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오늘부터 청약…LH홈페이지 접속자 폭주

오늘(18일)부터 시작하는 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청약으로,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LH) 홈페이지에 이용자들이 몰리고 있다. 이날 오전 현재, LH 홈페이지 내 청약센터는 좀처럼 접속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접속하려는 이들이 몰리면서 일시적으로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다. 접속대기 시간을 기다려야 내용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전세형 공공임대주택은 임대료 중 보증금 비중을 최대 80%까지 높여 월세 부담을 최소화한 전세와 비슷한 유형의 공공임대주택이다. 임대료는 시세의 80% 수준으로 저렴하다. 건설임대와 매입임대 두 가지 형태로 공급되며, 건설임대는 1만2천337가구, 매입임대는 2천506가구를 공급한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5천7가구, 지방 9천836가구다. 입주자격은 소득자산에 관계없이 무주택 세대 구성원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다만 소득 수준에 따라 1순위는 생계의료수급자, 2순위는 소득 50% 이하(장애인은 70% 이하), 3순위는 소득 100% 이하, 4순위는 소득 100% 초과 등으로 차등을 뒀다. 입주 초 목돈 마련이 어려운 경우, 보증금을 낮추고 임대료를 높일 수도 있다. 보증금을 1천만원 낮추면 월 임대료로 2만833원가량을 더 내면 되는 식이다. 임대 기간은 무주택 자격을 유지하는 경우 4년까지 거주가 가능하고, 이후 해당 주택에 예비 입주자가 없는 경우 추가로 2년 더 거주할 수 있다. 접수는 18일부터 20일까지이며, LH 청약 홈페이지를 통한 접수와 현장 접수를 병행한다. 1순위 당첨자 발표는 다음달 18일이며, 다음달 26일 이후 계약 체결 시 즉시 입주할 수 있다. 다른 순위의 당첨자 발표는 3월 5일이고, 계약 이후 잔금 납부를 마치면 즉시 입주할 수 있다. 장영준 기자

청춘들의 세상을 향한 도전, '관계의 가나다에 있는 우리는'

팍팍한 현실 속에서 꿈을 위해 노력하는 청춘 남녀가 나온다. 그들의 말에는 씁쓸한 현실이 투영됐다. 계속 제자리., 그냥 좋아서 하면 안 되는 거야? 등등.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춘들이 새로운 세상을 향해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이인의 감독의 관계의 가나다에 있는 우리는이 오는 28일 개봉한다. 영화는 2019 제45회 서울독립영화제 - 새로운 선택에서 선보이며 이미 주목을 받았다. 오산에서 나고 자란 감독 이인의는 전작 캐치볼(2008) 등에서처럼 관계를 테마로 이어나간다. 차가운 현실 속, 세 청춘이 만나 관계를 맺으며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현실적으로 그려낸다.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들에게도 이 영화는 성장하는 과정이자, 도전이다. 배우 은해성은 언제나 잔고 제로인 청년 미생 민규 역을, 배우 오하늬는 어린 시절 캐나다로 피겨 유학을 떠났다가 은퇴를 하고 돌아온 한나로 분한다. 한나는 앞을 가늠할 수 없는 현실을 버거워하면서도 밝고 당당한 모습으로 새로운 출발점에 선 20대를 그려냈다. 이번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연기에 도전한 이서윤 배우는 친생부모를 찾기 위해 한국으로 온 주희로 열연을 펼쳤다. 전혀 연관성이 없는 세 청춘은 냉혹하게만 보이는 한국 사회에서 부단히 노력한다. 꿈을 위해 노력하는 청춘의 첫 설렘은 관객 누구나 느껴봤을 법한 그 시절의 20대로 돌아가게 한다. 또 현재의 20대와 청춘들에게 열렬한 지지와 응원의 박수를 보내게 한다. 전체 관람가. 정자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