 상황”이라며 “또한 원달러 환율 상승은 장거리 노선 여행 매력을 반감시키는 요인으로 단거리 노선의 상대적인 강세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단위 원가 감축 노력이 지속되는 점도 긍정적”이라며 “모의훈련 장치 도입과 운용리스 엔진 구매는 장기적인 단위 원가 경쟁력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연구원은 “올해 실적은 메르스 기저효과와 추가적인 유가 하락으로 하반기부터 전년대비 모멘텀이 강화될 전망”이라며 “고성장 초기 단계에 진입한 상황으로 주가도 2016년 기준 주가수익비율(P/E) 14.9배, 중국 저가 항공사 대비 25% 할인거래 중으로 부담스럽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뉴지스탁 퀀트랭킹 시스템을 통해 동원시스템즈가 모멘텀 99점, 펀더멘탈 87점 등 종합점수 93점을 얻어 13일 유망종목으로 선정됐다. 단기목표가는 11만원, 손절가는 8만3000원이다.뉴지스탁은 동원시스템즈가 최근 인수한 베트남 포장재 기업이 현지 연 포장 부문 1위로 실적 가시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현지 공장을 활용한 수출 증가가 가능해 실적 기여도도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이어 배트남 내수 시장과 사회 인프라 투자 시장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동원시스템즈가 수혜를 볼 것이라며 지난해 4분기 실적과 기관의 수급 모멘텀 역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유안타증권은 13일 LG디스플레이에 대해 “올해 고조되는 OLED기대감과 함께 기업가치도 상향될 전망”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원을 유지했다.이상언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지난 4분기 매출액은 6조8035억원, 영업이익은 64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8%, -90%를 기록할 것”이라며 “3분기까지 상대적으로 견조하게 버티던 40인치이상 대형TV패널가격까지 4분기들어 분기 20% 이상 하락한 것이 수익성 악화의 주 요인”이라고 분석했다.이 연구원은 “올해 LCD시장 영업상황도 녹록치 않다”며 “전방수요를 견인하는 모멘텀이 없고, 중국 패널업체들도 생산경험 축적에 따라 고화질/대형패널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예상했다.이어 “이런 상황에서의 유일한 생존전략은 신속한 OLED전환이다”며 “글로벌 유일한 대형 OLED패널 공급사로 LG디스플레이의 미래 성장 가능성이 주목 된다”고 덧붙였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이베스트투자증권은 13일 신세계인터내셔날에 대해 아웃도어 브랜드 살로몬의 손실과 연결 자회사 비디비치의 손실은 4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기존 18만원에서 14만원으로 하향조정했다.오린아 연구원은 “몽클레르가 2015년부터 지분법 이익으로 인식됨에 따라 해외부문의 성장률은 둔화된 것으로 추정하나, 국내 브랜드의 약진과 라이프스타일 부문의 꾸준한 성장으로 매출액은 컨센서스를 충족하는 수준을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이어 “다만 아웃도어 브랜드 살로몬의 손실(2015년 약 100억원 추정)과 연결 자회사 비디비치의 손실(2015년 약 20억원 추정)은 4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오 연구원은 “신세계인터내셔날은 그룹사 출점에 따른 양적 성장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에 대해서는 실적으로 증명해주지 못했다”며 “2016년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또 오 연구원은 “해외부문에서 몽클레르 소멸효과가 사라지며, 지방시와 셀린느를 중심으로 한 브랜드들이 양호한 성장 중이고, 국내 부문은 살로몬이 철수를 계획하고 있어 영업적자 축소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어 “톰보이는 2015년 대비 17.3% 성장한 1210억원 수준의 매출액 및 OPM 4.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더불어 자회사 비디비치는 구조조정으로 2015년 20억원 수준의 영업적자에서 2016년에는 BEP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뉴지스탁 퀀트랭킹 시스템을 통해 AP시스템이 모멘텀 95점, 펀더멘탈 84점 등 종합점수 90점을 얻어 13일 유망종목에 선정됐다. 단기목표가는 1만5000원, 손절가는 1만500원이다.AP시스템은 애플의 OLED 패널 채택에 따른 국내 주력 거래선의 장비 수주가 기대된다는 평가다. 또 삼성디스플레이가 전환사채 220만주를 전환청구하며 2대주주에 오른것도 긍정적이다.아울러 최근 기관 및 외국인의 순매수가 지속되며 추가적인 모멘텀도 부각되고 있다고 뉴지스탁측은 분석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카카오가 국내 1위 음원서비스 ‘멜론’을 운영하는 로엔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한 가운데 1조8700억원에 달하는 인수가를 두고 증권가의 의견이 분분하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카카오는 로엔 지분 76.4%(1932만2346주)를 1조8700억원 규모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카카오는 로엔의 최대주주인 스타인베스트홀딩스의 보유지분 61.4%(1552만8590주)와 SK플래닛 보유지분 15%(379만3756주) 등 76.4%의 지분을 확보해 최대주주에 올라서게 된다. 카카오는 1조1200억원의 현금과 7500억원의 현물출자 유상증자 방식으로 로엔 지분을 인수한다. 우선 스타인베스트홀딩스와 SK플래닛은 7500억원 규모의 로엔 주식 777만7221주를 현물출자 하고 카카오는 이들을 대상으로 신주 781만3339주를 발행한다. 신주 취득으로 스타인베스트홀딩스와 SK플래닛이 카카오 지분 각각 8.3%(555만5972)와 2%(135만7367주)를 확보하는 구조다. 다만 주당 9만7000원, 총 1조8700억원에 달하는 인수가격은 여전히 논란거리다. 로엔 인수 가격은 지난 8일 시가총액에 23.4%의 경영권 프리미엄이 부여된 것이다. 권윤규 동부증권 연구원은 “카카오는 로엔을 2016년 예상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40.4배의 가격에 인수하는 것”이라며 “같은기간 에스엠과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PER이 각각 25.1배, 20.8배라는 점에서 꾸준한 이익창출 능력, 플랫폼 업체 프리미엄, 하반기 음원 가격 인상 등을 감안해도 고평가 논란이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향후 외부차입 등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우려도 제기된다. 1월 현재 기준 카카오의 보유현금은 7500억원 가량이다. 김동희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카카오는 보유현금과 현물출자 유상증자, 인수금융, 투자유치 등 다양한 형태로 인수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며 “현재 보유현금을 로엔 인수에 모두 투입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추가 차입 진행에 따른 재무건전성 약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이동륜 KB투자증권 연구원도 “로엔 인수에 따른 이익 증가는 긍정적이지만 향후 인수대금 조달을 위한 차입 또는 투자유치가 불가피하다”며 “재무적투자자(FI) 유치를 위해선 높은 가격대의 인수가가 정당화돼야 하고 차입시엔 재무건전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반면 황승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로엔은 온라인 음원서비스 시장점유율 60%의 지배적 사업자이고 추후 경쟁력 훼손 가능성도 작다”며 “시가총액 대비 23.4% 수준의 프리미엄은 높은 수준이 아니다”고 평가했다. 회사 측은 “로엔 지분가치 평가는 기준시가 방법을 인용했다”며 “양수 금액 9만7000원은 최근 상장법인의 경영권 프리미엄 거래 사례 등을 고려할 때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한편 이날 카카오와 로엔은 각각 전날보다 1.48%, 0.24% 오른 11만6400원, 0.24%에 거래를 마쳤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