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여년전 다산 정약용선생의 시가 우리시대의 춤꾼 이애주씨의 검무로 재탄생된다.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선생은 17년간의 유배생활을 빼고는 경기도에서 낳아 경기도에서 생을 마감했는데 그의 시편중에는 ‘무검편증미인(舞劍篇贈美人)’(칼춤-미인에게)이라는 시가 있다. ……계루고(鷄婁鼓) 소리따라 풍악이 시작되니/ 저넓은 좌중이 가을물처럼 고요한데/ 촉석루 성안 처녀 꽃같은 그 얼굴이/ 군복으로 분장하여 영락없는 남자로다/…중략…/ 한칼은 땅에 놓고 또 한칼로 춤추니/ 푸른뱀이 백번이나 가슴을 휘감는 듯/ 홀연히 쌍칼잡자 사람모습 간데없고/ 일어설 때 하늘에 안개구름 자욱하네/ 이리저리 휘둘러도 칼끝 서로 닿지않고/ 치고 찌르고 뛰고 굴러 소름끼치네/……. 이 시는 푸른 뱀, 겨울산의 회오리 바람과 소나기, 붉은 번개, 푸른 서리 등의 비유를 빌어서 칼날이 번뜩이는 한 미인의 검무장면을 실감나게 그리고 있다. 다산선생이 1780년쯤에 지은 것으로 알려진 이 시에는 다산의 기타 논저, 산문, 편지, 시편 모두에 통틀어 흐르는 사실주의적 묘사가 철저하게 보인다. 이 시에서 그려지는 검무 춤사위는 현재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평양검무나 진주검무와는 약간 다르게 묘사되고 있어 흥미롭다. 정확한 차이는 순조때 발간된 ‘진연의궤’ ‘진찬의궤’ ‘진작의궤’ ‘정재무도홀기’ 등에 전하는 무도와 무보를 비교해봐야 하겠지만 이 시의 구절구절에서 그려지고 있는 춤사위대로 검무를 재연하고, 이를 다시 진주검무나 평양검무의 춤사위와 비교해 본다면 우리 검무의 원형을 찾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이며 서울대 교수인 이애주씨는 다산의 이 시를 제13회 다산문화제의 일환으로 6일 낮12시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다산묘역이 있는 다산기념관 앞뜰에서 공연하는데 어떠한 검무로 형상화 될
경기지역 예술인들과 시민들이 함께 어울리는 제20회 경기종합예술제가 막이 오른 가운데 7일 오후7시 용인시문예회관에서는 경기도민과 각 지역 음악단체들간의 화합의 장인 ‘경기음악제’가 펼쳐진다. 한국예총 경기도지회가 주최하고 한국음악협회 경기도지회(지회장 김병준)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경기음악의 다변화와 차원높은 경기음악 발전을 위해 음악협회 각 지부별로 자기 고장을 대표하는 합창단체들이 참여해 지역간의 음악적 교류를 통한 화합을 이끌어 낸다. 이번 음악제는 어린이 합창, 어머니 합창, 남성합창, 일반합창 등으로 꾸며지는데 어린이합창에는 용인소년소녀합창단이 ‘노래같이 좋은 것은 없다네’, 안양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 ‘Mary had a little bluse’외 2곡, 구리풍양스위트펄소년소녀합창단이 ‘나우스데오’외 2곡을 들려준다. 또 어머니합창부문에선 성남분당구어머니합창단이 ‘쉬리’의 주제곡을, 군포시립어머니합창단이 ‘아리랑술래모음’, 부천시어머니합창단이 ‘글로리아’외 2곡을, 광명여성합창단이 ‘청산리벽계수야’외 1곡을, 파주시어머니합창단이 ‘코스모스’를 들려주고, 고양시남성합창단의 ‘농부가’‘어메이징’과 수원시남성합창단의 ‘사랑의 그리움’외2곡으로 꾸며지는 남성합창부문이 이어진다. 그리고 마지막 무대는 이천콘서트콰이어의 아름답고 화려한 모습으로 꾸며질 예정이다.(032)665-6152 /박인숙기자
