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 해치는 종이영수증, 심각한 환경오염까지 초래

국민건강 및 환경, 자원낭비, 개인정보유출 문제 등을 초래하는 종이영수증 폐지를 위해 정부가 나서기로 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통합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불필요한 종이문서를 없애기 위해 정부 예산과 기금 사업비의 종이영수증 보관을 폐지한다고 24일 밝혔다.이날 이낙연 국무총리가 주재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행정서비스영업 전반의 온라인 전자문서 규제 혁신 방안'에 종이영수증 보관 폐지를 주요 사례로 포함해 이를 확정했다.현재 국내에서 하루에 발생되는 종이영수증은 약 4천만건에 달한다. 이를 위해 소모되는 원목은 연간 33만그루 이며, 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은 2,000cc 승용차 21,840대가 내뿜는 양과 맞먹는다.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약 1조 3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는 종이영수증이 국민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서울대 보건대학원에서 마트 계산원 54명의 BPA농도를 분석한 결과 종이영수증을 맨손으로 만지는 것만으로도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BPA)의 체내 농도가 2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BPA는 종이영수증 등 감열지에 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내분비계 시스템을 교란하는 환경호르몬 중 하나이다. EU 집행위는 2016년 12월 영수증에 사용되는 감열지(Thermal paper) 내 BPA 함유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한다는 집행위 규정을 발표 바 있다.시중에는 종이영수증을 모바일 전자영수증으로 발급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돼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이영수증이 가진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통합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장영준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양혜란 교수팀, 유럽소아소화기영양학회서 `젊은 연구자상' 수상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양혜란 교수팀(을지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은혜 교수 포함)이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럽소아소화기영양학회의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유럽소아소화기영양학회는 소아소화기영양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학회 중 하나로 해당 분과의 뛰어난 연구와 최신 지견을 발표하고 가이드라인을 배포하는 등 폭넓은 연구와 교육에 크게 기여하는 학회다. 학회는 소아소화기영양분과의 전문 과정을 거친지 10년 이내의 젊은 연구자들 가운데 뛰어난 연구 결과를 발표한 연구자들에게 젊은 연구자상을 수여하고 있다.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한 양혜란 교수팀이 발표한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기의 기능성 복통을 야기하는 호산구 침윤 및 복통의 기전’에 대한 것으로, 기능성 복통을 가진 소아청소년 환자의 경우 정상 소아청소년에 비해 위(胃)의 전정부와 십이지장, 회장 말단의 소장 부위 그리고 대장에서는 맹장 및 상행결장과 직장에서 호산구 침윤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소아청소년기의 만성 반복성 복통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약 10-16%에 이를 정도로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소화기 증상이지만, 만성 반복성 복통의 대부분에 해당하는 기능성 복통에 있어 그 발생 기전이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복통의 기전을 밝혀내고자 복통을 야기할 수 있다고 알려진 위장관 내 호산구의 침윤 정도를 비교하는 연구를 처음으로 진행했다. 양혜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기능성 복통의 발생 기전에 호산구 침윤이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소아청소년에서의 만성 반복성 복통을 일으키는 질환의 기전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며, 향후 치료방침과 치료제 개발에 있어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젊은 연구자들과 함께 우리나라의 의학발전을 위해 활발하게 연구를 이끌어 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성남=문민석기자

양주시 아동돌봄네트워크 국민디자인단 출범

양주시 아동돌봄네트워크 국민디자인단이 지난 23일 시청 2층 상황실에서 발대식을 갖고 본격적인 사업에 들어갔다. 국민디자인단은 국민이 정책과정 전반에 참여해 정책을 발굴하고 국민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정책 개선 방안을 도출해 실현하는 국민참여형 정책모델이다. 양주시 국민디자인단은 출범과 함께 행정안전부 주관 국민디자인단 서비스 디자이너 지원과제 공모에 선정된 ‘감동이 토요마을학교’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등 지속적이고 확산가능한 공동체 중심의 아동 돌봄 모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시는 국민디자인단 과제 추진을 위해 공공부문에 양주시와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소셜부문에 양주시 사회적 기업, 민간부문에 남면지역 사회단체와 경동대 등이 함께 협력해 시민, 전문가, 서비스 디자이너 16명을 국민디자인단으로 구성했다. 또한 지난달 28일 남면 주민자치센터에 ‘감동이 토요마을학교’를 개교했다. 감동이 토요마을학교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25명의 아동들과 12명의 대학생 멘토 선생님, 남면사회단체, 교육사회적기업과 교육지원청, 경동대학교, 양주시가 협업을 통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국민디자인단은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아동돌봄 맞춤형 모델을 개발, 시의 정책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오현숙 양주시장 권한대행은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처럼 아이의 돌봄은 오롯이 부모의 몫이 아니라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 나가야 한다”며 “아동들이 건강한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서비스디자이너와 함께 국민디자인단 과제를 적극 추진하는 등 시민참여형 정책모델 개발에 힘써 달라”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