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청 주차장 확보, 공직사회 ‘갑론을박’

안산시청 내 부족한 주차공간 확보문제를 놓고 공직사회가 갈등을 빚고 있다. 17일 안산시와 공직사회 등에 따르면 최근 시청 내부 게시판에 ID ‘욜로’ 작성자가 올린 ‘주차장 확보’라는 제목의 글이 조회수 2천400여회를 기록하는 등 공직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해당 작성자는 “시를 위해 고생하는 2천명이 넘는 직원들과 업무를 위해 시청을 방문하는 시민들을 위해 테니스장을 좀더 효율적으로 써야하는 것 아니냐, 시청앞 공간을 시민들에게 내어주는 지자체들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ID ‘주차지옥’ 공직자는 “주차문제를 해결할거면 주차타워를 짓든지, 테니스장을 없앨거면 다른 복지시설을 해결해 주든지 해야지”라며 불편을 토로했다. 반면 ID ‘직원’ 작성자는 “주치공간이 부족, 민원인들이 주차장 주변을 몇 바퀴씩 맴도는 불편을 겪고 직원 업무 비효율 상황도 오래됐다. 외부에 별도의 주차공간 확보가 어렵다면 먼저 테니스장 등을 철거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입장을 나타냈다. ID ‘조합원’ 공무원은 “모든 수요의 판단은 대체재가 있느냐, 없느냐 등으로 판단하면 된다. 취미클럽의 불편함이 시청방문의 불편함보다 손익이 어디에 있느냐 생각하면 된다”고 밝혔다. 시는 주차공간 확보가 뜨거운 문제로 떠오르자 최근 설문 조사에 나서 테니스장을 주차공간으로 확보하자는 공직자는 80%, 반대는 20% 등인 것으로 파악했다. 시는 이에 따라 테니스장을 철거하고 이곳에 민원인과 직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 70면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시청사에는 민원동과 의회동 등에 650여면 규모의 주차공간이 있으나 아직도 200여면이 부족한 것으로 자체 진단, 이 같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주차공간이 부족, 직원들이 많이 이용하는 청사 뒷편 주차장의 경우 비좁은 공간에 주차 및 출차하다 접촉사고를 내는 경우가 있어 주차공간 확보가 꾸준히 제기돼왔다”며 “앞으로 민원동 철거를 통해 60면을 비롯해 일부 부서가 외부 공간으로 옮김에 따라 주차난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안산=구재원기자

인천 도로 곳곳 ‘깜깜이 차선’… 교통 안전 ‘비상등’

