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정보혁명으로 통신수단이 발달하고 인터넷의 확산으로 세계가 하나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세계화에 따라 이제 문화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최근 정부는 중앙에 집중된 문화보다도 지방의 자율성과 다양한 특색을 최대한 보장하는 지방분권적 문화예술정책을 지역문화육성의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문화의 활성화는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지역의 발전을 지향하고, 진정한 지역자치를 실현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국가 전체의 역량을 배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문화활성화정책은 지역민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문화전통을 계승하며 개성 있는 지역문화를 발전시키기에는 인적, 물적 한계가 너무나 많다. 우선적으로 인적 한계다. 지역문화를 논하는데 있어 지역문화예술인을 빼고는 얘기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지역문화를 가꾸고 키우는데 지역문화예술인의 역할은 대단하다. 그러나 지역문화 중흥을 위해서는 문화예술 창작자, 무대기술자, 문화예술경영인, 문화예술기획가, 문화예술마케팅전문가 등 문화예술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며 행정공무원 또한 순환보직으로 인하여 전문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둘째로 턱없이 부족한 기반시설, 즉 인프라의 부족이다. 문화예술 인프라의 구축에는 상당한 예산이 소요되며, 또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서 지방정부는 쉽게 투자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일부 지자체에서는 문예진흥기금을 조성해 운용하고 있으나 아직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지역문화활성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한계는 소프트웨어 부족이다. 최근 각 지자체마다 문화예술진흥정책에 힙입어 지역축제가 급증하고 있으나 대동소이한 경우가 많고 전국의 각 문화원, 문화의 집, 주민자치센터 등에서 각종 문화행사, 취미교실, 공연, 전시 등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전문 인력의 부족, 프로그램의 개발 부족 등으로 기관간 중복된 프로그램이 많아 효율성이 떨어지고, 소비자의 다양한 향유 욕구를 충족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효율적으로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인적, 물적 문화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한다. 문화예술 전문인, 지역주민, 공무원을 포함한 문화예술 정책가, 각 기관에서 배출된 문화예술동아리 등을 총망라해 네트워크를 형성해 고급예술과 대중예술, 전통문화와 현대문화 등 다양한 문화를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을 뿐더러 연령별, 계층별 문화소외 계층이 생기지 않게 골고루 배려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구성원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이끌어 냄으로써 완성도 높은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선보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각 지역문화단체, 문화시설 등을 네트워킹해 활용 가능한 잠재적 문화 공간들을 파악해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부족한 문화예술공간을 확보하고 프로그램의 중복투자를 회피함으로써 지역문화정책의 효율성을 배가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경기지역문예회관협의회는 경기, 인천의 문화예술회관 네트워크를 형성해 부천문화재단을 포함한 7개 지역의 문화예술회관이 참여해 공동 제작한 락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은 부족한 예산, 부족한 전문인력, 전문 문화예술 마케팅 부족 등을 극복한 지역문화네트워킹의 대표적인 산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문화네트워크는 지역문화활성화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회로서 우리에게 다가와 있다. 아무쪼록 최대한 촘촘한 문화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그 효과는 더욱 더 커질 것이다. /박 두 례 부천문화재단 상임이사
오피니언
경기일보
2005-10-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