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후 7시께 서울 남영역 인근 선로에서 이모(70)씨가 서울발 부산행 KTX 열차에 치여 숨졌다. 코레일 관계자는 "KTX 기관사가 선로에 쓰러져 있는 이씨를 발견했지만 제때 열차를 멈추지 못해 이씨가 치였다"고 전했다. 이 사고로 해당 차량은 1시간가량 운행을 멈췄고, 뒤이은 하행선 11대도 각각 10∼20분가량 운행이 지연됐다. 경찰과 코레일은 이씨가 선로에 쓰러진 경위 등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오후 6시 20분께 강원 춘천시 후평동의 한 버스정류장 앞에서 안모(76)씨가 버스에서 내리던 중 넘어져 버스 뒷바퀴에 깔렸다. 이 사고로 안씨는 머리를 심하게 다쳐 현장에서 숨졌다. 경찰은 버스가 넘어진 안씨를 발견하지 못하고 출발하다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이 민주노총 경기본부를 전격 압수수색했다. 이 과정에서 별다른 충돌은 없었다. 불법·폭력 시위를 수사 중인 서울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지난 27일 수원시 팔달구 민주노총 경기본부 사무실에서 압수수색을 벌였다. 이번 압수수색은 지난 5월1일 노동절 집회 당시 종로구 안국동사거리 앞에서 경찰 기동대 버스를 부순 P씨와 L씨 등 경기본부 소속 간부 2명의 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증거물 확보 차원이라고 경찰 관계자는 설명했다. P씨 등은 노동절 집회뿐 아니라 다른 4차례 집회에서도 폭력·시위를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날 오전 9시부터 낮 12시30분까지 수사관 32명을 투입해 압수수색을 진행했으며, 대형 박스 2개 분량의 PC 하드디스크와 서류 등을 확보했다. 경찰은 압수물을 분석해 혐의 입증에 주력하는 한편, 이들이 ‘11·14 민중총궐기’ 집회의 폭력시위에 연루됐는지도 조사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민노총 경기본부는 성명을 통해 “물대포 진압으로 국민의 원성이 높아지자 민주노총 등에 폭력 이미지를 덧씌우기 위한 공안몰이”라며 “10만 조합원들과 함께 꿋꿋하게 투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민훈기자
공무원 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100만명을 돌파했음에도 대국민 안전·치안 서비스를 담당하는 경찰과 소방, 출입국관리사무소 공무원 등은 여전히 인구대비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행정자치부 등에 따르면 올 7월 현재 행정·입법·사법부 등을 포함한 전국 공무원은 총 101만310명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정작 국민의 생명과 재산 등을 보호하는 공무원의 수는 인구 등을 대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경찰은 박근혜 대통령의 ‘2만명 증원’ 공약으로 1만1천281명 증가했다. 그럼에도 경찰 한 명이 담당하는 인구 수는 전국 기준 462명에 달한다. 경기경찰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경기경찰은 경찰관 1인당 도민 605명을 담당,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의 주민을 담당하고 있다.이에 112신고를 받고 실제 현장에 출동하는 지구대·파출소에서는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다. 도내 한 지역경찰은 “직원들이 모두 출동을 나가 있는데 새로운 신고가 들어와 난감한 상황이 많다”고 토로했다. 소방 역시 미국, 일본 등 외국의 경우 소방관 한 명이 800~900명을 담당하는 반면 국내는 무려 1천276명을 담당,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찰과 마찬가지로 도내 소방공무원 1인당 담당 인구도 1천86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최근 외국인 범죄 및 불법체류자 수(전국 21만2천596명 추정) 증가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지만, 정작 이들을 관리하는 출입국사무소 직원은 단 150명에 불과한 상태다. 직원 한명이 1천400명의 불법체류자를 담당하는 셈이다. 더욱이 이들은 불법체류 단속뿐 아니라 출입국관리 위반 사범 처리, 외국인 보호 등 업무까지 더해져 업무 과중에 시달리고 있다. 출입국관리소 A직원은 “업무가 매우 많은데 현재로선 불법체류자 단속만 하기에도 인력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행자부 관계자는 “각 담당기관에서 분야별 수요를 고려해 정원을 정하고 있다”면서도 “국민 안전을 위해서라면 경찰과 소방 등의 증원을 계속해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경기지방경찰청은 12월부터 내년 1월까지 연말연시 음주운전 특별 단속을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특별 단속은 차량 통행이 잦은 도내 주요 교차로와 유흥가 등에서 이뤄지며 20∼30분 단위로 단속 장소를 옮기는 형태의 ‘스팟 단속’ 위주로 진행된다. 