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제약사, 하반기 들어 10곳 중 8곳 주가 하락…제일약품 석 달 새 ‘반 토막’

올해 들어 고공행진을 펼쳐왔던 상장 제약회사들의 주가가 하반기에 들어 고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이다. 지난 3개월간 상장 제약사 시가총액은 11조원 넘게 줄어들었으며, 10곳 중 8곳꼴로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보건의료 분석평가 전문사이트인 팜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87개 제약사(바이오지주회사 포함)의 시가총액(지난달 30일 기준)은 56조9853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17.0% 감소했다. 87개 상장 제약사 가운데 이 기간에 시가총액이 증가한 기업은 12곳(13.8%)에 그쳤으며, 나머지 75곳(86.2%)이 감소했다. 제일약품의 경우, 지난 3개월간 주가가 51% 가까이 하락하며 시가총액도 반 토막이 났다. 이어 종근당바이오(-44.5%)한독(-40.3%)알보젠코리아(-36.5%)대웅제약(-36.2%)녹십자엠에스(-36.1%)진양제약(-35.4%)테라젠이텍스(-33.7%)대한뉴팜(-33.6%)부광약품(-33.4%) 등도 30% 이상 줄었다. 반면 시가총액이 늘어난 제약사는 슈넬생명과학(99.9%)ㆍCMG제약(45.1%)영진약품(21.1%)오스코텍(13.5%)파미셀(11.4%)이수앱지스(10.4%)대한약품(5.7%)한미사이언스(4.9%)우리들제약(3.8%)국제약품(3.4%) 등이었다. 정보라 동부증권 연구원은 국내 제약바이오 종목에서는 하반기까지 이벤트가 부재한 상황이라며 지금 적극적으로 비중을 확대하기보다는, 내년을 기대하며 소량을 장기적 저가 매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한국가스공사, 저평가 구간 진입… 상승 모멘텀 부재 - 하나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는 한국가스공사에 대해 주가가 저평가 구간에 진입했지만 상승 모멘텀이 없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만5000원을 유지했다. 신민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주가는 2015년 예상실적 기준 주가순자산비율(PBR) 0.35배로 저평가 구간에 진입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신 연구원은 "주가는 올해 1분기 양호한 영업실적 발표와 유가 상승으로 일시적 반등세를 유지했지만 지난 6월 이후 유가 약세로 하락세"라면서 "현재 유가가 장기간 이어질 경우 해외투자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해외투자자산에 대한 손상차손 우려를 줄이기 위해 할인률을 낮추고 대체광구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어 발생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당초 전망을 밑도는 1443억원 적자가 예상된다. 신 연구원은 "7~8월 누적 가스 판매량은 전년대비 8.5% 감소한 397.9만톤을 기록했다"면서 "도시가스용 판매량 감소가 지속되고 있으며, 7~8월 누적 역성장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미수금은 연말까지 당초 목표한 1.4조원 회수가 가능할 것"이라며 "미수금 감소는 장기적으로 금융비용 축소로 이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외국인ㆍ개인 올해 증시서 4.2조 샀다…외국인 현대모비스 '러브콜'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8774억원, 3조3473억원을 순매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기관은 4조8466억원을 순매도 한 것으로 집계됐다. 5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코스피ㆍ코스닥시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에 따르면 외국인은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코스피시장에서 총 8774억원을 순매수 했다. 개인은 3조3473억원을 샀다. 외국인은 1분기 3조1978억원, 2분기 5조3250억원 등 2월부터 5월까지 연속 순매수를 이어갔다. 그러나 6월부터 9월까지 연속 순매도로 전환해 3분기에만 7조6453억원을 팔았다. 업종별로는 화학(1조9372억원), 운수장비(1조1567억원), 금융업(1조926억원) 순으로 순매수 했다. 반면 전기전자(2조749억원), 유통업(1조370억원), 음식료(6249억원) 순으로 순매도 했다. 종목별로는 현대모비스를 가장 많이 샀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 순매수 상위 종목은 현대모비스(7536억원), LG화학(7377억원), 한국전력(6665억원), 삼성생명(5903억원), NAVER(5084) 순이었다. 외국인 순매도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1조7848억원), 신세계(5442억원), 이마트(4317억원), 아모레G(3625억원), KT&G(2991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은 1분기 1조4308억원 순매도 했으나 2분기 1조6550억원, 3분기 3조960억원을 순매수 했다. 반면 이 기간 기관은 코스피시장에서 4조8466억원을 순매도 했다. 기관은 1분기 2조9863억원, 2분기 5조9127억원을 순매도 했다. 그러나 지난 8~9월에만 4조9557억원을 순매수해 3월 이후 지속된 순매도에서 순매수로 전환했다. 기관 순매수 상위 종목도 현대모비스(6522억원)로 나타났다. 이어 신세계(5385억원), KT&G(4318억원), 삼성전자(4225억원), 이마트(4146억원)순이었다. 기관 순매도 상위 종목은 SK하이닉스(1조2745억원), 현대차(9162억원), 현대모비스(8260억원), LG디스플레이(7340억원), 아모레퍼시픽(7349억원) 순이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기관이 5412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7883억원을 순매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은 1분기 2209억원, 2분기 814억원, 3분기 4860억원 등 매도 규모를 확대하며 연속 순매도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순매수 상위종목은 이오테크닉스(1091억원), 오스템임플란트(9662억원), OCI머티리얼즈(8588억원) 순이었으며, 순매도 상위종목은 셀트리온(3494억원), 파라다이스(2558억원), 서울반도체(1429억원)로 집계됐다. 기관 순매수 상위 종목은 CJ E&M(2422억원), 다음카카오(2005억원), 와이지엔터(1600억원) 순이었고, 순매도 상위 종목은 바이로메드(1538억원), 산성앨엔이스(1286억원), 이오테크닉스(1138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비위 교장 파면 대신 재채용 논란

