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소송' 임우재, 이부진 상대 1조원대 재산분할 소송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혼소송 중인 임우재 삼성전기 상임고문이 이 사장을 상대로 1조원대의 위자료와 재산분할을 청구하는 소송을 낸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이혼소송과는 별개의 소송이다. 그동안 임 고문은 가정을 지키겠다는 입장이었지만 재산분할 청구 소송을 내면서 양측의 갈등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임 고문은 지난달 29일 서울가정법원에 이혼 및 위자료 등을 청구하는 소송을 냈다. 임 고문은 소장에서 1천만원의 위자료와 1조2천억원 상당의 재산분할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 고문은 이 사장의 재산 형성과 유지, 증가에 자신도 기여한 만큼 재산을 나눠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건은 서울가정법원 가사5부에 배당됐다. 임 고문은 현재 이혼소송 항소심이 진행 중인 수원지법에도 재산분할을 청구하는 내용의 반소(反訴)를 제기했다. 이부진 사장이 낸 소송에 맞대응해 소송을 낸 것이다. 서울가정법원은 수원지법에서 이미 이혼소송이 진행 중인 만큼 재판관할권이 어느 법원에 있는지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아직 이 사장 측에도 소장 부본을 송달하지는 않았다. 임 고문이 왜 두 법원에 소송을 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두 사람의 이혼 절차는 2014년 10월 이 사장이 이혼 조정과 친권자 지정 신청을 법원에 내면서 시작됐다. 이혼을 원하는 이 사장과 가정을 지키겠다는 임 고문은 두 차례 조정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해 소송으로 이어졌다. 1심을 맡은 수원지법 성남지원 가사2단독 주진오 판사는 1년여간의 심리 끝에 올해 1월 14일 원고 승소로 판결해 이 사장의 손을 들어줬고 임 고문은 항소했다.연합뉴스

생활동반자 맞손 잡아 가평행복 두 배 선사… 코레일 가평관리역-가평군시설관리공단 업무협약 체결

코레일 가평관리역(역장 방윤정)과 가평군 시설관리공단(이사장 최성진)은 6일 가평관리역 회의실에서 관광문화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은 양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역량과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 공동상품을 개발·추진, 가평 문화관광 사업을 활성화하고 철도 이용 증진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가평관리역과 가평군 시설관리공단은 대표상품인 내일로(철도자유여행 패스)와 자라섬 캠핑을 기반으로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공동사업을 기획, 지역발전을 도모한다. 또 부패방지와 청렴 문화 확산을 위한 협의체 구성과 운영에도 합의해 청렴韓 가평을 이루는데 기여키로 했다. 방윤정 역장은 “가평군 시설관리공단과 협력해 자라섬 및 주요 관광지 활성화에 기여하고 더 많은 고객이 가평역을 통해 지역을 방문,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가평군 시설관리공단은 가평군이 위탁하는 공공시설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함으로써 시민편익 도모와 복리증진은 물론 지방재정 확충에 기여하고자 지난 2005년 2월 설립된 지방공기업이다. 가평=고창수기자

‘소하천 정비’ 안일한 대처에… 인근 섬유공장 침수 피해

포천시와 시로부터 소하천 정비공사를 수주한 시공사가 하천에 새 다리를 놓기 위한 가도 설치공사를 하면서 ‘흄관 단면이 작아 집중 호우시 침수가 우려된다’는 주민 지적을 무시했다가 4~5일 내린 비로 인근 섬유공장이 침수돼 수억 원의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로 인해 시의 안일한 행정과 시공사의 안전 불감증이 도마 위에 올랐다.6일 시와 시공사, H섬유공장 등에 따르면 포천시 소홀읍 송우리 일대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시가 발주한 송우천 소하천 정비공사가 공정률 30%를 보이며 한창 진행 중이다. 이 과정에서 시공사는 송우천을 가로지르는 낡은 다리를 철거하고 새 다리를 놓고자 가도를 설치했다. 이때 물 흐름을 위해 가도 밑에 D1000㎜ 흄관 3개를 매설했다. 그러자 주민들은 “D1000㎜ 흄관은 평소에는 물 흐름에는 문제가 없지만, 집중 호우 시에는 통수 단면 부족으로 감당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시와 시공사 측은 “중장비가 상시 대기해 있어 집중 호우시 가도를 철거하면 된다”며 주민들의 주장을 일축했다. 하지만, 지난 5일 새벽부터 집중 호우가 쏟아지자 가도 밑에 설치한 흄관 3개가 상류로부터 떠 내려온 나무 등으로 막혔고 이 막힌 흄관이 오히려 수중보 역할을 해 하천수가 둑을 넘어 인근 섬유공장을 덮쳤다. 상시 대기하고 있다던 중장비는 어디에도 없었다. 섬유공장은 기계설비와 제품이 1m 이상 물에 잠기면서 수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H섬유 대표 J씨는 “5일 새벽 4~6시, 8~9시 두 차례에 걸쳐 물이 공장을 덮쳤다”며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D1000㎜) 흄관으로는 하천수를 감당할 수 없다며 교체를 요구했지만, 묵살 당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시 안전총괄과 관계자는 “시공사 측에 여러 번 안전점검을 시키고 가도 문제도 대비하라고 했는데도 이를 지키지 않아 발생한 사고다”며 “시공사 측의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인 만큼 공장 측과 보상문제를 협의하도록 지시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공사 측 관계자는 “물이 갑자기 불어나 발생한 사고다”며 “공장 측과 보상 문제를 협의해 원만히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