‘부천·가와사키 한·일미술교류전’이 7일까지 부천시민아트센터(시청로비전시실)에서 열린다. 지난 1996년 일본의 가와사키시와 부천시가 우호도시체결을 기념해서 가와사키시와 부천시에서 1년마다 번갈아 개최되는 미술교류전은 올해로 4회째를 맞았는데 매번 여러 미술가의 작품이 다양하게 출품되고, 양시 미술가가 상호방문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흡수하고 상호이해의 폭을 넓히는 등 그 이름에 걸맞은 교류가 이루어져 왔다. 지난 2일부터 시작된 이번 전시회엔 일본 작가 40명과 한국미술협회 부천지부 회원 60여명의 작품들이 다양하게 전시되고 있다. /박인숙기자
금세기 마지막 노벨문학상 수상의 영예를 차지한 독일의 원로작가 귄터 그라스(72)는 정치적으로 인도주의와 진보에 몰입한 전후 독일 작가 세대의 대표적 인물이다. 1927년 발트해 연안의 항구도시 단치히(현재는 폴란드의 그다니스크)에서 식료품가게를 하는 소시민의 아들로 태어난 그라스는 어린 시절 나치 출현과 2차 세계대전을 목격하며 성장했고 실제로 전쟁에 참전, 연합군의 포로가 되기도 했다. 광산 노동자로 일하기도 했던 그라스는 문단 데뷔 전 전 파리에서 조각가로 활동했으며 1955년 처음으로 시와 소묘를 모아 책을 펴냈다. 4년후 그라스는 제3제국 시절 동프러시아를 배경으로 성인이 되기를 거부하는 한 아이의 눈을 통해 한 가정의 힘겨운 가족사를 풍자적으로 묘사한 ‘양철북’을 발표, 일약 세계적인 작가로 발돋움했다. 그는 이후 게오크 뷔흐너 상, 토마스 만 상 등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현실 정치에 대해서도 예리하고 거침없는 충고를 던져 독일 사회의 원로로 추앙받고 있다. 그라스는 ‘양철북’ 이후 ‘고양이와 쥐’(1961), ‘개들의 시절’(1963)를 발표했으며 1969년에는 훗날 소심한 개량주의자로 변신한 젊은 혁명가의 소아적 호전성을 주제로 다룬 ‘국부마취를 당하고’로 큰 호응을 얻었다. 이어 ‘어느 달팽이의 일기’(1972), ‘두뇌의 산물-독일인들이 멸종한다’(1980), ‘광야’(1995)를 발표했다. 시집으로는 ‘풍향계의 장점들’ ‘궤도의 삼각선’이 있다. 그는 1969년 한 인터뷰에서 자신을 “절대적 목표를 정해 놓으려는 어떤 신념도 공격할 정도로” 모든 종류의 이념을 혐오하는 인도주의자라고 규정했다. 60년대 소비자운동과 독일 젊은이들중 일부를 열광시켰던 혁명적 폭력에 대해서도 비판을 아끼지 않았던 그라스는 독일내 핵미사일 배치에 반대하는 호전적 평화주의자였으며 사민당(SPD)의 비판적 지지자였다. 지난 30일 스
우리나라의 전통과 문화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경기도박물관(관장 장경호)이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인 제6기 박물관대학이 지난달 29일 문을 열었다. 이날 개강식에는 당초 모집 수강생 200명과 대기등록자뿐만 아니라 등록을 하지못한 미등록자까지 대거 청강하는 등 큰 호응을 보여 전통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과 열의를 실감케했다. 박물관대학은 경기도박물관이 지난 97년부터 상·하반기 2회에 걸쳐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기전문화(畿甸文化)와 전통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소양을 쌓아 체계적이고 현대적인 안목으로 이해하도록 8주∼9주간으로 진행되는 단기특강이다. 