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무단투기를 막기 위한 단속용 폐쇄회로(CC)TV가 시민의식 부족과 지자체의 관리부실 등으로 유명무실하다. 27일 10개 군구에 따르면 무단투기 단속용 CCTV는 미추홀구 123대, 서구 208대, 남동구 112대, 부평구 121대, 계양구 216대, 강화군 163대, 연수구 248대, 동구 127대, 옹진군 124대, 중구 96대가 있다. 이날 오후 3시께 부평구 부평동 주택가에 있는 단속용 CCTV 주변은 무단투기한 쓰레기로 가득하다. 종량제 봉투뿐 아니라 일반 비닐봉지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 스티로폼 박스, 쇼핑백 등도 눈에 띈다. 한 주민은 주위를 살피더니 갖고있던 쓰레기를 버리고 가기도 한다. CCTV 옆으로 이곳은 쓰레기 버리는 곳이 아닙니다라는 대형 현수막이 걸려있지만, 무용지물이다. 주변에서 상가를 운영하는 40대 A씨는 단속용 CCTV를 약 3주전에 설치했는데, 그때만 잠깐 쓰레기가 없더니 요즘 다시 늘어났다며 지금도 악취가 심한데 다가올 여름이 걱정이라고 했다. 같은날 오전 8시10분께 서구 연희동 공원에 있는 단속용 CCTV 밑 상황도 마찬가지다. 단속용 CCTV가 있다는 경고문 아래로 먹다 남은 도시락부터 음식물까지 종류를 가리지 않고 버려져 악취를 뿜어 낸다. 오전 8시30분께 청소업체가 쓰레기를 수거하지만, 불과 1시간30분이 지난 오전 10시께 또다시 쓰레기가 쌓인다. 이처럼 단속용 CCTV가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지만 군구는 CCTV 늘리기에만 급급하다. 군구별 올해 설치 예정이거나 설치한 단속용 CCTV는 미추홀구 84대, 서구 42대, 남동구 25대, 부평구 40대, 계양구 63대, 강화군 290대, 연수구 58대, 동구 40대, 옹진군 10대, 중구 10대 등 총 662대다. 단속용 CCTV 설치 가격이 1대당 400만원에서 900만원이다. 게다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CCTV를 설치한 후에도 정작 무단투기 적발 건수 조차 파악하지 못해 개선책도 만들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승환 금오공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군구에서 적극적으로 단속하고 과태료를 부과하는 사례가 나와야 쓰레기를 버리지 않을텐데, 단속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CCTV는 무용지물이라고 했다. 이어 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홍보와 함께 강력한 제재로 경각심을 줄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부평구 관계자는 CCTV를 통해 원활한 단속이 이뤄지도록 단속원을 늘릴 계획이라고 했다. 서구 관계자는 경고음이 나지 않는 CCTV는 경고음이 나오게 하고, 예방을 위한 로고젝터 설치 등을 고려하겠다고 했다. 정한승기자
인천뉴스
정한승 기자
2021-05-27 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