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I hope were not stuck with a bunch of fuddy-duddies. B: Once we get off the tour bus, were on our own. A: 고리타분한 사람들과 같이 가는 게 아니었으면 좋겠는데. B: 관광버스에서 내리면, 우리끼리 다니면 돼. a fuddy-duddy: 매우 보수적이고, 새롭거나 재미있는 것에 흥미가 없는 시대에 뒤진 사람들을 일컫는 속어이다. once: 이 단어는 종종 한번(one time)이라는 의미가 있지만, 이러한 문장에서 사용될 때는 ~하자마자(having done/having been done)라는 뜻이다. (be) on ones own: 그 어떤 책임 없이 원하는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자료제공= DYB 최선어학원
A: Is everything set for our ski trip tomorrow? B: I left everything up to the travel agent. A: 내일 스키 타러 갈 준비 다 됐어? B: 여행사에 모두 맡겼어. (be) set: 일정 대로 진행할 수 있도록 모든 것이 준비되었다는 뜻을 가진 쉬운 표현이다. leave (something) up to: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맡기는 것을 의미한다. 대개 전문가나 신뢰할 수 있는 사람에게 맡겼을 때 쓴다. 자료제공=
A: After driving that lemon for a week, hes singing a different tune. B: Yeah, sometimes he can be a real bonehead. A: 그 친구 그 불량품을 일주일 동안 몰더니 태도를 바꿨던데. B: 응, 가끔은 진짜 멍청이가 될 수 있지. Sing a different tune: 무언가에 대한 의견이나 태도를 바꾼다는 뜻으로, 특히 새로운 정보를 듣고 생각을 바꾼다는 뜻이다. a bonehead: 멍청이 같은 남자라는 뜻이다. 어떤 사람이 멍청이라면 마치 머리가 전부 뼈로 만들어진 것처럼 머리가 무거울 것이다. 여자의 경우 airhead라는 표현을 쓴다 자료제공=
A: If it sounds too good to be true, then it probably isnt. B: I guess you get what you pay for. A: 너무 좋아서 의심스럽다면, 사실이 아니겠지. B: 싼 게 비지떡인 것 같아. too good to be true: 이 표현은 우리가 기대하는 것만큼 결과가 좋지 않아 실망했을 때 쓴다. 특히 가치가 지나치게 부풀려졌을 때 쓸 수 있다. you get what you pay for: 상품의 품질은 얼만큼의 돈을 지급하느냐에 달려 있다. 만약 어떤 물건이 저렴하면 품질이 좋지 않을 것이다. 자료제공=
A: Why do you keep saying that the guy ripped me off? B: Because the car is a lemon. He pulled the wool over your eyes. A: 왜 그 남자가 나에게 바가지를 씌웠다고 자꾸 말하는 거야? B: 왜냐하면 그 차가 불량품이니까. 그 남자가 네 눈을 속인 거야. rip (someone) off: 이 표현은 속이다 혹은 사기 치다라는 뜻이다. a lemon: 밖은 멀쩡해 보이지만, 안이나 엔진 등엔 많은 문제가 있는 차를 가리키는 말이다. 레몬은 겉으로 볼 땐 예쁘지만, 맛은 전혀 달지 않다. pull the wool over (someones) eyes: 속이거나 사기 친다는 뜻. 옛날 사람들은 울로 만든 큰 후드가 달린 망토를 입었다. 소매치기꾼은 후드를 잡아당겨서 사람의 눈을 가리고 물건을 훔쳤다. 자료제공=
A: Im telling you, it was a steal. B: This car has seen better days. I think youve been hoodwinked. A: 내 말 좀 들어봐. 정말 싸게 샀어. B: 이 차 낡은 것 같은데. 내 생각에 너 속은 것 같아. (something) is a steal: 만약 물건을 정말 훔친다(steal)면 돈을 지급하지 않고 그 물건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표현도 매우 싼 가격을 뜻한다. (something) has seen better days: 문제의 물건이 한창 때가 지났으며, 상태가 별로 좋지 않다는 뜻이다. (be) hoodwinked: 이 표현은 속았다는 뜻이다. 과거에는 hoodwinked는 눈가리개라는 뜻이었다. 자료제공=
A: You said you got a good deal on a used car. B: Yeah, check it out. I got it for a song. A: 너 중고차 좋은 가격에 잘 샀다며. B: 응, 이것 좀 봐. 헐값에 샀어. get a good deal (on): deal이란 두 사람 사이의 거래를 말한다. 만약 양질의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산다면 good deal이 되는 것이다. get (something) for a song: 이 표현은 매우 싼 가격을 뜻한다. 거리의 악사가 곡을 연주하면 지나가는 사람들이 동전을 주는 장면을 떠올려보라. 자료제공=
