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기회소득’과 ‘청년사다리’ 등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역점사업을 내년도 예산안에 담고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김 지사는 3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65회 정례회 3차 본회의에서 ‘2023년 예산안 및 2022년 추가경정예산안’ 관련 시정연설을 통해 내년에 추진할 주요 사업을 소개했다. 그는 “복합위기 상황에서 가장 먼저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어려운 상황에 처한 도민이 재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도의 의지를 담았다”며 “중앙정부는 ‘건전재정’을 목표로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사업예산을 축소했다. 그러나 위기의 시대에는 평시와 다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재정이 보다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도 예산안은 ‘건전재정’이 아닌 ‘민생재정’에 중점을 뒀다”고 예산 편성 방향을 밝혔다. 이날 김 지사가 소개한 내년도 예산은 ‘민생’, ‘기회’, ‘안전’에 집중적으로 투입된다. 먼저 ‘민생예산’은 주거, 교통, 일자리 분야에 중점적으로 편성해 ‘1기·3기 신도시 정비’ 등에 7천957억원, ‘GTX 등 광역교통 기반 확충’에 1조6천271억원을 배정했다. 중앙정부가 축소한 ‘노인 일자리’와 ‘국공립 어린이집’ 사업 예산은 각각 확대해 2천246억원과 132억원을 반영했다. 또 ‘기회예산’ 1조531억원은 ‘경기청년 사다리’, ‘경기청년 갭이어’ 사업에 61억원, ‘베이비부머 일할 기회 지원’ 사업에 91억원을 배정했다. 예술인 기회소득 66억원과 장애인 기회소득 10억원, 장애인 누림통장 9억원 등도 반영했다. 이와 함께 도는 기회터전을 위해 옛 경기도청 부지의 사회혁신 복합단지 조성에 20억원을 편성했다. 아울러 ‘안전예산’은 올해 대비 19.6% 증액된 1조1천966억원을 배정하고, 안전한 노동환경 조성에 1천643억원, 사회복지 예산에 14조3천390억원을 편성했다. 도는 지난달 31일 33조7천790억원 규모의 내년도 본예산안을 도의회에 제출했다. 도의회의 본예산안 의결 법정기일은 다음 달 16일이다. 한편 이날 오후 김 지사는 염태영 경제부지사와 함께 곽미숙 국민의힘 대표(고양 6)를 만나 2차 추가경정안 처리를 요청했지만 불발됐다. 김보람기자
도·의정
김보람 기자
2022-11-03 2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