다만 매주 금요일 밤 9시부터 밤 11시까지 두 시간은 가용 경력을 모두 투입하는 일제 단속에 나설 방침이다. 김종화 경기경찰청 교통안전계장은 “올해 발생한 뺑소니 사고 가운데 음주운전 때문인 사고가 전체의 26%에 달한다”며 “음주운전은 자신은 물론 이웃의 생명까지 빼앗는 범죄인만큼 단속과 상관없이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안영국기자
수원지검 특수부(이용일 부장검사)는 지난 1년간 서민대상 전세자금 대출 사기사범 177명을 적발해 27명을 구속 기소하고 103명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29일 밝혔다. 또 달아난 공범 47명을 지명수배해 쫓고 있다. 이들은 허위 서류를 이용해 각 은행이 국민주택기금을 재원으로 대출하는 서민 전세자금 대출금을 받아 챙기는 등의 수법으로 사기행각을 벌였다. 이 같은 수법으로 챙긴 금액만 67억6천1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J씨(44)는 지난 2012년부터 1년간 유령회사를 세운 뒤 공범들과 모의하고 허위 임대·임차인 등 역할을 분담, 허위 재직증명서 등을 발급하는 방법으로 주택 전세자금 8억9천700만원을 챙긴 혐의다. 또 다른 사기단의 허위 임차인 K씨(48) 등은 지난 2011부터 1년 동안 자신들의 명의로 담보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사들인 뒤, 허위 임대차계약서를 만들어 전세자금 대출을 챙기고 아파트는 경매에 넘기는 수법으로 3억여원을 챙긴 혐의다. 검찰 관계자는 “각 은행이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해도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대출금의 90%를 보전해준다는 이유 등으로 대출 요건을 형식적으로 심사한 점을 악용한 것으로 보고 관련 기관에 제도개선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민훈기자
오산, 용인, 의왕 등 일선 지자체와 산하기관들이 회계관리를 부적정하게 운영하거나 설계변경 등을 통해 예산을 과다 집행하다 자체감사나 행정사무감사에서 적발됐다. 문화공장오산을 운영하는 (재)오산문화재단은 지난 2012년 재단축법 이후 전시회가 끝난 이후에 도록을 만들고, 만들지 않은 도록 대금을 지불하는 등 회계를 문란하게 운영하다 최근 시의 긴급 감사에 적발돼 관련직원 2명이 해임 및 정직의 문책을 받았다. 감사결과, M팀장(43)은 지난 2013년부터 올 10월 말까지 자신이 기획한 7개 전시회 중에서 4개는 전시회가 끝난 이후에 도록을 만들었고 3개는 아예 만들지도 않았음에도 납품받은 것처럼 지출문서를 작성해 총 1천799만3천원의 예산을 허위로 지급했다. 특히 ‘쁘띠 루브르 전’과 ‘더 매뉴얼 전’을 개최하면서 리플렛 계약을 부당하게 처리한 것으로 적발됐다. 재단 경영지원팀 S팀장(51)은 도록 대금 지출결의서에 납품 증빙자료(사진)가 없는데도 대금을 지불하는 등 업무를 소홀히 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단은 지난 27일 인사위원회를 열어 M팀장에 대해 ‘해임’을, S팀장에게 ‘정직 1개월’의 중징계를 각각 의결했다. 용인시육아종합지원센터는 예산을 제멋대로 집행하다 센터장과 회계 담당 직원이 교체되면서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질타가 이어졌다. 시의회 복지산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3월 센터가 개관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초대 취임한 센터장이 대학 시간강사를 겸임하면서 출장신청도 없이 주간시간대 강의를 하러 다니다 시에 적발됐다. 또한 직원 10여명은 초과근무를 한 것으로 서류를 꾸며 매달 15시간씩 꼬박꼬박 초과근무수당을 받다 적발됐다. 이에 해당 센터장과 회계 담당 직원은 지난 6월 시의 권유로 사직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의왕시는 H사에 관급공사를 주면서 설계변경을 통해 애초 계약금액의 2배에 이르는 금액을 지급해 시의회로부터 ‘특혜가 아니냐’며 질타를 받았다. 김상호 의원(고천ㆍ오전ㆍ부곡동)은 “시가 시청 대회의실 리모델링 공사를 하면서 H사와 5천524만9천원에 계약한 뒤 각종 설비교체와 물량추가 등을 이유로 4천408만9천원을 늘려 애초 금액의 2배에 이르는 9천933만8천원으로 설계변경을 해준 것으로 드러났다”며 “애초 계약금액의 180%까지 늘려 설계변경을 해준 것은 특혜를 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의왕ㆍ오산ㆍ용인=임진흥ㆍ강경구ㆍ권혁준기자
