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도시지역 대곶면까지 확장

김포시 도시지역이 대곶면지역까지 확장되고 지구단위계획구역이 기존 33개 구역에서 70개 구역으로 늘어난다.시는 향후 인구 59만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용도지역 및 각종 도시기반시설, 도시개발사업, 지구단위계획 등을 단계적으로 시행할 도시관리계획 재정비안을 마련, 주민공람에 들어갔다고 8일 밝혔다.도시관리계획안에 따르면 도시지역이 기존 김포12동, 사우풍무동 등에서 한강신도시를 포함한 양촌, 통진, 대곶지역으로 대폭 확장돼 현재 86㎢의 도시지역의 면적이 40㎢ 증가한 126㎢로 늘어난다.도시지역 확장영역 내에 포함된 관리지역과 농림지역 등 비도시지역은 모두 녹지지역으로 변경되고 일부 집단화된 주택지는 자연취락지구로 지정된다.또 비도시지역 내 공장이 밀집된 지역은 난개발 방지와 집적개발 유도를 위해 산업개발진흥지구 3개소를 신규 지정했다.지구단위계획구역은 2020년 59만 인구에 맞춰 37개 구역을 새롭게 지정, 기존 33개 구역에서 70개 구역으로 늘어났다.장기운양동, 양촌면 석모리 등 신도시 주변에 20개 구역, 고촌통진대곶월곶하성면 등 읍면 지역에 17개 구역을 각각 지정했다.도시계획시설로는 걸포동 일원 종합운동장과 운유산 일원 체육공원(51만2천580㎡), 애기봉 평화공원(96만1천743㎡) 등 권역별로 6개의 근린공원과 체육공원이 조성된다.또 한강신도시에서 외부로 통하는 12개 노선 등 73개 노선의 도시계획도로를 새롭게 수립했고 획일적인 완충녹지선을 현실적으로 조정했다.시는 시의회 의견청취를 거쳐 내년 상반기까지 경도의 승인을 받아 내년 하반기부터 적용할 계획이다.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김포 버스공영차고지 본격 ‘시동’

김포시 버스 공영차고지 건설이 본격화된다.시는 최근 버스 공영차고지 조성 사업비 190억원 중 46억윈 확보되고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한 공영차고지 도시계획시설결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연말부터 토지보상에 나서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시는 이른 시일 내 실시설계 인가를 받아 빠르면 내년 7월 착공, 한강신도시 조성사업이 완료되는 2012년 완공할 계획이다.버스 공영차고지 조성사업은 지난 2006년 타당성조사를 마치고 후보지까지 선정했으나 그해 지방선거로 용역 미확정과 국도비 지원 및 관계기관 협의 등으로 난항을 겪어왔다.버스 공영차고지는 월곶면 갈산리 산 115의 20일대 3만6천320㎡에 조성되며 최대 200여대의 버스를 주차할 수 있다.또 공영차고지에는 관리동, 정비동, 버스세차장, CNG충전소, 폐수처리장 등 시설을 갖추게 된다.특히 버스공영차고지는 김포강화선진금파운수 등 4개 운수가 400여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지만 타 지역 운행노선의 버스를 제외하면 김포지역을 운행하는 모든 버스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최해왕 대중교통과장은 공영차고지가 완공되면 한강신도시 등 대규모 택지개발로 기존 버스차고지 편입과 주택가의 대형버스 주차로 인한 매연, 소음, 교통혼잡 문제 등이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자녀존중 부모교육프로그램 ‘눈길’

김포우리병원(병원장 의학박사 고성백)이 이화여자대학교(아동학과)와 함께 오는 3일부터 병원 내 부모교육센터에서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이 교육프로그램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올바른 아동관 정립과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발달 관련성 및 상호존중적 양육의 기본개념 이해, 상호존중적 양육기술 습득 및 실천 등 체계적인 부모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교육과정은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 교육과정(매주 수요일 오전 10시30분부터 낮 12시30분까지, 총 8회)과 유치원교사, 보육교사 등을 대상으로 하는 보육시설 종사자 과정(매주 목요일 오전 10시30분부터 낮 12시30분까지 총 8회)을 운영한다.각 과정별 선착순 12명을 모집하며 교육비는 전액 김포우리병원에서 부담한다. 또 수료 후 이화여자대학교 인간생활환경연구소로부터 수료증을 받는다.고성백 원장은 평소 지역사회의 미래인 어린이들의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며 자녀 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올바른 가치관 정립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에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와 협력해 이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됐다고 말하였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