A: The crowd went berserk at the pro wrestling match. B: I dont mean to be a stick in the mud, but those matches are all fixed. A: 프로레슬링 경기중에 관중들이 난폭해졌어. B: 고루한 사람이 되고 싶진 않지만, 그 경기들은 이미 짜여져있는거야. go berserk: 종종 난폭한 방향으로 광포해진다는 뜻이다. a stick in the mud: 스스로 즐기길 거부하는 따분한 사람. fixed: 경기나 시합의 결과가 미리 정해져 있다는 뜻이다. 자료제공=
A: That girl you were hanging out with called you Daddy. B: Dont jump the gun. Thats just her pet name for me. A: 너랑 어울리던 그 여자애가 널 아빠라고 부르더라. B: 섣불리 판단하지마. 그냥 나를 부르는 애칭일 뿐이야. hang out: 우정 관계인 사람과 자유롭게 시간을 보낸다는 뜻이다. jump the gun: 제대로 알기 전에 섣불리 행동을 취하거나 생각하는 것. pet name: 간혹 연인들이 사용하는 애칭을 뜻한다. 자료제공=
A: Hey, check out the girl in the short skirt. B: Shes hot, but she looks like a street walker. A: 야, 저기 짧은 치마 입은 여자 좀 봐. B: 섹시하다, 근데 매춘부 같아 보여. Check out: 평범하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로 시선을 끌기 위해 look at ~(~를 보라)는 의미로 쓰는 표현이다. (be) hot: 섹시하다는 의미의 단어다. a street walker: prostitute (매춘부)라는 의미의 단어이다. 자료제공= DYB최선어학원
A: Isnt that outfit a little skimpy? B: Hey, if you got it, flaunt it. A: 저 옷은 조금 노출이 심하지 않니? B: 야, 자랑할 게 있으면 자랑해야지. outfit: 머리에서 발끝까지 한 세트인 옷. skimpy: 너무 꽉 끼거나 너무 짧은 옷을 표현하는 단어. if you got it, flaunt it: 이 표현은 humble (겸손한)의 반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만약 섹시한 몸매를 가지고 있다면, 자랑해야하지 않겠나. 자료제공= DYB최선어학원
A: This game is going to be something else. How did you get tickets? B: My friend works at the stadium. Were pretty tight. A: 이번 게임은 정말 대단할 것 같아. 티켓 어떻게 구했어? B: 내 친구가 경기장에서 일해. 꽤 친한 친구야. (be) something else: 이 표현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은 것을 뜻한다. 또한 평범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의미로 쓸 수 있다. pretty: 자주 사용되는 슬랭으로 quite (꽤)라는 의미이며 very (매우)보다는 약한 느낌이 드는 표현이다. (be) tight: 매우 가깝다 혹은 친하다는 의미의 슬랭이다. 자료제공=
A: Doesnt Mr. Kim know he is making a fool of himself when he sucks up to the boss like that? B: Maybe he likes being a brown-noser. A: 미스터김은 상사 비위나 맞추면 웃음거리가 된다는걸 모르나? B: 아첨꾼 되는게 좋은가봐. Make a fool of oneself: 대개 의도치않게, 스스로를 웃음거리로 만든다는 뜻이다. Suck up (to): 득을 보기 위해 상관이나 상급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한다는 뜻이다. A brown-noser: 아부하는 태도로 비위를 맞추다는 뜻으로, 비위를 맞추려고 하는 사람의 엉덩이에 키스를 해서 코가 갈색으로 변하는 모습에서 따온 표현이다. 다른 표현으로는 ass-kisser도 있다. 자료제공=
A: I went to the hockey game last night. Anderson was in the groove. B: Yeah. Hes no run-of-the-mill goalkeeper. A: 어젯밤에 하키게임을 보러 갔어. 앤더슨의 컨디션은 최고였어. B: 맞아. 앤더슨은 평범한 골키퍼가 아니지. (be) in the groove: 실력이 뛰어나다는 뜻이다. 레코드에 전축 바늘을 올려 음악을 튼 모습을 상상해보라. 레코드 홈(groove)에 바늘이 들어가면, 소리가 잘 날 것이다. Run-of-the-mill: 평범하고 일반적인 사람이나 사물을 설명할 때 쓰는 표현으로, 대량 생산된 다른 물건들과 비교해도 눈에 띄지 않는 것을 뜻한다. 자료제공=
