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푸드트럭 월매출은 평균 523만원… 수익은 176만원

경기도 내에서 영업 중인 푸드트럭의 평균 월매출은 523만 원, 월수익은 176만 원가량인 것으로 조사됐다. 2일 경기도와 경기도소상공인지원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7월 1호 푸드트럭이 영업허가 된 이후 도내 푸드트럭은 총 70개로 증가했다. 도 소상공인지원센터가 최근 이들 중 11개를 대상으로 영업 컨설팅을 실시 하면서 조사한 자료를 보면 평균 투자비는 2천480만 원이었다. 1천200만 원을 투자한 푸드트럭이 있는 반면 5천200만 원을 투자한 경우도 있었다. 월평균 매출은 523만 원, 월평균 수익은 176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푸드트럭 운영자들은 컨설팅 과정에서 홍보 및 마케팅의 어려움, 이로 인한 낮은 수익 등을 애로 사항으로 꼽았다. 여기에 영업장소의 부적합, 운영자들의 경험 및 준비부족, 지자체의 번거로운 영업신고 절차 등으로 인해 매출이 기대보다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도 소상공인지원센터는 온라인 이용 등을 통해 영업신고 절차를 간소화하고 지자체가 푸드트럭 영업 허가 장소를 선정할 때 상권분석 전문가 등과 사전에 충분히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푸드트럭을 운영하려는 사람들도 시장조사 및 경쟁력 있는 품목 선택 등 사전에 충분한 준비를 하고, 소비자 입맛을 고려해 조리 경험도 많이 쌓도록 주문했다. 도 소상공인지원센터 관계자는 “상당수 푸드트럭 운영자가 음식 조리 경험이 거의 없거나 사전 준비가 덜 된 것으로 드러났고 축제 현장 등으로 잠시 자리를 옮겨 영업하려고 할 때 관할 행정기관에 영업신고를 하려면 2∼3일이 필요해 영업에 지장이 많다고 호소했다”며 “푸드트럭이 활성화 되려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이호준기자

국내 외국인투자자 중 최소 1만2천785명은 조세회피처 국적

국내에 등록한 전체 외국인 투자자(개인 또는 법인) 4만 2천692명 중 최소 1만 2천785명은 조세회피처 국적이었으며, 이들이 보유한 국내 주식과 채권은 163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의원(수원정)이 2일 외국인 투자자 국적별 등록 현황 및 증권 보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투자자는 4만 2천692명으로 국적별로는 미국이 1만 4천243명, 케이맨 제도 3천274명, 캐나다 2천459명, 룩셈부르크 1천763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주식 456조 원, 채권 96조 원 등 총 553조 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에 대해 박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조세회피지역 국가, 지역 목록’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케이맨 제도(3천274명), 캐나다(2천459명), 룩셈부르크(1천768명)를 비롯해 아일랜드(1천242명), 홍콩(1천46명), 버진아일랜드(877명), 싱가포르(751명), 스위스(424명), 버뮤다(362명), 네덜란드(333명), 바하마(147명) 등 조세회피처 국적의 외국인 투자자가 최소 1만 2천785명으로 밝혀졌다. 이는 전체 외국인 투자자의 약 30% 규모이다. 이들이 보유한 주식(132조 4천44억 원)과 채권(31조 2천867억 원)은 총 163조 6천911억 원으로 전체 외국인 투자자 보유금액의 약 30%에 달했다. 박 의원은 “조세회피처는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세금을 내지 않을 목적으로 개인 또는 법인이 모이는 곳”이라며 “국가 간 금융·과세정보 교환과 같은 국제공조 강화로 시장 감시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욱기자

김진표 "국군 사이버사령부 백신서버, 지난달 해킹당해"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백신 서버가 지난달 해킹당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국군 사이버사령부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맞서 우리 군의 사이버 작전을 총괄하고 있는 기구로,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수원무)은 2일 국군 사이버사령부로부터 제출받은 답변서를 공개하면서 “육·해·공 부대의 인터넷 접속용 컴퓨터의 보안을 담당하는 사이버사령부의 ‘백신 중계 서버’가 해킹당했다”고 밝혔다. 사이버사령부는 답변서에서 “중계 서버의 취약점을 악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악성코드 유포 정황을 식별했다”면서 “추가적인 위협의 확산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고자 서버의 네트워크를 분리했다”라고 적시했다. 백신 중계 서버가 연결된 일선 부대의 컴퓨터는 약 2만여 대지만 이 서버는 컴퓨터의 국방 인트라넷(내부망)이 아닌 외부 인터넷을 접속하는 인터넷망에만 연결돼 있다. 김 의원은 “군의 작전과 관련된 기밀정보는 반드시 인트라넷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이번 해킹으로 기밀정보가 흘러나갔을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군 당국이 밝혔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최근 해킹 기술이 매우 발달해 있고, 2만여 대의 컴퓨터에 백신네트워크가 연결된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어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군 당국이 일단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국군사이버사령부는 최근 군 인터넷망에 악성코드가 유입된 정황을 포착하고 유입경로 등을 조사 중”이라면서 “군 인터넷망은 현재 정상 운영 중에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정진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