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이 펄펄 끓고 있다. 뜨거워 못살겠다고 아우성이다. 미국은 ‘열돔(heat dome)’에 갇혔다. 지난달 말 미국 서부 사막 지대와 동남부에서부터 시작된 이상 고온 현상인 열돔이 미국 전역을 찜통으로 만들고 있다. 워싱턴주를 제외한 모든 주가 최고 기온이 32℃를 넘었고, 26개 주에 폭염 경보가 발동됐다. 캘리포니아주 데스밸리에선 최고 49.4도까지 치솟았다. 열돔 현상이 나타난 상당수 지역에서도 43.3도를 웃돌았다. USA를 ‘유나이티드 스웨츠(sweats·땀) 오브 아메리카’라고 불러야 할 것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미국의 찜통더위를 유발한 열돔 현상은 대기권 중상층에서 발달한 고기압이 오랜 기간 정체해 뜨거운 공기를 지면에 가둬놓은 기상 현상이다. 마치 열이 쌓인 모습이 돔(반구형 지붕)에 갇힌 모양이어서 열돔으로 불린다. 폭염은 중동·아시아·유럽 등의 대륙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중국 저장성 등 동남부 해안 지역은 최고 기온이 38~40도를 오르내리고, 상하이에선 40도를 넘었다. 60년 만에 최고 더위가 찾아온 인도는 최고 기온이 50도에 달했다. 중동 지역도 살인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쿠웨이트는 54도까지 올랐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올해가 기상 관측 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지구촌 이상 고온의 원인이 온난화와 수퍼 엘니뇨 영향 탓이라고 한다. 한반도 역시 세계적 폭염의 영향을 받고 있다. 올 5월 평균 기온이 18.6도로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았다. 폭염주의보도 작년보다 한 달 반 이상 이른 5월 20일에 발령됐다. 기상청은 당분간 낮 기온이 33도 안팎을 기록하고, 밤에도 폭염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보했다. 특히 8월 첫째 주 무더위가 절정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연일 계속되는 가마솥더위에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가축 폐사도 잇따르고 있다. 폭염은 소리없는 살인자다. 태풍이나 집중호우보다 더 많은 사망자를 낸다. 서울 최고 기온이 38.4도를 기록했던 1994년엔 더위로 사망한 사람이 3천384명이나 됐다. 노인과 어린이, 만성질환자에게 폭염은 치명적이다. 폭염기간 65세 이상 노인 사망률은 평소의 2배나 된다. 냉방 혜택을 못 누리는 국내 에너지 빈곤층이 130만 가구에 이른다고 한다. 이들의 여름나기는 목숨을 건 사투일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폭염을 재난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연섭 논설위원
대기중의 더운 기온과 차가운 바닷물이 만나 생성된 안개가 인천시 중구왕산해수욕장 해변가를 가득 뒤덮고 있다. 저멀리 배가 갈 수 없는 수평선이 아련히 보인다. 장용준기자
닥터 스트레인지.
학교 우레탄 트랙에 이어 농구장 등 체육시설에서 또다시 기준치의 100배에 달하는 납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우레탄이 사용된 체육시설을 보유한 학교는 425개교로, 이들 학교에는 총 470개의 체육시설(초 150개소·중 177개소·고 139개소·특수 4개소)이 설치돼 있다. 우레탄 체육시설의 대부분은 농구장이며 배드민턴장, 체육관 바닥, 다목적 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도 포함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조사가 완료된 407개 시설 중 한국산업표준(KS) 납기준 90㎎/㎏을 초과한 시설은 270개소(66%)에 달했다. 초등학교 98개소, 중학교 88개소, 고등학교 82개소, 특수학교 2개소로 초등학교 우레탄 체육시설의 유해성이 가장 심각했다. 특히 일부 시설에서는 KS 납기준의 100배(9천㎎/㎏)를 초과하는 납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재까지 학교 현장을 조사한 결과 트랙보다 농구장 등 체육시설에서 납이 더 많이 검출되고 있다”며 “우레탄 시설에 대한 전수조사는 현재 70% 가량 진행됐으며, 다음달 초에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체육시설의 중금속 유해성 조사가 완료되는대로 학교 명단 검출 결과를 공개할 방침이다. 또 우레탄이 사용된 체육시설의 교체를 위해 교체비용 약 300억원 중 일부를 도교육청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규태기자