A: You know that Grandpa got a Purple Heart at Pork Chop Hill. B: I know, but thats all water under the bridge now. A: 너 할아버지가 폭찹힐에서 퍼플 하트 훈장 받으신 것 알지. B: 알아, 그런데 이제는 다 지나간 일이야. Pork Chop Hill: 공식적으로는 Hill 255로 지정되었다. 한국에서 벌어진 그 어떤 전투보다 오래 지속된 고지전투로 인해 미국, 태국, 콜롬비아, 한국, 중국의 많은 군인이 목숨을 잃었다. Purple Heart: 전투 중 부상 당하거나 목숨을 잃은 군인에게 주는 훈장 Water under the bridge: 과거에 발생한 사실. 특히 원상태로 돌리거나 바로잡을 수 없는 불운한 일. 자료제공=
A: Was Grandpa bending your ear about having fought in the Korean War again? B: No. He just wanted to chew the fat. A: 할아버지가 또 한국전쟁 참전 얘기를 잔뜩 늘어놓으셨니? B: 아니. 그저 나와 오래 담소를 나누고 싶어하셨어. Bend ones ear: 남에게 지루하게 이야기를 늘어놓는다는 뜻이다. Chew the fat: 오랫동안 편안하게 대화를 나눈다는 뜻이다. 자료제공=
A: Why do you put up with Jason? Hes as nutty as a fruitcake. B: Hes not a bad guy. He just has a few quirks. A: 왜 제이슨을 참아주는 거야? 완전히 제정신이 아닌 사람이라고. B: 제이슨은 나쁜 사람은 아니야. 그냥 별난 사람이지. Put up with: 짜증스럽거나 불쾌한 것을 불평 없이 참아준다는 뜻. As nutty as a fruitcake: nutty는 미쳤다는 의미를 가진 슬랭이다. 그리고 견과(nut)로 가득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프루트케이크에는 많은 견과가 얹어져 있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프루트케이크처럼 견과로 가득하다(as nutty as a fruitcake)고 하면 완전히 미쳤다는 뜻이다. Quirks: 이상한 태도, 매너 혹은 습관. 자료제공=
A: Come on in. Take a load off your feet. B: Wow, this is a nice place. You must make a good living. A: 자 어서 들어와. 앉아서 편히 쉬어. B: 와, 여기 정말 멋지다. 너 벌이가 좋은가보다. take a load off ones feet: Sit down이라는 말을 좀 더 편안하게 하는 방식. 누군가가 서 있으면, 몸무게는 모두 발에 실린다. 자리에 앉으면 발에서 무게를 떨쳐버릴 수 있는 것. make a good living: Make a living은 먹고 살기 위해 돈을 번다는 뜻이다. Make a good living은 생활 유지를 위한 돈을 많이 번다는 뜻이다. 자료제공=
A: Dont get me wrong, I like Linda, but sometimes she overdoes it. B: Yeah, I know shes a bit of a neat freak. A: 오해하지 마, 나는 Linda를 좋아해, 그런데 가끔은 지나친 것 같아. B: 응, Linda가 조금 결벽증 환자 같은거 나도 알아. dont get me wrong: 누군가 혹은 무언가에 대해 당신의 의견을 얘기하기 전에 쓰는 표현으로서, 사람들로 하여금 당신이 그 사람 혹은 물건에 대해 너무 과하게 비판한다는 오해를 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쓸 수 있다. neat freak: Neat freak은 삶에 모든 요소들을 정돈되고 깔끔한 형태로 유지해야만 하는 사람이다. 또한 정리가 안된 어지러운 상황을 보면 극성을 떤다. 자료제공=
A: Put it there! Congratulations old friend. B: Thanks Bob. Im gonna make the rounds and thank everyone for coming. A: 악수하자! 내 오랜 친구야, 축하한다. B: Bob 고마워. 돌아다니면서 모두에게 와줘서 고맙다고 인사해야겠다. put it there: 이 표현은 누군가에게 악수하자고 강압적으로 말하는 것. 대개 거래가 성사되거나 축하 인사를 전하고 난 후 쓴다. make the rounds: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사람들이나 장소들을 순회하는 것. 이 경우 사람들에게 감사인사를 전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의사가 환자들을 보기 위해 회진을 돌 때도 쓸 수 있다. 자료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