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증시 대비 국내 증시의 저평가 경향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18년 유가증권시장의 주가순익비율(PER)은 전년 대비 0.5배 하락한 11.5배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하락폭이 이익 하락폭에 비해 더 컸던 것에 기인한 것이라고 한국거래소는 설명했다. 시가총액은 2018년 5월초 1천612조 원에서 2019년 4월말 1천405조 원으로 13% 하락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역시 통상 저평가 기준으로 분류되는 1배 수준을 하회(0.95배)했다. 시가총액 하락 및 자본총계 상승 영향으로 전년보다 감소했다. 자본총계는 2017년말 1천403조 원에서 2018년말 1천485조 원으로 6% 상승했다.
배당수익률은 배당 확대로 전년 대비 상승한 2.0%를 기록했다. 배당 증가 및 시가총액 하락의 영향으로 배당수익률이 큰 폭 증가했다.
코스피200의 PER 및 PBR은 각각 10.0배, 1.0배로서, 해외 주요국 시장의 PER, PBR 대비 낮은 수준이었다. 선진국은 PER 17.8배, PBR 2.4배이며 신흥국의 경우 PER 13.1배, PBR 1.6배이다.
국내시장의 배당수익률은 2.2%로 미국(2.0%), 일본(2.4%), 중국(2.1%) 등 주요국의 평균 배당수익률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다만, 선진국 평균 2.5%, 신흥국 평균 2.7%보다는 낮은 편이었다.
저(低) PER 섹터는 은행에너지화학건설IT증권, 고(高) PER 섹터는 헬스케어미디어&엔터경기소비재철강필수소비재 등이다. PER 20 이상은 고 PER 섹터, PER 10 미만은 저 PER 섹터로 구분한다.
최근 1년간 전반적인 시장수익률 하락에 따른 PBR 저하로 인해 예년 대비 PBR 1배미만의 저 PBR 섹터가 증가했다. 배당의 경우,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업종이 고 배당 섹터로 나타났다.
저 PER은 IT기업(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은행주(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방송통신(SK텔레콤), 지주회사(SK, LG) 등이 기록했다.
저 PBR은 유틸리티(한국전력), 은행주(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철강(POSCO), 자동차(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차) 등에서 나타났다.
배당수익률 상위 종목은 하나금융지주(5.09%), SK이노베이션(4.28%), KB금융(4.13%), SK텔레콤(4.04%), KT&G(3.90%) 등으로 집계됐다.
서울=민현배기자
금융·증권
민현배 기자
2019-05-01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