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향 제74회 정기연주회 개최

음악을 통해 가을을 흠뻑 느낄 수 있는 수원시립합창단의 제74회 정기연주회 ‘가을을 여는 소리’가 25일 오후 7시30분 경기도문예회관 대공연장에서 펼쳐진다. 이번 연주의 첫번째 작은 테마 ‘가을을 여는 소리’에서는 TV드라마 모래시계의 배경음악으로도 잘 알려진 파가니니 소나타 No12와 A.Cater의 ‘고엽(Autumn Leaves)’, 가을내음이 나는 주옥같은 가곡 ‘그리움’ ‘아! 가을인가’ ‘이별의 노래’ ‘저 구름 흘러가는 곳’ ‘코스모스’ 등을 노래한다. 두번째 작은 테마 ‘한국의 노래’에서는 한국의 창작 합창곡으로 단국대학교 작곡과 교수인 박정선의 ‘정읍사’와 ‘소쩍새’에 이어 현재 미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작곡가 김지영의 연주로 ‘고향생각’ ‘고향의 노래’ ‘가고파’ ‘고향의 봄’ 등 진향 향수를 자아내는 고향의 노래 모음이 연주된다. 마지막 테마인 ‘앙상블의 묘미’는 이날 행사중 가장 주목되는 부분으로 합창을 통해 여러 사람의 목소리가 얼마나 아름답게 어우러질 수 있는가 하는 것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종전 어는 합창단의 공연에서도 볼 수 없었던 만큼 관심을 모으고 있는 이 순서에서는 주혜선과 강지원의 듀엣으로 ‘익살스런 고양이(Buffo di Satti)’를 들려주는 것을 비롯, 우종욱·김인·박용준의 트리오, 장숙희·이은미·박창일·이성민의 콰르테(4중창), 박근혜·주경희·서동민·정경인·송희석의 퀸텟(5중창) 등이 연주된다. 뿐만 아니라 출연진들이 대거 등장해 웅장하고도 감미로운 연주를 들려주는 순서도 함께 준비돼 모처럼 하모니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길 지휘, 김은애 피아노연주. 문의 228-2816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안치환 2년만에 수원서 공연

노래에 희망을 담은 포크의 전령사 가수 안치환이 2년만에 수원공연을 갖는다. ‘가을 하늘에 흐르는 희망의 메세지-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란 주제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내가 만일’,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등 따스함이 묻어난 노래를 비롯해 남북정상 회담이 지금도 진한 감동으로 다가오는 요즘, 통일을 염원하며 통일노래를 불러온 그의 노래들을 선사한다. “권력을 가진 자는 권력으로, 돈을 가진 자는 돈으로, 예술적 재능을 가진 자는 그것으로 통일에 대비하자”는 말은 가수 안치환이 지난해 평양에서 열린 ‘통일음악회’에서 들었다고 한다. 이 때부터인지 통일을 구체화시키고 남북이 함께 부를 수 있는 노래를 고민하며, ‘3.8선은 3.8선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동행’ 등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마음으로 노래 만들기에 매진했다. 이번 ‘안치환과 자유’콘서트에서는 이 같은 열정을 담아 기존의 틀을 깬 파격적인 컨셉과 라이브 콘서트만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안치환의 음악세계를 맘껏 펼진다. 화성군 조암 출신인 안치환은 1988년 ‘노래를 찾는 사람들’에서 활동했으며 다음해 솔로로 독립, 보다 자기만의 색깔을 갖고 본격적인 민중음악활동을 했다. 지난 90년 5월 ‘안치환 노래한마당’ 1집을 시작으로 6개의 앨범과 올 3월 6.5집을 출반했다. 특히 3집 ‘소금인형’과 노랫말이 아름다운 ‘귀뚜라미’등은 안치환이 대중들에게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한 앨범이고, ‘나무의 序’외 11곡이 수록된 6집은 그의 음악적 깊이를 더욱 느낄 수 있다. 경기도 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23일 오후 4시와 7시30분 2회에 공연. R석 3만원, S석 2만5천원, A석 2만원. 문의 234-2022 /이형복기자 mercury@kgib.co.kr

