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지역안전지수 산출 결과 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5개 분야에서 1등급을 차지했다. 반면 포천시와 가평군은 각각 화재ㆍ생활안전과 범죄ㆍ생활안전 2개 분야에서 4년 연속 5등급을 기록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행정안전부는 11일 7개 분야(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자연재해)별로 전국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의 안전수준을 나타내는 2018년 지역안전지수 산출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경기도는 지역안전지수 분야의 사망자 수와 사고 발생건수가 꾸준히 감소하는 등 지역의 전반적인 안전수준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도는 5개 분야(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에서 1등급을 차지했으며, 그 중 화재를 제외한 4개 분야(교통사고,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는 4년 연속 1등급이었다. 반면 경기도는 범죄와 자연재해에선 4등급으로 다소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분야별 1등급 지역은 교통사고는 서울ㆍ경기, 화재는 인천ㆍ경기, 범죄는 세종ㆍ전남, 생활안전은 부산ㆍ경기, 자살은 세종ㆍ경기, 감염병은 울산ㆍ경기, 자연재해는 서울ㆍ충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의왕시(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가 총 5개 분야에서 1등급을 차지한 반면 포천시(화재,생활안전)와 가평군(범죄,생활안전)은 2개 분야에서 4년 연속 5등급에 머물렀다. ★도표참조 또 교통사고 분야에선 부천ㆍ수원ㆍ성남ㆍ안양ㆍ광명시가, 화재는 수원ㆍ안양ㆍ군포시가, 생활안전은 광명ㆍ군포시가, 자살은 의왕ㆍ용인시가, 감염병은 화성시가 각각 4년 연속 1등급을 차지했다. 반면 부천ㆍ안산시와 가평군은 범죄분야에 4년 연속 5등급의 불명예를 기록했고 포천시는 화재분야, 포천시와 가평군은 생활안전분야에서 각각 4년 연속 4등급의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지역안전지수는 자치단체의 안전관리 책임성을 강화하고 자율적인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공개하고 있다. 행안부는 이번 결과를 토대로 2019년 소방안전교부세의 5%를 지역안전지수 결과와 연계해 안전이 취약하거나 노력하는 자치단체에 지원할 계획이다. 또 등급이 낮은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역안전지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 교육과 함께 맞춤형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정치일반
강해인 기자
2018-12-11 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