전반기는 경기도를 중심으로한 기전문화의 이해를, 하반기는 한국 문화사의 분야별 주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있는데 제1기 ‘경기문화의 이해’,제2기 한국의 불교문화, 제3기‘한국의 선사문화와 경기도’,제4기 ‘한국의 전통회화’, 제5기 ‘경기도의 고대문화’를 주제로 모두 800여명의 수료생을 배출해 왔다. 이번 제6기는 ‘한국의 건축’를 주제로 열리는데 이는 올해가 ‘한국 건축문화의 해’여서 더욱 더 큰 의미가 있다. 개강 첫날 장경호 경기도박물관장의 ‘한국의 전통건축’에 대한 강의를 시작으로 ▲6일 고려대 주남철 교수의 ‘고대의 주거문화’, 교원대 정영호 박물관장의 ‘석조건축과 탑파’▲13일 동국대 김동현교수의 ‘한국의 목조건축’, 경기대 김동욱 교수의 ‘한국의 성곽건축’ ▲20일 경주대 이강근 교수의 ‘한국 고대 불교건축에 대한 이해’, 정재훈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발굴조사업단장의 ‘한국 조경의 특성’ ▲27일 수덕사·추사고택 답사 ▲11월3일 부산대 장영훈교수의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11월10일 장순용 삼성건축사사무소장의 ‘궁궐건축의 변화와 특징’, 성균관대 이상해교수의 ‘유교문화와 한국의 전통건축
교내 음악활동을 통해 그 능력과 자질을 다져오면서 대내외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삼일상업고등학교(교장 배용제)가 개교 96주년을 기념해 제16회 삼일음악회를 10월7일 오후7시 경기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개최한다. 활발한 음악활동으로 지역사회의 문화를 풍성하게 만드는데 큰 일익을 담당해 온 삼일상고 음악부는 매년 우수한 음학대학의 높은 진학율과 더불어 음악인 출신으로 구성된 음악동문회가 든든한 후견인으로 후배들을 물심양면으로 보살펴 주고 있는 것이 자랑거리이다. 졸업생과 재학생이 하나가 되어 성가곡, 가곡, 팝송등 다양한 연주를 선보일 이번 음악회는 재학생으로 구성된 성가반, 에바다 남성합창, 하나멜 여성 중창, 비바체 여성 중창, 바이블 남성중창 등과 관악부의 순서로 꾸며진다. 또 졸업생 순서로는 피아노 듀오와 성악독창 등이 있다. 특히 마지막 순서의 ‘삼일의 찬가’는 음악동문회 회장으로 있는 허윤강(수원농생고 교사) 편작으로 피날레를 장식한다. (0331)251-3110 /박인숙기자
10월의 문화인물에 조선중기때 언어학자로 중국어 교육과 한글발달사에 획기적인 업적을 남긴 최세진(崔世珍·1473∼1542)이 선정됐다. 한국 최초의 언어학자라 할 수 있는 최세진은 조선 성종∼중종 때 활약했던 중국어, 즉 한어(漢語) 통역관으로 연산군의 폭정과 중정반정의 정치적 소용돌이에서 문신들의 갖은 핍박을 받으면서도 평생을 국어와 중국어 비교연구에 전념했다. 중국어 회화에 능통했던 중인 출신인 그는 외교문서 작성에 사용되던 한이문(漢吏文)에도 정통해 당시 중국과의 외교업무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이런 경력 때문인 듯 그는 한어의 구어와 문어 교육에 남다른 열정을 갖고 많은 중국어 학습 교재를 편찬했다. 그는 중국 표준발음을 정리한 ‘사성통해’(四聲通解)를 찬술했으며 조선시대 역관들이 중국어 회화학습을 위해 사용하던 대표적인 두 교재인 ‘노걸대’(老乞大)와 ‘박통사’(朴通事)를 한글로 번역했다. 