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추동공원 산책로 곳곳 훼손…2개월째 방치

의정부시 도심 산지형 공원인 추동공원이 지난 8~9월 내린 비로 산책로 곳곳이 파이고 유실됐는데도 2개월 가까이 방치되면서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29일 의정부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 2019년 8월 민자공원으로 개발한 80만9천여㎡의 추동공원은 신곡동과 용현동 일대에 걸쳐 있는 도심 산지형 공원으로 사시사철 많은 주민이 찾고 있다. 소풍길 등 산책로와 야외학습장 등 테마공간, 휴게시설이 만들어져 주말과 휴일이면 남녀노소의 발길이 이어진다. 이런 가운데 지난 8월8~10일 사이 329.5㎜가 내리는 등 8~9월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추동공원도 곳곳이 피해를 입었다. 산책로 곳곳의 흙이 빗물로 씻겨 나가거나 파이면서 깊고 넓은 요철면이 생기거나 걷기 어려운 형태로 변했다. 노강 전망대 밑 약수터서 골프연습장 방향과 생활체육시설(화장실) 방향의 야외학습장 주변이 특히 심하다. 야외학습장 산책로는 아예 물길이 돼 깊게 파였다. 신곡 배드민턴장에서 우리 꽃 암석원으로 가는 산책로도 곳곳이 토사가 휩쓸려 나갔다. 생태통로에서 노강 전망대로 가는 산책로나 화장실서 도당화원으로 내려가는 통나무 계단길 등의 일부 계단 흙이 유실되면서 발을 디디기가 어렵고 자칫 안전사고까지 우려된다. 같은 비 피해를 입은 중랑천, 부용천, 백석천 등지의 천변 산책로나 자전거길은 응급 복구했으나 이곳은 복구의 손길이 미치지 않고 있다. 주민 A씨(55)는 “눈에 보이는 중랑천 산책로 등은 즉시 복구하고 조치하면서 추동공원은 신경을 안 쓰는 것 같다. 시가 한 번만 둘러봤어도 이같이 버려두진 않았을 것이다. 공원을 만들어만 놓고 관리를 안 한다”고 토로했다. 시 관계자는 “추동공원의 비 피해 현장을 파악하고 점검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추동공원은 시가 지난 1954년 공원으로 지정한 뒤 토지매입비 등 개발사업비 때문에 일부만 개발했다가 도시계획 실효를 앞두고 민간특례사업으로 개발을 마쳐 주민의 품으로 돌려줬다. 의정부=김동일기자

의정부 상하수도료 2026년까지 인상…현실화율 80~90%

의정부 상하수도요금이 내년부터 7% 이상 큰 폭으로 오른다. 29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생산·처리 원가 대비 요금 현실화율은 상수도 63%, 하수도 49.04%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최하위권이다. 여기에 노후관로정비 등 시설관리 비용이 해마다 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상수도 적자는 275억 원으로 시 재정 운용에 부담이 되고 있다. 시는 물가와 시민생활 안정을 위해 지난 2017년 이후 해온 상하수도요금 동결을 더는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전문기관에 원가 분석 등을 의뢰해 이를 바탕으로 인상안을 마련했다. 정부도 지자체의 상하수도요금 현실화율을 100%까지 올리도록 권고한 바 있다. 시는 이에 따라 상수도요금은 현실화율 90%를 목표로 내년부터 2026년까지 매년 7%씩 올린다. 가정용은 구간 별 누진제를 폐지하고 단일화해 t당 평균 590원에서 630원으로 40원 올린다. 다음달 시의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하수도요금은 내년 8.91% 인상을 시작으로 2024년부터 2026년까지는 각각 16.22%씩 올려 현실화율을 80%까지 높일 계획이다. 최규석 의정부시 맑은물사업소장은 “원가 절감을 통해 요금을 동결해 왔지만 재정적자 규모가 매년 커지면서 불가피하게 요금을 인상하게 됐다. 양질의 수돗물 공급 등 상하수도사업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의정부=김동일기자

