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 보건소, 道 주관 ‘2017년 말라리아 퇴치사업’ 평가 우수상 수상

양주시 보건소는 경기도가 주관하는 ‘2017년 말라리아 퇴치사업’ 평가 결과 경기북부 11개 시ㆍ군 가운데 우수상을 받았다. 이번 평가는 각 시ㆍ군의 민ㆍ관ㆍ군 등 관계 기관들과의 유기적인 방역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말라리아 환자 발생 관리와 감염병 예방 노력, 특수시책, 우수 사례 등 다양한 방역사업 추진 실적 등 11개 영역의 지표를 평가한다. 양주시는 올해 지난 3년간 예산 평균 대비 방역 자체 예산을 170% 이상 증액해 민간자율방역단을 포함, 180여 명의 방역인력을 확보해 운영했다. 지난해 136곳이던 방역 취약지역을 올해 민원 다수 발생지역을 포함해 246곳으로 확대 재정비하는 등 모기 서식지역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감염병 매개모기 발생을 낮추고자 유충 구제ㆍ분무 소독 등 집중적 방역소독과 매주 1회 민간자율방역단을 통한 야간 연막소독 시행 등 다각적인 방제사업을 추진하는 등 감염병 예방사업에 주력했다. 특히 지속적인 말라리아 환자 모니터링과 정기적인 교육과 예방홍보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말라리아 감염병 발생 감소를 위해 적극 노력했다. 양주시 보건소 관계자는 “앞으로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역활동과 감염병 예방홍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군포시의회 이석진 의장, 대한민국국회평화대상 수상

군포시의회 이석진 의장이 최근 국회 의원회관 대강당에서 대한민국국회평화대상위원회와 세계평화사랑연맹이 공동 주최·주관한 ‘2017 한국을 빛낸 대한민국국회평화대상’에서 국제평화공헌 부문의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 등과 더불어 지방자치의회 평화발전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석진 의장은 재선의원으로 전반기 부의장에 이어 2016년 7월부터 제7대 후반기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활발한 의정활동을 통해 지역 주민들로부터 호평 받는 인물로서 뛰어난 리더십으로 귀감이 되는 의정활동을 펼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광을 차지하게 됐다. 이 의장은 “지방의회는 시정발전에 대한 지혜를 모으고 지역주민의 고충해결을 위한 평화적인 창구인 만큼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의정활동을 펼침에 있어 잘못한 점이 있으면 따끔한 충고를, 잘한 점이 있으면 따뜻한 격려를 보내주기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국회평화대상위원회와 세계평화사랑연맹(이사장 한한국)이 선정한 대한민국국회평화대상은 대한민국의 평화문화를 정착시키고, 한반도의 평화와 세계평화를 위해 국회, 정부, 해외, 지방자치단체, 교육, 기업, 단체, 개인,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평화적인 활동과 뛰어난 리더십으로 한국을 빛낸 인물을 엄격한 심사를 걸쳐 선정한다. 군포=김성훈기자

국회인권포럼, ‘올해의 인권상’시상식 개최

국회인권포럼과 (사)아시아인권의원연맹(대표 홍일표 의원, 자유한국당ㆍ인천 남갑)은 11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올해의 인권상’ 시상식을 개최했다.국회인권포럼은 2005년부터 인권보호 및 증진을 위해 기여한 활동가 또는 단체를 선정해 그 공로를 치하하고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해 ‘올해의 인권상’을 수여해 왔으며, 올해로 12회째를 맞이하고 있다.올해의 인권상 수상자는 태영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전 영국주재 북한공사)으로 선정됐다. 태 위원은 지난해 8월 대한민국에 망명한 이후 북한정권의 참혹한 인권 탄압 실태를 국제사회에 고발하며, 북한주민의 절박한 상태를 인류의 양심에 호소해 왔다.국회인권포럼과 홍일표 의원은 “태 위원은 북한 내 민주화와 인권문제에 대한 국내외 공개 발언을 통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북한주민들의 자유와 인권을 억압하는 북한정권에 제동을 거는 커다란 압박이 되고 있다”고 선정이유를 밝혔다.홍 의원은 이어 “앞으로도 북한 내 인권 상황이 실질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주요한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태 위원은 수상소감을 통해 “북한 내 외부세계의 정보를 유입시키고 북한 대중을 교육시키면 그들이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그는 이어 “지난해 국회에서 채택된 북한인권법에 기초해 북한인권 문제를 장기적·지속적으로 다룰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유엔 무대를 통해 북한인권 문제를 거론하고 다자간 협력체계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남북 대화와 교류에서 북한인권 문제를 분리시켜 대응해야 한다”면서 “각종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북한주민들에게 한국의 자랑스러운 민주화투쟁 역사와 경제적 성과, 그리고 인간의 고유한 권리를 알려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김재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