최근 인천 남동구 예술로의 한 왕복 6차선 도로. 국지성 호우로 많은 비가 내린데다 날씨가 어두워 도로 위 차선을 보기가 쉽지 않다. 도로 위에 그려진 차선 위에 물이 고이고 이곳에 자동차 전조등 불빛까지 반사되면서 제 차선이 제대로 보이지 않아서다. 도로 위에 재도색을 한 흔적이 보이지만 차량 통행이 많은 탓에 금세 마모돼 식별되지 않는 차선 사이로 중앙선을 넘어갈듯한 아찔한 주행이 이어진다. 같은 날 낮 12시 왕복 8차선인 연수구의 한 도로 역시 어두운 날씨에 전조등을 켠 자동차들이 마주오면서 차선을 찾는 시야를 방해하고, 좌회전 차로의 차량이 옆 차로를 넘어서 있기도 하다. 30년간 운전업에 종사하고 있는 박모씨(54)는 “운전을 오래했지만 비가 오거나 어두우면 정말 차선이 너무 안보여 위험한 상황이 많다”며 “예전에는 형광색이 섞인 도료가 보여 괜찮았는데, 요즘에는 도대체 무슨 기준으로 차선을 도색하는 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인천 지역 도로 곳곳이 비가 오면 차선 식별이 어려워져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역 도로 차선이 보이지 않는 원인은 차선을 그릴 때 유릿가루를 섞어 빛을 발산하는 기준인 ‘휘도(밝기)’가 낮아진 결과다. 인천은 인천국제공항과 항만이 있는 지역 특성 탓에 화물차 통행이 잦다. 이 때문에 차선 마모 속도가 빠르고 휘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교통노면 표시 기준을 보면 도로 차선을 도색할 때 휘도는 흰색선 240mcd/(㎡·Lux)이상, 황색·청색선 각각 150, 80mcd/(㎡·Lux) 이상으로 해야 한다. 또 차선 마모가 이뤄졌거나 비가 올 때 반사성능 값이 100mcd/(㎡·Lux) 이하일 때는 재도색이 필요하다. 시가 민원이 발생하거나 유관 상 훼손이 심한 도로에 대해 도로교통공단과의 협조를 통해 휘도 등을 측정하고 있다. 이는 재도색 구역을 육안점검만으로 결정하기는 어려워서다. 반면 충남 예산군은 노면표시 휘도측정기를 구입해 주기적인 도로 자체검사를 통한 재도색 대상 지정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시 예산은 차선 도색과 교통표지판 설치 등에 한정돼 있어 차선 마모를 확인할 장비 등을 구입하기 위한 추가 예산 확보가 시급하다. 이도형 홍익정경연구소장은 “인천의 노후된 도로들에 대한 개선을 위해서 임시방편의 관리 방안보다는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관문 도시인만큼 추가 예산을 투입해서라도 원도심 등의 도로를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민원이 들어오거나 조사가 필요하면 최대한 현장에 바로 나가 조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올해 관련 예산도 지난해보다 증액한만큼 시민 불편이 없도록 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해명했다. 이민수기자

가평고 전하영, 회장배 중·고육상 여고 단거리 2관왕

‘기대주’ 전하영(가평고)이 회장배 제20회 전국중·고육상선수권대회에서 여고부 단거리 2관왕을 내달렸다. 첫 날 100m 우승자인 전하영은 16일 강원도 정선종합운동장 육상경기장서 열린 여고부 200m 결승서 24초73을 기록, 올해 KBS배대회 1위 이채현(경기체고·24초90)과 전국종별육상선수권(4월)과 춘계중·고육상대회(5월)를 석권했던 신현진(인천 인일여고·24초92)에 앞서 1위로 골인, 2관왕에 올랐다. 이에 대해 여자 100m 한국기록 보유자인 이영숙 안산시청 감독은 “여고 단거리는 전하영과 이채현, 신현진을 비롯, 200m와 400m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양예빈(전남체고) 까지 ‘춘추전국시대’를 맞이하게 됐다”며 “강자들이 많다는 것은 선의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기록 단축을 가져올 수 있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또 여중부 3천m 경보에서는 신소영(광명 철산중)이 16분03초50의 기록으로 같은 학교 권서진(16분11초68)과 정세영(석정여중·16분31초46)을 여유있게 따돌리고 대회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중 7종경기서는 변수미(경기체고)가 3천906점으로 이지현(대구체고·3천881점)을 25점 차로 힘겹게 따돌리고 우승했으며, 여중 1천500m 하해리와 높이뛰기 박하은(이상 인천 가좌여중)은 각각 4분59초47, 1m55를 기록해 김나경(서울 성보중·5분01초15), 박수진(강릉 하슬라중·1m50)을 가볍게 제쳐 정상에 동행했다.여고 1년 100m 허들서는 김정인(가평고)이 16초63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한편, 남고 200m 조경환(양주 덕계고)은 21초65로 전날 100m에 이어 이틀 연속 준우승했고, 여고 1천500m 박서연(경기체고)도 4분48초41로 2위에 입상했다. 여중 멀리뛰기 정유이(양주 덕계중)와 투포환 조수인(인천 논곡중)도 각 4m96, 9m24로 은메달을 목에걸었다. 황선학기자

알로하 수원! 하와이 즐기는 여름밤 [포토뉴스]