홍한별, 경찰청장기사격 여고부 권총 3관왕 명중

홍한별(인천예일고)이 제31회 경찰청장기 전국사격대회 여자 고등부 권총 부문에서 대회 3관왕에 올랐다. 전날 25m 권총 개인전 우승자인 홍한별은 29일 충북 청주종합사격장에서 벌어진 대회 3일째 여고부 공기권총 개인전 본선서 575점을 쏘며 2위로 결선에 진출, 결선 금메달결정전서 허지원(전남체고)을 16대14로 꺾고 우승했다. 홍한별은 최수아, 최수빈, 김소희와 팀을 이룬 단체전서도 소속팀 인천예일고가 1천693점으로 전남체고와 동률을 이뤘으나, X10에서 44-36으로 인천예일고가 앞서 금메달을 추가하며 3관왕이 됐다. 단체전 3위는 1천690점을 쏜 충북체고가 입상했다. 또 여자 일반부 25m 권총 단체전서는 김선아, 김지혜, 심은지가 출전한 화성시청이 1천755점을 기록, IBK기업은행(1천752점)과 부산광역시청(1천748점)에 앞서며 1위를 차지, 지난 6월 창원특례시장배대회 우승에 이어 시즌 두 번째 단체전 정상을 차지했다. 화성시청 우승의 주역인 김선아는 개인전 본선서 586점을 기록해 6위로 8명이 겨루는 결선에 진출, 승승장구하며 1위 결정전에 올랐지만 김란아(동해시청)에게 26대31로 져 대회 2관왕에는 아쉽게 실패했다. 한편, 남자 일반부 50m 3자세 단체전서 경기도청은 1천736점으로 KT(1천752점·대회신)와 상무(1천744점)에 이어 3위를 차지했고, 같은 종목 남대부 단체전 인천대도 1천684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황선학기자

안산시, 리조트 매입 ‘급급’… 시의회에 ‘불법 쉬쉬’

안산시가 다가구주택(리조트)을 연수용으로 사들이면서 시의회에 해당 건물의 농지 훼손 등을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앞서 시는 농지가 불법 훼손됐는데도 원상 복구하지 않은 채 리조트 소유권을 이전해 논란(경기일보 2월24일자 10면)을 빚은 바 있다 29일 안산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2월17일 단원구 대부동동 해안가 인근 개인 소유 리조트와 토지 16필지 등을 38억9천여만원(탁상 감정가)에 매입했다. 본관 및 생활관과 세미나실 등을 갖춘 해당 리조트는 토지 1만3천500여㎡에 연면적 1천660㎡, 건축면적 355㎡ 규모였다. 그러나 지난 2020년 9월 사용승인을 받은 해당 리조트는 단지 내 농지 1천650여㎡ 중 일부는 연못, 나머지는 주차장으로 불법 용도변경해 사용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임야 3천640여㎡도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5천㎡ 이상에 3만㎡ 미만 부지를 개발할 경우 너비 6m 이상 진입로를 확보해야 하는데도 해당 리조트는 진입로 너비가 3~4m밖에 안돼 연수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시는 같은 시기 공유재산 취득 관련 시의회에 관리계획(안)을 설명하면서 농지 불법 훼손 및 진입로 문제 등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이 때문에 시가 리조트 매입에만 급급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당시 현옥순 시의원은 “어려운 시기에 본예산도 아닌 추경예산으로 리조트를 매입해야 할 만큼 시급한 지 의문”이라며 “진입로가 좁아 확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데 그러면 추가 예산이 필요하지 않겠냐”고 따졌다. 특히 시는 불법 훼손된 농지를 원상 복구한 뒤 매입해야 하는데도 이를 무시해 불법을 묵인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시는 해당 리조트 매입 과정 등에 대한 감사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안산=구재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