파주의 한 사립고등학교가 비위로 인해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파면 요구를 받은 교장을 임기가 끝난 뒤 행정실장으로 재채용,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학교 측은 교장을 별다른 징계 없이 퇴임하도록 했지만 도교육청은 이를 제재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 사학법인에 대한 관리감독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4일 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파주 A고등학교 전 교장 B씨는 교장으로 재임하면서 학교도서관 증축 사업을 위해 도교육청으로부터 7억900만원을 지원받았지만, 증축한 도서관을 기숙사로 전용했다. 이후 지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학생들로부터 기숙사비 1억2천900여만원을 받아 개인통장으로 관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B씨는 지난 3월 업무상 횡령 및 배임수재 혐의로 불구속 기소돼 지난달 중순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검찰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비리내용을 통보받은 도교육청은 지난 8월30일 A고교에 B씨의 파면을 요구하는 내용의 징계요청서를 보냈다. 하지만 정작 A고교 학교 재단은 도교육청의 요청과는 달리, B씨를 징계 없이 퇴임하도록 하는가 하면 심지어 지난달 1일에는 행정실장으로 다시 채용하기까지 해 문제가 되고 있다. 현행법상 사립학교 교원 등의 비위에 대해 징계 요청 권한만 있는 도교육청은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전혀 개입할 수 있는 근거가 없어, 법 개정 등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도교육청 학교지원과 담당자는 사립학교에 대해 징계를 강제할 권한은 없다면서도 다만 행정실장으로 재채용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립학교법과 정관 등을 검토해 대응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B씨는 1심 재판도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징계를 요구한 것은 도교육청의 부당한 처사라며 또 기숙사비를 받아 다른 통장에서 관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개인적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비용으로 지출하고 남은 4천여만원을 학생들에게 모두 돌려줬다고 해명했다. 송우일기자

터키군 참전기념 앙카라공원 흡연·음주난동 ‘엉망’

한국전쟁에 참전한 터키군의 희생정신을 기르고자 조성된 수원 앙카라공원이 비행청소년과 노숙자의 흡연과 음주난동으로 얼룩지고 있다. 특히 인근에는 초등학교가 있어 어린 학생들의 교육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4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3년 6월 한국전쟁 당시 터키군의 참전을 기념하고 그들의 희생정신을 기르고자 1억9천만원의 예산을 투입, 권선구 서둔동 일원 2천538㎡에 앙카라공원을 조성했다. 그러나 일부 몰지각한 노숙자와 청소년의 잦은 흡연 및 음주난동으로 주민 피해는 물론, 공원 자체가 엉망으로 변해가고 있다. 지난 3일 오후 8시께 찾은 앙카라공원에는 중학생으로 보이는 청소년들이 삼삼오오 모여 담배를 피우는가 하면, 욕설을 하며 고성을 내지르고 있었다. 공원 입구에는 흡연 및 음주, 고성방가 행위를 금지한다는 표지판이 붙어 있었지만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이들 중 일부는 담배꽁초를 공원 바닥에 버리고 침까지 뱉었다. 주민 K씨(56)는 중학생들이 이곳으로 몰려와 담배를 피우며 시끄럽게 떠들어 잠을 이루지 못한 적도 있다며 경찰과 지자체는 대체 뭐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지난달에는 한 노숙인이 이곳에서 술을 마시고 지나가는 주민에게 시비를 거는 등 추태를 부린 사건도 발생했다. 실제 이날 공원에는 온갖 담배꽁초와 막걸리, 소주병들이 곳곳에 널려 있어 공원 미관을 해치고 있었다. 더욱이 이곳 공원에서 50m도 안 되는 곳에 초등학교가 위치, 초등학생 상당수가 이곳 공원을 지나다니기를 두려워하고 있었다. L양(9여)은 하교 시간이 되면 중학생 오빠들이 이곳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어 무서웠다며 정문 밖을 나설 때 오빠들이 있으면 친구들과 항상 같이 나간다고 말했다. 학부모 A씨(38여)도 불안하다 보니 아이와 함께 등하교를 하고 있다며 경찰의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 역시 주민 등의 민원이 계속되자 실태 파악에 나서는 등 대안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학교와 경찰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협조를 요청,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영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