윤원규

경기체고 이유진, YMCA유도 여고 48㎏급 시즌 2관왕

경기체고의 이유진이 제93회 YMCA전국유도대회 여고부 48㎏급에서 우승, 시즌 2관왕에 올랐다. 1학년생인 이유진은 16일 경북 김천실내체육관에서 벌어진 대회 첫 날 여고부 48㎏급 결승전에서 ‘도내 맞수’ 김남주(의정부 경민고)에 지도 3개를 빼앗아 반칙승을 거두고 우승했다. 이로써 이유진은 지난 5월 청풍기대회에 이어 시즌 두 번째 정상을 차지했다. 특히, 지난 4월 용인대총장기대회서 역시 반칙패를 당한 김남주를 상대로 3개월 만에 깨끗이 설욕했다. 앞서 이유진은 16강전서 진시연(부산 삼정고)에 소매업어치기 절반과 양팔업어치기 절반을 묶어 한판승을 거둔 뒤, 8강과 준결승전에서는 소극적인 경기를 펼친 이소정(구미 도개고), 김예은(서울 광영여고)에 연속 반칙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서 이유진은 올해 용인대총장기대회와 양구평화컵(이상 4월)을 연속 제패한 김남주를 상대로 경기시작 1분 20여초가 지난 뒤 지도 2개를 빼앗았으나, 종료 2분41초를 남기고 지도 1개를 내줬다. 하지만 2분 15초를 남기고 상대가 다시 지도를 받아 비교적 손쉽게 패권을 안았다. 정도운 경기체고 감독은 “(이)유진이는 초등학교 때부터 유도를 시작해 개인기가 잘 갖춰졌고, 아직 저학년임에도 불구하고 경기운영을 영리하게 잘 한다”면서 “다가오는 10월 전국체전에는 한 체급 위인 52㎏급으로 나서게 됐지만 잘 준비해 좋은 결실을 거두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남고부 66㎏급 윤현수와 60㎏급 김승훈(이상 경민고)은 결승서 김찬욱(경북휴먼테크고)과 김한준(서울 보성고)에게 반칙패, 한판으로 져 나란히 준우승했고, 60㎏급 준결승서 김승훈에게 패한 하승우(경민고)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황선학기자

인천 부평고, 회장기씨름 남고부 단체전 첫 패권

인천 부평고가 제52회 회장기 전국장사씨름대회 남고부 단체전에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패권을 차지했다. 인천 부평고는 16일 충남 보령종합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5일째 남고부 단체전 결승전서 서울 송곡고에 1대3으로 이끌리다가 내리 3경기를 따내 4대3으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고 시즌 첫 정상에 올랐다. 4강서 부산 반여고를 4대0로 완파하고 결승에 오른 부평고는 역시 준결승전서 춘천기계공고를 4대3으로 따돌린 송곡고를 상대로 첫 판 경장급(70㎏ 이하)에서 김진우가 문부성에게 오금당기기로 기선을 제압했으나, 잡채기를 연속 허용하며 1-2로 역전패했다. 이어진 소장급(75㎏ 이하)서 최정태가 이상윤을 뒤집기와 뿌려치기로 연속 모래판에 뉘며 2-0으로 승리, 1대1 균형을 맞췄다. 하지만 부평고는 청장급(80㎏ 이하) 김남엽과 용장급(80㎏ 이하) 심유찬이 각각 송곡고 강병우와 김준태에게 접전 끝 1-2로 연속 무너져 1대3으로 이끌리며 패색이 짙었다. 부평고는 용사급(90㎏ 이하) 홍준호가 김지후를 연속 들어뒤집기로 2-0 완승을 거두며 대반격의 서막을 알린 뒤, 역사급(100㎏ 이하) 김신우가 뒤집기와 뒷무릎치기로 이희창에 2-1 역전승을 거둬 3대3 재동률을 이루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마지막 장사급(135㎏ 이하) 경기에서 이혁준이 들배지기와 밀어치기로 김형진을 2-0으로 완파해 대망의 우승을 일궈냈다. 김영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