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의 인구가 팽창하고 있다. 지방자치제도가 도입된 1995년 32만명이던 인구는 지난 8월 기준으로 55만4천명을 넘었다. 많은 사람이 평택을 선택했던 이유는 단순 명료하다. 일자리와 살 곳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경기도 조사에 따르면 많은 청년이 직업상의 이유와 주택마련을 위해 평택을 선택한 것으로 드러났다. 평택 발전의 시작은 2004년 정부와 국회의원 시절 대표 발의해 만든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 통과부터였다. 약칭 미국이전평택지원법은 평택시 팽성읍에 위치한 미군기지 캠프험프리스가 확장됨에 따라 국가적 보상차원으로 제정된 것으로, 지역발전과 주민 권익 보호 등 평택에 대한 지원을 명시하고 있다. 특별법 통과로 약 19조원의 제정이 확보돼 SRT 고속철도, 평택호 횡단도로 등 각종 도시 인프라가 조성됐다. 또한 고덕국제신도가 탄생할 수 있었고, 430만평의 산업단지도 확보하여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와 브레인 시티 등을 만들 수 있었다. 도시 인프라가 갖춰지고, 신도시가 개발되고,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됨에 따라 지금 인구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덕국제신도시 등 이미 확정된 각종 택지개발과 삼성전자 등 계획된 일자리 호재만으로도 평택의 인구가 많게는 100만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제 평택은 100만 대도시를 준비하고 있다. 대도시로서의 품격을 갖추고, 100만 시민들 모두의 삶의 질을 드높일 수 있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역별 균형발전을 가장 최우선으로 추진하고 있다. 먼저 서부지역은 미래 산업의 중심으로 구축한다. 수소교통 복합기지, 수소 연구소, 연료전지 및 수소차 부품 기업 등을 유치해 수소생태계를 만들 계획이다. 또한 자동차 연구ㆍ개발ㆍ튜닝ㆍ판매까지 아우르는 자동차 클러스터도 평택항 인근에 조성하며, 지역의 대표 관광명소로 자리매김할 평택호 관광단지도 개발한다. 경기도 유일 국제항만인 평택항도 그 기능을 확대하고, 미래지향적인 항만배후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서울까지 30분 만에 주파하는 KTX 안중역 주변을 대대적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북부지역은 브레인시티를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진다. 브레인시티는 상업, 의료, 주거, 대학 등 정주 여건을 포함하는 산업단지로, 평택시는 의료복합클러스터와 첨단복합산업단지를 이곳에 마련할 계획이다. 의료복합클러스터에서는 의료 서비스는 물론 의료연구개발이 이뤄지며, 첨단복합산업단지에서는 카이스트 대학이 들어와 반도체와 관련한 인재 양성, 연구개발, 소재, 부품, 정비 개발 등이 종합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이러한 계획에 따라 최근 평택시는 아주대병원과 카이스트를 유치한 바 있다. 남부지역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구도심과 신도심 사이의 격차를 줄이려고 한다. 평택역 광장을 복합문화광장으로 조성하는 것을 시작으로, 평택역 인근 지역의 성매매 집결지는 폐쇄해 시민 모두에게 해당 공간을 돌려줄 계획이다. 또한 각종 뉴딜 사업을 통해 원도심의 생활수준을 높여 나갈 예정이다.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것도 100만 도시를 준비하는 평택시의 주요 사업이다. 미세먼지가 심각한 문제였던 평택시는 지난 3년여 동안 그린웨이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들이 마음 편히 숨 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왔다. 100만 평택시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자족 도시로 더욱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앞으로도 성장해 나갈 평택시에 기대와 관심을 부탁드린다. 정장선 평택시장
오피니언
정장선 평택시장
2021-09-09 19:19