“임진강 주변이 위험하다는 얘기가 나와서 그런지 외지인들의 발길이 뚝 끊겼습니다.” 연천 임진강 군남댐 수위가 높아지면서 해당 지역을 찾는 피서객들도 줄어드는 모양새다. 25일 오전 11시께 연천군 군남면 임진강 하류부근. 이곳은 평소 낚시꾼들과 다슬기를 잡기 위한 이들이 많이 찾는 곳이지만 이날은 두세명이 모여 낚시를 할 뿐 여름철 피서객은 눈에 띄지 않았다. 임진강 하류와 약 7km 떨어진 장진교 아래 자연발생유원지도 휴가철 피서객들에서 각광 받는 장소다.그러나 북측의 기습댐 방류 등으로 군남댐 수위가 높아지는 등 홍역을 치른 탓인지 인근에 살고 있는 주민 2명만이 다슬기를 잡고 있었고, 피서객들은 아예 없었다. 인근 동이리 뚝방길과 삼화교 등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다슬기를 잡기 위해 이곳을 찾은 주민 K씨(56)는 “올해는 외지사람들을 보기 힘들다”면서 “7월 중순부터 사람들이 오기 시작하는데 올해는 피서객들이 없다”고 말했다. 낚시가게를 운영 중인 P씨(49)도 “피서객들은 둘째치고 낚시하러 오는 사람들도 발길을 끊은 것 같다”면서 “북한의 댐 방류 위험에 대한 관심 높아지면서 올해는 여름 장사가 수월치 않다”고 답답해했다. 한편 이날 오후 2시께 임진강 군남댐 수위가 ‘주의 단계’ 수준까지 높아졌으며, 경찰은 만일에 사태에 대비해 피서객들을 대피시키고 있다. 송주현기자
“괴롭힘을 당한 딸이 매일 가해학생의 얼굴을 봐야하는 학급교체만으로, 학교폭력 피해 치유가 될 수 있겠습니까. 우리 딸은 정신과 치료까지 받고 있습니다" 시흥의 한 초등학교에서 6학년 한 여학생이 성추행과 괴롭힘 등 지속적인 학교폭력에 수차례 자해를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시흥 J초등학교 등에 따르면 K양(13)은 학교폭력을 이유로 지난 4월부터 이달까지 모두 6차례에 걸쳐 손목과 손등을 흉기로 자해했다. 학교와 담임교사 등은 최초 자해 발견시기인 4월8일부터 상담교사를 통해 K양을 상담했으나 학교폭력 사실은 인지하지 못했다. 당시 K양은 교우관계 등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상담교사에게 학업스트레스 및 가정문제 등으로 자해를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K양은 부모에게는 “중학교 배정을 앞두고 가해학생들과 같은 중학교에 배정받는 것이 두려웠다”고 말했다. K양 부모는 “가해학생들은 딸의 머리를 잡고 얼굴에 물을 뿌리거나 지우개 또는 풀 등을 억지로 먹였다”며 “그것도 모자라 화장실로 데려가 바지와 팬티를 억지로 벗기고 성기를 보는 등의 성추행까지 했다”고 울분을 토했다.이에 K양 부모는 학교 측에 가해학생들이 13가지 유형의 학교폭력을 행사했다고 전했고, 학교 측은 지난 18일 학교폭력위원회를 열었다. 하지만 학폭위에서는 K양 부모가 요구한 가해학생들의 전학과 공개사과 등은 하나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또 애초 K양이 진술했던 13가지의 피해사실 중 7가지만이 인정됐다. 가해학생들에게는 5시간의 특별교육 이수 및 서면사과, 학급교체 처분이 내려졌다.K양 부모는 “난도질된 딸애 손을 쳐다볼 때마다 심장을 도려내는 것처럼 가슴이 아프다”면서 “피해자는 평생 트라우마를 안고 가야할 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학급 교체만으로 이 상황을 무마시킬 수가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또 “(학폭위)처분대로라면 딸이 매일 가해학생들과 얼굴을 맞대야 하는 것도 모자라, 같은 중학교에까지 배정을 받을 수 있다”면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처분”이라고 토로했다. 현재 J초등학교 졸업생은 지역 내 2개 중학교로만 진학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학교 관계자는 “일부 피해 사실 중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간 진술이 엇갈리는 부분이 있었다”면서 “학폭위에서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인정하는 사실 7가지만 선별해 징계 수위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학교폭력 피해학생이 우선이지만 학교 입장에서는 가해학생의 진술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송승윤기자
25일 오후 5시 33분께 충남 서천군 서천읍 한 삼거리에서 티뷰론 승용차와 SM5 승용차가 충돌했다. 이 사고로 티뷰론에 타고 있던 박모(53)씨 등 2명이 숨지고 량모(46·중국동포)씨가 다쳤다. SM5 탑승자 김모(51)씨 등 2명도 크고 작은 부상으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경찰은 목격자를 상대로 차량 신호 위반 여부 등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연합뉴스
구르미 그린 달빛 박보검.
갑을오토텍 직장폐쇄.
강하늘 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