용인청소년 오케스트라 창단연주회

음악을 통해 청소년들의 건전한 가치관 형성과 정서함양에 기여하고자 설립한 용인예총 산하 용인청소년 오케스트라(단장 제갈현)가 23일 오후6시 용인문예회관 대강당에서 창단연주회를 갖는다. 지난해 11월 우리동네 음악회 개최를 시작으로 지역공연을 펼쳐온 용인청소년오케스트라는 현재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총 40명의 단원과 경기도관악협회 부지부장을 맡고 있는 신민용씨를 지휘자로 영입, 명실상부한 청소년 오케스트라단을 결성했다. 이에 창단을 기념한 연주회에는 ‘코시코스 우편마차’연주를 시작으로 모짜르트 ‘심포니 작품4번 G단조’와 유치원생 어린이 4명의 바이올린 협연으로 바하의 ‘미뉴에트 3번’을 들려준다. 또한 영화음악 ‘사운드 오브 뮤직’을 용인소년소녀합창단(지휘 강금구)과 협연하고 젊은층이 즐길 수 있는 ‘미션 임파서블’ 주제곡을 연주하며, 흑인연가의 일종으로 노예생활속에서도 흥을 돋우며 밝게 사는 흑인들의 노래 ‘Tangerine Rag’를 선사한다. 마지막으로 수지현울림 중창단 및 합창단과 함께 동요 ‘바람부는 날’, ‘소꼽노래’를 구성, 남녀노소 누구나 편안히 감상할 수 있게한다. 한편 용인청소년오케스트라의 제갈현 단장은 “연중 정기연주회·해외연주회를 비롯해 동서로 양분되어 있는 용인시의 지역여건을 감안해 시민을 찾아가는 형식의 동네음악회 등 국내외의 문화예술행사에 적극 참여, 우리시를 대표할 문화예술 사절단으로 활동할 예정”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문의 264-6776 /이형복기자 mercury@kgib.co.kr

극단 미추 14일부터 '용병' 공연

70년대 각기 월남과 중동에서 청춘을 불사르며 경제발전에 공헌했지만 90년대 실업자로 전락한 고교 동창생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현대사를 반추해보는 연극이 무대에 오른다. 양주에 터전을 마련하고 있는 극단 미추(대표 손진책)는 14일부터 21일까지 대학로 동숭아트센터 동숭홀에서 서울연극제 자유참가작인 ‘용병(傭兵)’을 공연한다. 문예진흥원 창작활성화기금 당선작인 이 작품은 월남전 참전후 고엽제 후유증을 앓고있는 이씨와 중동건설 노동자로 일하다 한팔을 잃은 김씨가 IMF로 실직을 당한 뒤 공공근로사업장에서 만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이들은 황소개구리 소탕사업에 동원되어 일하면서 3.1운동 직후 상해로 건너가 독립군 활동을 했던 김씨 부친의 일기를 보며 과거를 회상한다. 이 과정에서 일제시대 부터 현재에 이르는 우리 현대사의 굴곡과 명암이 교차된다. 98년 첫 장편희곡인 ‘춘궁기’로 삼성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박수진과 99년 백상예술대상 신인연출상을 수상했던 연출가 강대홍씨가 ‘춘궁기’이후에 두번째로 콤비를 이룬 작품. 이번 공연에는 극단 미추의 대표적인 배우인 정태화와 전일범씨가 주인공을 맡아 열연하는 가운데 미추의 젊은 배우들까지 가세해 탄탄한 팀워크를 선보일 예정이며, 중견배우 윤문식이 극 중간에 감초격인 청소부로 등장해 웃음을 선사한다. 공연시간은 평일 오후 4시30분, 오후 7시30분, 일요일 오후3시, 오후6시. 문의 (031)879-3100

첨단기술 가미된 설치작품 전시회

디지털 문화가 예술전반에 침투해 있는 가운데 현대미술 또한 급격한 지각변동을 하고 있다. 농경문화에서 벗어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21세기형 유목사회’를 맞아 보다 창조적인 미술활동이 가능케 된 것이다. 지역작가의 자생적 정체성과 창작의욕을 북돋우기 위해 한국문예진흥원 주최로 열리는 ‘이동하는 몸, 흔들리는 땅’에서는 설치작품을 중심으로 디지털 영상과, 첨단기술이 가미된 설치작품 등이 선보여지고 있다. 12일까지 서울의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경기도 작가인 김석환씨를 비롯 강용석, 권순환, 김수범, 김영길, 김영호, 박동주, 박민석, 박상화, 박이창식, 윤진숙, 이문형, 정주하, 차경섭, 허강, 황경희 등 16명의 지역작가가 참여하고 있다. 참여작가는 지역적 구분이 해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대표로서가 아닌, 독자적인 색깔을 갖고 있는 작가를 중심으로 구성했다. 작가들은 디지털 영상이나 사진, 설치품 등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해 자연과 테크놀러지를 결합시켜 자연과 문명, 현실세계와 가상세계, 권력, 욕망을 주제로 자신의 역량을 맘껏 발휘했다. 한편 이번 전시회에서는 흔히 사용하는 은염사진의 영상기법에서부터 최신 디지털기법이 총 망라됐으며, 지역문화의 정체성에 촛점을 맞춰 새로운 전시개념의 틀을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전시회를 기획한 문예진흥원의 김찬욱 팀장은 “중심의 이동전은 2∼3년전부터 시작한 것으로 지역작가들에게 폭넓은 창작의 기회제공 차원에서 마련됐다”며 “주제에서 말해주듯이 탈지역화시대에 ‘이동하는 몸’은 공간의 구분이 없는 작가의 활발한 작품활동을, ‘흔들리는 땅’은 열린공간에서의 문화적 변동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mercury@kgib.co.kr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