‘2015 경기 빅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이 경기도가 추진하고 있는 빅데이터 사업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호평 속에 지난 24일 막을 내렸다.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한 정보인 만큼 친환경, 소방, 장애인 등 도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많이 제시돼 내년 개최될 공모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빅데이터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개최된 이번 공모전에서는 한상휘 씨 등 3명으로 구성된 투지(Two G)팀이 ‘전기자동차 사용자 편익을 위한 서비스 혁신 플랫폼(GEV)’ 아이디어로 초대 공모전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지난 24일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진행된 공모전은 총 10개 팀이 출전해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순위가 가려지는 오디션 방식으로 치러졌으며 골든타임팀의 ‘5분의 기적-골든타임 확보방안’ 아이디어가 최우수상을, 흰둥이, joy모삼, 7pm 등 3개 팀이 우수상, 프랭크 등 5개 팀이 장려상을 받았다. 도는 이번 공모전을 위해 지난 9월 ‘경기도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실생활 개선 아이디어 제안’을 주제로 공모를 시작했으며 총 126건의 아이디어가 접수되는 등 높은 관심을 받았다. 특히 이번 공모전은 민선 6기 들어 경기도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빅데이터 사업이 어떻게 실제 도민들의 생활과 접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공모전의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조성준 서울대 교수는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한 데이터인 만큼 주민들의 피부에 와 닿을 수 있는 아이디어가 많았다며 내년도 공모전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조 교수는 “역시 지방정부가 제공한 데이터라서 국민의 피부에 와 닿을 수 있는 서비스로 연결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많이 제시됐다. 앞으로 더 많은 데이터가 공개되면 더 다양한 서비스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며 “현재 경기도가 다양한 빅데이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앞으로도 계속 관심을 갖고 빅데이터 사업을 추진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20대 총선에서 전·현직 기초단체장들의 출마가 변수가 될 수 있을지, 선거에 얼마나 큰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특히 총선에 출마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장 사퇴시한이 12월15일(선거일 120일 전)로 보름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구획정은 언제 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이에 따라 출마를 검토했던 기초단체장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등 실제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사퇴하는 경기도내 시장·군수들은 당초 예상보다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도표 참조 ■ 현직 시장·군수 몇 명 사퇴할까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3선 이상 다선에 성공한 도내 기초단체장이 9명이 달하면서 내년 20대 총선에 도전하는 시장·군수가 대거 나올 것으로 예상됐었다. 3선 연임 제한으로 인해 다음 지방선거에는 출마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임기중 사퇴할 경우 보궐선거를 치러야 하는 데 따른 여론의 비판을 감당해야 하고 여야 중앙당도 탐탁하게 여기지 않는 분위기기가 확산되면서 공식·비공식으로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는 기초단체장들이 늘어났다. 현재 총선 출마여부가 관심을 끄는 도내 기초단체장은 새누리당 조억동 광주시장, 김선교 양평군수, 새정치민주연합 김윤주 군포시장, 양기대 광명시장 등 4명 정도다. 