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시민중심의 생활SOC 공급을 통한 포용성장 발판 마련

광주시가 포용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포문을 열었다. 시는 28일 시청 상황실에서 제1차 생활SOC사업 추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는 정부의 생활SOC 3개년 계획 수립에 발맞춰 48개의 발굴사업과 향후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국ㆍ도비 확보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생활SOC란 시민들이 생활하는 터전에서 손쉽게 접하게 되는 지역단위의 소규모 생활 인프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SOC가 기업의 생산활동과 관련된 철도, 항만, 댐 등 대규모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뒀다면 생활SOC는 시민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보육시설, 복지시설, 문화체육시설 등 생활인프라를 정책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시는 생활SOC의 공간적 불평등을 최소화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구현을 위해 지난 1월부터 부시장을 중심으로 생활밀착형 SOC 추진단을 구성해 유휴부지 16건, 제도개선 건의사항 7건, SOC사업 48건을 발굴하고 정부의 3개년 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상급기관에 건의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새롭게 발굴된 생활SOC 사업으로는 퇴촌면 광동리 복합 문화공간 조성사업과 오포 어린이 실내놀이공간 및 체육시설 조성사업, 경안동 주차타워 건립사업, 양벌리 공공도서관 건립 등 48건 8천66억 원이다. 중장기 사업인 상하수도 사업을 제외한 37건 4천71억원 중 올해 마무리되는 사업이 11건, 2020년 9건, 2021년 8건이 마무리돼 사업비 기준 총 45%의 생활SOC사업이 3년 내에 완료된다. 이석범 부시장은 빅 데이터를 활용한 다각적 분석 등으로 시민생활 속속들이 파고드는 생활SOC 정책이 실현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포천시, 인구 급감에 '내 가족 주소 갖기 운동' 추진

포천시가 급격한 인구 감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내 가족 포천 주소 갖기 운동을 추진한다. 28일 시에 따르면 포천시의 인구는 지난달 말 기준 15만192명으로, 2003년 시(市) 승격 당시 기준인구인 15만 명 이하로 하락할 위기에 직면해 있다. 2008년 16만176명으로 최대 인구를 기록했으나 이후 저출산, 고령화 현상과 함께 인구가 매년 1천 명 가까이 줄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침체 위기 등 어려운 대내외적 여건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인 인구유입 시책 일환으로 내 가족 포천 주소 갖기 운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가족 포천 주소 갖기 운동은 학생, 군인, 기업체 종사자 등 포천에 살고 있으나 주소를 옮기지 않은 주민을 대상으로 전입을 유도해 인구를 늘리자는 것이다. 시는 다음 달 지역 내 3개 대학교와 협의해 찾아가는 전입 신고 서비스를 제공해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의 전입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포천시는 대학생이 전입 신고한 날부터 6개월이 지나면 대학생 생활 안정 장학금 명목으로 10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또 5년 이상 현역으로 복무한 장교나 부사관 등 제대군인에게도 전입 때 제대군인정착장려금으로 20만 원을 지급하는 등 인구 유입 시책을 펼치고 있다. 포천시 관계자는 지역 침체에 벗어나기 위해서는 인구를 늘리는 것이 무엇보다 절실하다며 시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