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선거가 끝나고 경기도지사가 결정되었다. 지난해 12월 경기연구원에서 경기도민에 대한 희망과 아젠다 사회인식 설문 조사에서 경제 산업 과학 기술 분야 우선 과제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42.3%), 소상공인 자영업자 역량 강화(33.1%), 4차 산업혁명 거점 육성(23.2%)로 나타났으며 특히 북서부 권역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한 창업 생태경제성이 높다. 경기도를 4차 산업혁명과 신산업 거점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신임 경기도지사는 다음 여덟가지 아젠다 사업에 역점을 두기를 바란다. 첫째로, 경기도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5대 거점 혁신 클러스터를 육성하고 빅데이터 활성화 기반 구축과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의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판교 블록체인 캠퍼스’ 오픈과 과감한 투자에 더하여 판교지역에 블록체인 규제완화 샌드박스를 추진하는 것과 아울러 규제완화 대상, 해법과 입법의 프로세스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로,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을 위하여 중소기업 이익 공유제 확산, 갑을 관계 해소를 위한 공정거래 지원센터 역량 강화, 중소기업 사내 근로 복지기금 활성화, 대ㆍ중소기업 동반 성장 R&D 사업 확대, 지역고용 거버넌스의 갈등 예방 노사관계모델 구축 등이 필요하다. 셋째로 소상공인 자영업자 역량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정부지원제도를 통해, 창업운영을 보다 효율적인 기회로 활용하고 있지만, 아래와 같은 제도적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소상공인의 도움이 절실한 분야가 자금지원, 마케팅 등 점포운영에 따른 현실적인 문제에 봉착되어 있다. 정부의 정책자금지원은 사업자등록증이 개설되어야만 자금지원을 신청해 볼 수 있는데, 초기 자본이 열악한 예비 소상공인의 경우,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소상공인의 자금에 대한 용도는 대부분 집기, 점포 인테리어, 사업장 구입비용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사업자등록증이 없는 예비 창업자에게도, 초기 창업자금이 지원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소상공인지원센터에서 사업성 평가를 철저히 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정책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와 신속한 정책 집행이 필요하다. 넷째로, 기술 융합 서비스 경제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ICT·신기술 서비스 산업의 수출 거점화, 지역주도의 맞춤형ㆍ패키지 지역발전정책과 권역별 지역 특화 지식서비스 산업을 추진하는 등 지역의 성장거점을 구축ㆍ육성해 경기도 균형발전 도모가 필요하다. 지식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규제 샌드박스 시티의 추진이 필요하다. 다섯째, 고용지표가 외환위기 수준까지 악화돼서 청년 실업률이 10.5%를 기록하여서 청년 일자리 창출 정책이 필요하다. 청년 스타트업 시티 건설, 중소기업 청년 고용 지원 사업 확대, 청년 일자리 창출 플랫폼 구축, 공동체 및 도시 재생 청년 일자리 창출, 사회 공헌형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의 정책이 정밀하게 시행이 요구된다. 여섯째, 지역경제 활력 제고가 필요하다. 지역에 특화된 산업 육성, 지역투자 촉진을 위한 규제완화 및 인센티브 부여 등을 통해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지역 경제활력 제고와 지역사업구조 단순화 및 지역특구제도의 내실화를 추진하고, 새로운 산업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산업용지를 공급이 필요하다. 일곱째, 수도권 경쟁력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 광역 대도시권 성장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 발전 지원 특별법 추진과 경기 동북부 지역 규제 합리화가 필요하다. 지역 통합형 수도권 교통 혁신을 위하여 수도권 광역 교통청의 설립이 요구된다. 여덟째, 판문점 선언과 북·미 회담으로 한반도 긴장완화로 ‘한반도 신경제’ 구상에 따른 남북 교류 확대가 예상된다. 경제적으로 낙후된 경기 북부 남북한 접경지대에 대한 특구 지정으로 생태 관광 벨트 육성과 통일 특구법 제정이 필요하다. 김기흥 경기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오피니언
김기흥
2018-06-17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