이중 광주와 군포는 선거구 분구, 양평은 선거구(여주·양평·가평) 분리 여부가 관심을 끄는 지역이지만 아직 최종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들 지역의 선거구 분구 혹은 획정 여부가 12월15일까지 나오지 않을 경우에도 조억동·김윤주 시장, 김선교 군수가 중도사퇴하고 총선 도전에 나설 지는 미지수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출마와 불출마 의견이 엇갈리면서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 국회의원이 같은당 백재현(재선·광명갑)·이언주 의원(초선·광명을)이어서 출마를 결심할 경우 현역 의원과 치열한 공천이 불가피하다. 결국 현직 시장·군수들의 출마여부는 여야의 선거구획정 협상결과에 따라 크게 달라질 전망이며 12월15일 직전 최종 결론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 전직 기초단체장 ‘다크호스’될까 도내 일부 지역에서 전직 기초단체장들이 출마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현역 의원 혹은 원외 당협위원장 등과 치열한 경선을 치뤄야 하기 때문에 헤쳐나가야 할 난관이 적지 않다. 특히 일부 전직 단체장은 정당을 여러차례 옮기고 전과도 있는 등 지역내 부정적인 여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20대 총선 출마가 거론되는 전직 단체장은 대부분 새누리당 소속이다. 류화선 전 파주시장은 같은당 황진하 사무총장(3선)이 버티고 있는 파주을에서 이름이 나오고 주대준 전 선린대 총장에게 당협위원장 경선에서 패한 이효선 전 광명시장은 공천경선에 재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서정석 전 용인시장은 새누리당 이상일 의원(비례·용인을 당협위원장)이 부지런히 움직이고 있는 용인 분구예상지역에서 이름이 거론된다. 새정치연합 전 기초단체장 중에는 김선기 전 시장이 평택갑에서 이름이 오르내리지만 당내 경선에서 이겨 후보가 되더라도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4선)의 산을 넘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재민기자
- 제1회 대상팀으로 선정됐다. 소감은. 공모전 동안 함께 고생한 팀원들과 조언을 아끼지 않아 주신 박선영 교수님, 선후배 분들께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 팀 이름이 독특한데 어떠한 의미인가. 팀이름은 투지(Two G)로 사전적인 정의인 굳은 의지라는 의미도 있지만 Green Gyeonggi의 앞 두 글자를 따서 G 2개, two G라고 할 수 있다. 또한 Green Gyeonggi 그 자체의 의미는 투지 팀이 제안한 전기자동차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경기도가 조금 더 Green(지속 가능한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발돋움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 대상을 받은 ‘전기자동차 사용자 편익을 위한 서비스 혁신 플랫폼’은. 한정된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 추후 확충될 전기자동차 충전소 최적지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이름은 GEV로 Green Gyeonggi Electric Vehicle Platform의 약자다. 기능은 크게 4가지다. 첫째 예약시스템은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원하는 시간에 예약하는 서비스 혁신을 통해 긴 충전 시간과 한정된 충전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는 G포인트로 전기자동차 사용 시 비용으로 지출해야 하는 충전기 사용요금과 주차장 요금에 사용 가능한 통합 포인트이다. 셋째 빅데이터 생산이다. GEV앱과 전기자동차 등록 시에 간단한 NFC를 발급하는데 NFC에 핸드폰을 태그하게 되면 사용자의 동의 아래 GEV앱과 GPS가 자동으로 실행된다.그 상태에서 전기차 사용자가 운행하면 주 이동경로에 대한 다양한 빅데이터가 축적되고 축적된 빅데이터를 활용해 추후 전기자동차 충전소 최적지 선정에 사용할 수 있게 돼 전기차 관련 정책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는 커뮤니티 기능이다. 전기자동차가 초기 산업인 관계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뉴스가 통합적으로 제공돼야 한다. 이에 전기자동차 관련 뉴스를 통합적으로 전달하고 사용자 간 정보 교류의 장을 만들어 민원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청년 창업이 활성화돼 창업을 통한 수익뿐만 아니라 모두가 아이디어를 통해 편리해지고 웃을 수 있는 경기도가 됐으면 좋겠다. 이호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