또한 글로 쓰는 중국어인 한이문 교재로 ‘이문집람’(吏文輯覽)을 지었고 이것으로 승문원(承文院)에서 직접 강의하기도 했다. 이러한 중국어 학습교재 편찬과 함께 우리말과 중국어 비교연구에 헌신한 결과 ‘노박집람’(老朴輯覽)을 냈고 나아가 아동들의 한자교육에도 관심을 쏟아 ‘훈몽자회’(訓蒙字會)라는 불후의 저작을 남겼다. 그가 남긴 이들 책은 한국어는 물론 중국어 발달사 연구에 더없이 귀중한 자료로 한국에서는 물론 중국과 대만, 일본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한글 자모 순서가 ㄱ,ㄴ,ㄷ 혹은 ㅏ,ㅑ,ㅓ라는 것은 한국인이면 누구나 알고 있으나 이 순서를 정한 이가 바로 최세진이라는 사실은 잘 모르고 있다. 문화부는 최세진을 기념하기 위해 최세진기념문집을 내는 한편 오는 22일 대우학술재단에서는 그의 생애와 학문세계를 살펴보는 학술대회를 갖는다. /이연섭기자
경기연극계에 많은 공헌을 한 연극인을 발굴 시상해 연극인들의 창작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정한 99경기연극상의 수상자가 선정, 3일 오후5시30분 올해 경기연극제가 열린 용인시문예회관에서 시상식을 가졌다. 99경기연극상은 금상(한국연극협회장상)에 현성주씨(44·경기도연극협회 부회장, 극단 발바딧 대표)가 수상했으며, 은상(예총경기도지회장상)은 조동관씨(43·군포시연극협회장, 연극연출가)가 수상했다. 또 동상(경기도연극협회장상)은 이기자씨(37·성남연극협회 부회장, 연기자)와 허기호씨(48·안산시연극협회 운영위원, 연기자), 박남춘씨(43·용인시연극협회장) 등이 각각 수상했다. /이연섭기자
연휴를 이용해 수도권 근교에 다녀올 수 있는 명산을 소개한다. <명지산> 명지산(1,267m)은 경기도 제2의 고봉으로 동쪽으로는 가평천을 사이에 두고 제1 고봉 화악산과 대치하며 서쪽으로는 조종천을 두고 운악산 줄기와 마주보고 있다. 이 산은 단일산으로 경기도에서는 비교적 규모가 큰 산에 속하며 정상에서부터 1,250m봉∼1,199m봉∼1,068m봉으로 이어지는 1,000m대의 능선은 마치 거대한 성곽과도 같다. 가평에서 북서쪽으로 약 14km 떨어진 명지산의 산행은 가평군 하면 하판리와 북면 익근리, 백둔리 등을 기점으로 하는 코스가 가장 일반적이다. 명지산 정상 북쪽인 북면 적목리의 논남기마을을 기점으로 하는 코스가 있으나 초보자들에게는 어려운 코스다. 그리고 논남기마을 초입인 적목리 명지초등학교와 앞 거릿내에서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도 아직까지는 하산로로 이용할 뿐 이곳을 기점으로 명지산 산행을 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코스=명지산의 대표적인 등산로는 익근리 코스, 상판리코스, 백둔리코스 등이 있다. 승천사∼명지폭포∼화채바위∼정상으로 이어지는 익근리코스와 상판리에서 귀목고개와 아재비고개를 경유해 정상에 이르는 상판리코스는 각각 3시간 정도 걸린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곳은 거릿내마을에서 개울 건너로 보이는 솔밭이다. 이 코스로 사향봉 못미처의 갈림길에서 화채바위를 거쳐 정상에 이르려면 6시간 정도 걸린다. 이 코스는 아직 오염이 안되었고 등산로도 가파르지 않은 편이다. ▲교통=서울상봉동터미널에서 가평까지 1일 11회 운행, 1시간 30분 소요. 가평∼거릿내는 1일 3회 운행, 1시간 10분 소요. ▲숙박=명지초등학교에서 북쪽으로 약 2m 거리에 있는 약수상회에서 민박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